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의 세시풍속 차이점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세시풍속(歲時風俗)

○. 중국의 세시풍속 (춘절, 원소절)
[1] 춘절
[2] 원소절

○. 한국의 세시풍속 (설, 정월대보름)
[1] 설
[2] 정월대보름

본문내용

안붙는가에 따라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풍속이다. 닭울음점은 대보름날 꼭두새벽에 첫닭이 우는 소리를 기다려서 그 닭울음의 횟수로써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풍속이다.
⑨기타 개인적인 의례 - 대보름날 아침 일찍 일어나면 '부스럼 깬다'하여 밤·호두·땅콩 등을 깨물며 일년 열 두달 종기나 부스럼이 나지 않도록 축원한다. 또 아침 일찍 일어나 사람을 보면 상대방 이름을 부르며 '내 더위 사가라'고 한다. 이렇게 더위를 팔면 그 해 더위를 먹지 않는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한편 아침 식사 후에는 소에게 사람이 먹는 것과 같이 오곡밥과 나물을 키에 차려주는데, 소가 오곡밥을 먼저 먹으면 풍년이 들고, 나물을 먼저 먹으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주부들은 단골무당을 청하여 가신(家神)과 여러 잡신들을 풀어 먹임으로써 가내의 평안을 기원하는데, 이를 안택(安宅)이라고 한다.
이상의 같은 음력의 날인 1월의 세시풍속에 대해 살펴보았다. 농경중심의 사회에서 비롯되고, 같은 유교문화권이었던 나라였기에 한국과 중국 두 나라의 세시풍속은 모두 자연에게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고, 오늘의 자신들을 있게 해주신 조상들께 감사하면서, 이웃간의 정을 더욱 돈독히 하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세시풍속을 기능상 복합적 기능, 교류적 기능, 수용적 기능으로 분류한다면, 복합적 기능은 내포된 내용과 그 표상이 복합적인 것으로 이러한 예는 적지 않다는 점. 교류적 기능은 계층간이나 집단간의 상호교류를 통한 세시풍속의 전파, 차용 혁신, 기능전화 등을 말하는데, 세화(歲畵)의 경우 궁중풍속으로 전해 왔으나 차츰 민간으로 전파되어 여염집에서도 닭이나 호랑이, 기타 그림 등을 그려 붙여 보편화되었다는 점. 수용적 기능은 말 그대로 단순한 받아들임을 의미하고 여기저기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는 점도 공통점이라 하겠다. (중국의 행사일, 명칭, 내용을 그대로 받아들인 것으로 원단, 입춘, 한식, 중양, 동지 등은 단순수용의 예이다.)
허나, 한국의 세시풍속은 보름을 중시한 만월세시와 파종과 수확의 농경세시가 구조적으로 파악되고, 농경의례적 교차세시로 5월 파종제와 10월 수확제가 이어지는 구조적 형태라는 점. 이에 반해 중국의 세시풍속은 순환적 구조를 갖고 있고, 이는 역법에 충실하고 음양관을 반영한 세시풍속이 연결되고 있다는 점은 그 차이로 들 수 있을 것이다. (전통적인 중국의 명절은 1*3*5*7*9의 기수 중복으로 이들 기순은 음양수 중 양수에 속한다. 대체로 양수는 좋은 숫자로 여기고 있으므로 양수 겹침은 길일로 보고 있다.)
또한 남주북병(南酒北餠)으로 대표되는 우리민족의 기호식처럼 한국은 떡이 주 음식을 이루는 반면, 중국은 대륙 각 지역이 회하(淮河)를 경계로 하여 북방은 면이 주류를 이루고 남방은 쌀이 주식이 되는데 이를 북면남미(北麵南米)라는 특징으로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자연히 제례시에도 중국과 한국의 먹는 음식이 다르다는 것도 차이점이라 할 수 있겠다.
끝으로 지리적 환경의 차이와 규모의 차이로 인해 비롯된 구체적인 놀이나 행사의 규모에 있어서도 두나라는 차이점을 보인다.
<참고문헌>
[韓·中 歲時風俗 및 歌謠硏究] 집문당 장정룡 저
[한권으로 이해하는 중국] 지영사 강준영, 전병곤, 지세화 저
http://www.anseo.dankook.ac.kr/~ahns/cul-25.html
http://artcafe.co.kr/class/오락놀이/c_main_4.htm
http://www.folkdrama.net
http://myhome.netsgo.com/nani77/frame5.htm
http://my.icitiro.com/ljhk/
http://www.kcaf.or.kr/

키워드

세시풍속,   중국,   차이점,   민속,   전통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3.05.05
  • 저작시기200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29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