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희곡학습지도안
2.중학교 1학년 원술랑
3.수업계획
4.학습목표
5.형성평가
2.중학교 1학년 원술랑
3.수업계획
4.학습목표
5.형성평가
본문내용
희곡과 연극 <단원의 마무리>, 연극 상연
교과
학년
학습목표
1. 인물의 성격에 맞게 실연할 수 있다.
2. 실연을 통해 희곡과 연극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국어
1학년
학습
단계
교수
학습과정
교수·학습내용
교수·학습활동
학습
자료
유의점
교사
학생
문제
인식
(5분)
시작
전시학습
확인
학습목표
제시
·희곡과 다른 문학과의 차이
·인물의 성격
·학습목표 제시
·전시 학습 확인을 위한 개별 또는 집단 질문
·학습목표 판서
·전시 학습을 상기하면서 질문에 맞게 개별 또는 집단으로 대답한다.
·학습목표 인식
·전시
학습지
·인물의 성격을 잘 파악하게 한다.
내용
구조화
및
조별
정리
(27분)
학습목표
도달을 위한
토의
조별토의 내용정리
·희곡의 5단 구성에 따라 조별로 지정하여 연극을 맡게 한다.
·발단 ; 1, 2조
·전개 ; 3, 4조
·절정 ; 5, 6조
·하강 ; 7조
·대단원; 8조
·대단원 이후 부분 상상 ; 9, 10조
·조별로 제출한 대본을 중심으로 연극을 하게 한다.
·다른 조원들은 발표조의 연기와 내용을 잘 관찰하여 평가에 반영하게 한다.
·자기가 맡은 역할과 구성 부분을 잘 이해해서 내용에 맞게 연극을 하도록 한다.
·조별 연극이 합쳐서 하나의 전체 이야기가 될 수 있게 한다
·연극
대본
·직접 참여하지 않은 학생도 조별 태도에 평가되므로 조용히 하며 잘된 부분과 잘못된 부분을 찾을 수 있도록 지도한다.
요약
및
정리
(3분)
요약
정리
·조별로 출연한 부분에서 잘된 부분과 잘못된 부분을 찾도록 한다.
·개인별로 발표 내용을 바탕으로 요약, 정리한 것을 조장을 중심으로 서로 돌려 가며 확인하게 한다.
·조원끼리 문답을 통해 학습 내용을 기억하고 잘못된 부분은 수정하고 정리한다.
자기
주도
학습
(10분)
평가
및
발표
자기과제
토의학습
차시예고
종료
·형성평가 문항
1. 연극 대본이 뛰어난 조는?
2. 연기가 뛰어난 조는?
3. 협동심이 뛰어난 조는?
·연극을 통해 전체 내용 이해하기
·1-2-1. 효과적으로 말하기
·상호인사
·교사가 형성평가 문항지를 제시한다
·조별 연극을 통해 전체 내용을 이해하게 한다.
·차시 내용 및 과제 제시
·인사한다.
·학생들은 형성평가 문항을 잘 듣고 질문에 맞게 답해서 제출한다.
·각자 연극을 통해 학습 내용을 이해한다.
·차시 내용 및 과제 확인
·인사한다.
·평가지
- 8 -
Ⅴ. 학습 내용
14. 희곡과 연극 (1) 원술랑 2/5차시 학습지
1. 원술랑의 구성 단계
1) 발단( ; - ; ) : 당에 대한 □□□, 전쟁터 소식을 기다리는 진달래
2) 전개( ; - ; ) : 백수성 □□ 소식, 석문벌의 □□ 소식, 원술의 □□ 소식
3) 절정( ; - ; ) : 살아 돌아온 원술에게 □□을 명하는 김유신
4) 하강( ; - ; ) : 원술의 목숨만은 살려 □□하라는 문무왕의 □□
5) 대단원( ; - ; ) : 집을 떠나는 □□
2. 발단 부분의 내용 이해
① 어려운 낱말, 구절을 찾아서 풀이해 보자.
이구동성(202:6) :
지성이면 감천(203:16) :
사모(204:23) :
② 시대적인 배경과 그 배경을 알려주는 대사를 찾아 보자.
③ 공간적인 배경은 어디인가?
④ 무대 지시문과 행동 지시문을 3개씩 찾아 보자.
무대 지시문 :
행동 지시문 :
⑤ 시대적인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제 것 두고 남의 해'(201:16)에서 줄친 부분이 뜻하는 것은?
⑥ 진달래의 대사 중에서 앞으로의 사건을 암시하는 대사는?
⑦ 문지기의 대사 중에서 진달래와 원술의 신분 차이를 느끼게 해주는 대사는?
3. 원술랑 작품을 통하여 알 수 있는 신라와 당나라의 관계를 토의하고, 토의 내용을 제출
- 9 -
14. 희곡과 연극 (1) 원술랑 3/5차시 학습지
1. 전개 부분 내용 이해
① 어려운 낱말, 구절을 찾아 보자.
불의의 엄습 :
불의의 참경 :
청천의 벽력 :
일망타진 :
불민하와 :
판국 :
② '마음의 등불, 하늘의 해님, 미물'(213)이 의미하는 것은?
