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동성애의 기독교윤리적 이해를 위한 전이해
3. 동성애의 기독교윤리적 이해를 위한 시도
4. 나가는 말: 동성애자를 바라보는 교회와 이성애 기독교인들에게
참고문헌
2. 동성애의 기독교윤리적 이해를 위한 전이해
3. 동성애의 기독교윤리적 이해를 위한 시도
4. 나가는 말: 동성애자를 바라보는 교회와 이성애 기독교인들에게
참고문헌
본문내용
없다고 해서 동성애행위자들 자체를 부정하거나 배척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나 성전환까지 생각하며 자신의 동성애성향을 삶의 구성부분으로 수용한 사람들에 대해서는 그 결단을 인정하고 책임적인 성을 지켜나가도록 도전해야 할 것이다. 이리될 때 성은 이성애자에게도 동성애자에게도 하나님의 선물이자 축복으로 다가오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M. Honecker, Grundris der Soziaethik, Berlin 1995.
D. H. Field, Homosexuality, in: New Dictionary of Christian Ethics and Pastoral Theology, Leicester 1995, 450-454.
S. Grenz, Sexual Ethics, Cumbria 1997.
N. L. Geisler, Christian Ethics: Options and Issues, 위거찬 역, 기독교윤리학, 서울 1991.
J. White, Christian and Sexual Sin, 문효미 옮김, 성: 더럽혀진 하나님의 선물, 서울 1999.
H. Thielicke, Theologische Ethik: Sex, 이종윤, 기독교성윤리, 서울 1993.
참고문헌
M. Honecker, Grundris der Soziaethik, Berlin 1995.
D. H. Field, Homosexuality, in: New Dictionary of Christian Ethics and Pastoral Theology, Leicester 1995, 450-454.
S. Grenz, Sexual Ethics, Cumbria 1997.
N. L. Geisler, Christian Ethics: Options and Issues, 위거찬 역, 기독교윤리학, 서울 1991.
J. White, Christian and Sexual Sin, 문효미 옮김, 성: 더럽혀진 하나님의 선물, 서울 1999.
H. Thielicke, Theologische Ethik: Sex, 이종윤, 기독교성윤리, 서울 1993.
추천자료
안락사에 대한 윤리적 고찰
성(性)윤리 -혼전 성 관계와 동성애를 중심으로
상대주의와 절대주의 윤리설
[기독교적 인간][기독교적 인간관][기독교적 인간회복][바르트의 신학적 인간관]기독교적 인...
기독교(그리스도교)의 발전, 기독교(그리스도교)의 교리형성과 언어, 기독교(그리스도교)의 ...
기독교(그리스도교) 배경과 개혁적 사고, 기독교(그리스도교) 헬레니즘화, 기독교(그리스도교...
그리스도교(기독교) 역사, 그리스도교(기독교) 역사관, 그리스도교(기독교) 은총, 그리스도교...
그리스도교(기독교)의 경제관,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인간관,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영지주의...
그리스도인의 구원과 하나님 나라 그리고 윤리
헬라(그리스)윤리학 전통
[기독교철학개론] 기독교철학의 개관 요약 (기독교 철학의 정의와 본질, 기독교철학의 성격 ...
[기독교 교훈 사례, 요한 웨슬리, 기독교간 협력]기독교 교훈의 사례1(요한 웨슬리), 기독교 ...
[기독교 기도][기독교 기도 침묵][기독교 기도 기도회][기독교 기도 목회]기독교 기도의 형태...
정보화 사회와 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