[사회문제]생명 복제, 과연 무엇이 문제인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생명복제의 문제점
3. 인간복제의 가능성
4. 인간복제 사회의 공포
5.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본문내용

된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에 대해서 패널 여러분은 충분한 검토의 시간을 가져야만 할 것이다.
다음으로, 설령 생명복제 연구의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지고 규제 방안이 제정된다고 해도 과연 그것만으로 생명복제 연구에 대해 우리가 마음을 놓을 수 있을까?
우리 나라의 생명복제 관련 기술은 이미 경희대 의과대학에서 작년에 발표한 바 있듯이 세계적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 그렇지만 선진국의 그 어느 나라도 아직 인간복제 실험을 직접 수행했다는 발표를 하지 않았던 그 시점에서 철없이 그런 연구 결과를 발표할만큼 우리 과학자들은 윤리의식이 결핍되어 있고 또 정부나 과학계의 규제 장치도 전혀 없는 형편이다. 이런 실정에서 과연 우리는 과학자들의 생명복제 연구에 대해 수수방관할 수 있겠는가? 우리에게는 과연 어떤 대안이 요구되는 것일까? 필자는 생명복제 기술에 대한 민관합동의 감시기구가 절실히 요청된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이번 합의회의에서 패널 여러분이 결정해야 하는 사항은 결코 생명복제를 찬성할 것인가 아니면 반대할 것인가 하는 데에 있지 않다. 여러분에게 주어진 사명은 우리 나라에서 현재 수행되고 있는 생명복제 연구와 (앞으로 어떤 식으로든 수행될 것이 분명한) 인간복제 연구에 대해서 그 필요성과 당위성, 그리고 연구 수행에 따르는 위험성과 사회적 문제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과연 어느 정도까지 이런 연구를 허용할 것인지 그 합의점을 도출하고, 또 그런 정도까지만 연구가 수행될 수 있도록 가장 효율적으로 그것을 감시할 수 있는 사회적 장치가 무엇인지를 제안해 주는 데에 있다고 하겠다. (끝)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12.27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70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