③ 무대 밖 사건이 나타나는 이유는?
④ 누구의 등장으로 분위기가 갑자기 변하는가?
⑤ 진달래의 대사는 종류상 어디에 속하는가?
⑥ 지소 부인의 대사 중 남존여비사상을 알 수 있는 대사는?
2. 절정 부분 내용 이해
① 어려운 낱말을 찾아 보자.
고대 :
구사일생 :
일패도지 :
추상 :
도모 :
유예 :
② 원술의 대사 중 여성 차별을 느낄 수 있는 대사 2개는?
③ 절정 부분에서 갈등을 일으키는 인물과 그 이유는?
④ 화랑의 다섯 가지 신조는?
⑤ 화랑의 다섯 가지 신조 중 김유신이 가장 강조하는 것은?
⑥ 원술이 화랑으로서 떳떳하지 못한 점은?
- 10 -
14. 희곡과 연극 (1) 원술랑 4/5차시 학습지
1. 하강 부분 내용 이해
① 하강에서 사건을 반전시키는 인물은?
2. 대단원 부분 내용 이해
① 각 인물의 성격을 말해 보자.
원 술 :
김유신 장군 :
지소 부인 :
진달래 :
문지기 :
담 릉 :
② 작가가 글에서 말하고자 하는 중심 생각(주제)은?
③ 글의 중심 소재는?
④ 글의 시대적 배경은?
3. 시나리오와 희곡의 차이점을 알아 보자.
희 곡
시 나 리 오
·□□ □□을 전제로 함
·드라마, □□ 상영을 전제로 함
·관객과 □□한 관련이 있음
·관객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음
·인물의 수나 시간적, 공간적 □□이 심함
·인물의 수나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비교적 덜함
·장면의 구분은 □과 □으로 구분함
·장면의 구분은 □□(번호)과 컷으로 구분함
4. 원술과 장군 중 누구의 입장에 동의하는가? 그 이유는?
5. 희곡이 수필이나 소설과 가장 크게 다른 점은?
- 사건 전개가 주로 □□로 이루어진다.
6. 하강에서 사자가 등장하지 않았다면 사건은 어떻게 전개되었을까 상상해 보자.
- 11 -
Ⅵ. 평 가 단 계
14. 희곡과 연극 <단원의 마무리> 5/5차시 조별 발표 평가지
평 가 지 ( 의 반)
조별 연극 내용;
점
수
계
점수 배점 (상 = 5, 중 = 3, 하 = 1)
*불참시 = 0
조
조이름
조원 번호, 이름
대본 내용의 적절성
연기 및 목소리
협동심
전달 효과
소품
1
2
3
4
5
6
7
8
9
10
- 12 -
교과
학년
학습목표
1. 인물의 성격에 맞게 실연할 수 있다.
2. 실연을 통해 희곡과 연극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국어
1학년
학습
단계
교수
학습과정
교수·학습내용
교수·학습활동
학습
자료
유의점
교사
학생
문제
인식
(5분)
시작
전시학습
확인
학습목표
제시
·희곡과 다른 문학과의 차이
·인물의 성격
·학습목표 제시
·전시 학습 확인을 위한 개별 또는 집단 질문
·학습목표 판서
·전시 학습을 상기하면서 질문에 맞게 개별 또는 집단으로 대답한다.
·학습목표 인식
·전시
학습지
·인물의 성격을 잘 파악하게 한다.
내용
구조화
및
조별
정리
(27분)
학습목표
도달을 위한
토의
조별토의 내용정리
·희곡의 5단 구성에 따라 조별로 지정하여 연극을 맡게 한다.
·발단 ; 1, 2조
·전개 ; 3, 4조
·절정 ; 5, 6조
·하강 ; 7조
·대단원; 8조
·대단원 이후 부분 상상 ; 9, 10조
·조별로 제출한 대본을 중심으로 연극을 하게 한다.
·다른 조원들은 발표조의 연기와 내용을 잘 관찰하여 평가에 반영하게 한다.
·자기가 맡은 역할과 구성 부분을 잘 이해해서 내용에 맞게 연극을 하도록 한다.
·조별 연극이 합쳐서 하나의 전체 이야기가 될 수 있게 한다
·연극
대본
·직접 참여하지 않은 학생도 조별 태도에 평가되므로 조용히 하며 잘된 부분과 잘못된 부분을 찾을 수 있도록 지도한다.
요약
및
정리
(3분)
요약
정리
·조별로 출연한 부분에서 잘된 부분과 잘못된 부분을 찾도록 한다.
·개인별로 발표 내용을 바탕으로 요약, 정리한 것을 조장을 중심으로 서로 돌려 가며 확인하게 한다.
·조원끼리 문답을 통해 학습 내용을 기억하고 잘못된 부분은 수정하고 정리한다.
자기
주도
학습
(10분)
평가
및
발표
자기과제
토의학습
차시예고
종료
·형성평가 문항
1. 연극 대본이 뛰어난 조는?
2. 연기가 뛰어난 조는?
3. 협동심이 뛰어난 조는?
·연극을 통해 전체 내용 이해하기
·1-2-1. 효과적으로 말하기
·상호인사
·교사가 형성평가 문항지를 제시한다
·조별 연극을 통해 전체 내용을 이해하게 한다.
·차시 내용 및 과제 제시
·인사한다.
·학생들은 형성평가 문항을 잘 듣고 질문에 맞게 답해서 제출한다.
·각자 연극을 통해 학습 내용을 이해한다.
·차시 내용 및 과제 확인
·인사한다.
·평가지
- 8 -
Ⅴ. 학습 내용
14. 희곡과 연극 (1) 원술랑 2/5차시 학습지
1. 원술랑의 구성 단계
1) 발단( ; - ; ) : 당에 대한 □□□, 전쟁터 소식을 기다리는 진달래
2) 전개( ; - ; ) : 백수성 □□ 소식, 석문벌의 □□ 소식, 원술의 □□ 소식
3) 절정( ; - ; ) : 살아 돌아온 원술에게 □□을 명하는 김유신
4) 하강( ; - ; ) : 원술의 목숨만은 살려 □□하라는 문무왕의 □□
5) 대단원( ; - ; ) : 집을 떠나는 □□
2. 발단 부분의 내용 이해
① 어려운 낱말, 구절을 찾아서 풀이해 보자.
이구동성(202:6) :
지성이면 감천(203:16) :
사모(204:23) :
② 시대적인 배경과 그 배경을 알려주는 대사를 찾아 보자.
③ 공간적인 배경은 어디인가?
④ 무대 지시문과 행동 지시문을 3개씩 찾아 보자.
무대 지시문 :
행동 지시문 :
⑤ 시대적인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제 것 두고 남의 해'(201:16)에서 줄친 부분이 뜻하는 것은?
⑥ 진달래의 대사 중에서 앞으로의 사건을 암시하는 대사는?
⑦ 문지기의 대사 중에서 진달래와 원술의 신분 차이를 느끼게 해주는 대사는?
3. 원술랑 작품을 통하여 알 수 있는 신라와 당나라의 관계를 토의하고, 토의 내용을 제출
- 9 -
14. 희곡과 연극 (1) 원술랑 3/5차시 학습지
1. 전개 부분 내용 이해
① 어려운 낱말, 구절을 찾아 보자.
불의의 엄습 :
불의의 참경 :
청천의 벽력 :
일망타진 :
불민하와 :
판국 :
② '마음의 등불, 하늘의 해님, 미물'(213)이 의미하는 것은?
③ 무대 밖 사건이 나타나는 이유는?
④ 누구의 등장으로 분위기가 갑자기 변하는가?
⑤ 진달래의 대사는 종류상 어디에 속하는가?
⑥ 지소 부인의 대사 중 남존여비사상을 알 수 있는 대사는?
2. 절정 부분 내용 이해
① 어려운 낱말을 찾아 보자.
고대 :
구사일생 :
일패도지 :
추상 :
도모 :
유예 :
② 원술의 대사 중 여성 차별을 느낄 수 있는 대사 2개는?
③ 절정 부분에서 갈등을 일으키는 인물과 그 이유는?
④ 화랑의 다섯 가지 신조는?
⑤ 화랑의 다섯 가지 신조 중 김유신이 가장 강조하는 것은?
⑥ 원술이 화랑으로서 떳떳하지 못한 점은?
- 10 -
14. 희곡과 연극 (1) 원술랑 4/5차시 학습지
1. 하강 부분 내용 이해
① 하강에서 사건을 반전시키는 인물은?
2. 대단원 부분 내용 이해
① 각 인물의 성격을 말해 보자.
원 술 :
김유신 장군 :
지소 부인 :
진달래 :
문지기 :
담 릉 :
② 작가가 글에서 말하고자 하는 중심 생각(주제)은?
③ 글의 중심 소재는?
④ 글의 시대적 배경은?
3. 시나리오와 희곡의 차이점을 알아 보자.
희 곡
시 나 리 오
·□□ □□을 전제로 함
·드라마, □□ 상영을 전제로 함
·관객과 □□한 관련이 있음
·관객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음
·인물의 수나 시간적, 공간적 □□이 심함
·인물의 수나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비교적 덜함
·장면의 구분은 □과 □으로 구분함
·장면의 구분은 □□(번호)과 컷으로 구분함
4. 원술과 장군 중 누구의 입장에 동의하는가? 그 이유는?
5. 희곡이 수필이나 소설과 가장 크게 다른 점은?
- 사건 전개가 주로 □□로 이루어진다.
6. 하강에서 사자가 등장하지 않았다면 사건은 어떻게 전개되었을까 상상해 보자.
- 11 -
Ⅵ. 평 가 단 계
14. 희곡과 연극 <단원의 마무리> 5/5차시 조별 발표 평가지
평 가 지 ( 의 반)
조별 연극 내용;
점
수
계
점수 배점 (상 = 5, 중 = 3, 하 = 1)
*불참시 = 0
조
조이름
조원 번호, 이름
대본 내용의 적절성
연기 및 목소리
협동심
전달 효과
소품
1
2
3
4
5
6
7
8
9
10
-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