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도깨비 설화 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시작하며

2. 도깨비의 유래
2.1. 도깨비의 어원과 표기
2.2. 도깨비의 유래
2.3. 도깨비의 특징
2.4. 도깨비가 있는 곳
2.5. 성격

3. 도깨비 설화의 서사구조
3.1. `도깨비 소동` 유형 설화의 비교
3.2. `도깨비와 겨루기` 유형 설화의 비교
3.3. `도깨비 때문에 잃은 물건 찾기` 유형 설화의 비교
3.4. `크게 될 사람을 알아본 도깨비` 유형 설화의 비교
3.5. `도깨비와 사귀어 덕보기` 유형 설화의 비교

4. 구조 분석과 의미
4.1. `도깨비 소동` 유형 설화
4.2. `도깨비와 겨루기` 유형 설화
4.3. `도깨비 때문에 잃은 물건 찾기` 유형 설화
4.4. `크게 될 사람을 알아본 도깨비` 유형 설화
4.5. `도깨비와 사귀어 덕보기` 유형 설화

5. 마무리

본문내용

형상, 있는 곳, 성격 등의 일반적인 사항을 비교하고, 이어서 도깨비 설화의 서사구조, 서사단락과 그 의미 분석을 하는 순서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한국은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예로부터 문화적, 사상적으로 밀접한 영향을 주고받았다. 도깨비 설화도 그런 관계 때문에 유사한 점이 많다. 예를 들어 도깨비가 사람으로 변신을 하는 점, 도깨비 명칭이 神, 鬼魅, 이라고 하는 점, 도깨비가 있는 곳은 어둡고 나무가 있는 곳이라는 점이 동일하다. 그러나 중국 도깨비 설화는 도깨비가 나타나는 장소가 다양하다. 도깨비의 성격이 사람을 놀라게 하고 장난기가 많은 점은 같으나 중국 도깨비 설화에서는 도깨비가 변신하는 모습이 다양한 점이 다르다. 도깨비의 능력은 특별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공통점이나 중국 도깨비 설화가 인간을 더 놀라게 하는 점이 다르다. 양측 설화의 서사구조는 많은 유사점이 있으나 인물, 시간, 장소 서사 내용은 차이가 있다. 서사단락이 '변신-기만-기만의 성공'이라는 3단계의 기본구조를 가지는 점은 동일하나 유형에 따라서 단락소가 약간씩 다른 것이 차이점이다. 중국 도깨비 설화는 고대 설화의 형태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원형적이며, 한국 도깨비 설화는 구조적으로 안정되어있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도깨비 설화는 중국의 설화의 영향을 받은 흔적이 있으며 후대에 독창적인 유형을 만들어내기도 하였다.
참 고 문 헌
< 자 료 >
葛洪, 『抱朴子』內篇
도경일 역(1999), 《고대 중국 민담의 재발견》 1 2,, 세계사.
『朝鮮王朝實錄』成宗實錄, 卷117
成俔, 『 齋叢話』
世祖, 『月印釋譜』 上
一然, 《三國遺事》
李昉 等編, 《太平廣記》卷第 368∼373.
張覺 譯(1991), 《白話 搜神記》, 岳麓書社.
折江省新華書店 發行(1991), 『百子全書』 第七卷, 折江人民出版社.
한국정문연(1980), 《韓國口碑文學大系》 1-2, 성남, 한국정문연.
---------(1980), 《韓國口碑文學大系》 1-3, 성남, 한국정문연.
---------(1980), 《韓國口碑文學大系》 7-3, 성남, 한국정문연.
---------(1980), 《韓國口碑文學大系》 8-1, 성남, 한국정문연.
---------(1980), 《韓國口碑文學大系》 8-2, 성남, 한국정문연.
---------(1981), 《韓國口碑文學大系》 2-2, 성남, 한국정문연.
---------(1981), 《韓國口碑文學大系》 4-2, 성남, 한국정문연.
---------(1981), 《韓國口碑文學大系》 8-6, 성남, 한국정문연.
---------(1983), 《韓國口碑文學大系》 2-5, 성남, 한국정문연.
---------(1983), 《韓國口碑文學大系》 8-3, 성남, 한국정문연.
---------(1983), 《韓國口碑文學大系》 8-9, 성남, 한국정문연.
---------(1984), 《韓國口碑文學大系》 1-8, 성남, 한국정문연.
---------(1984), 《韓國口碑文學大系》 2-6, 성남, 한국정문연.
---------(1985), 《韓國口碑文學大系》 6-7, 성남, 한국정문연.
---------(1986), 《韓國口碑文學大系》 8-12, 성남, 한국정문연.
---------(1989), 『韓國口碑文學大系』 別冊附錄(1), 성남, 한국정문연.
한글과 컴퓨터, 워디안 한컴사전.
편집부(1989), 《한국전래동화》15, 웅진출판(주).
어린이도서연구회(1994), 《바람도깨비》, 우리교육.
채인선(1995), 《산골집에 도깨비가 와글와글》, 웅진닷컴.
김진경(1997), 《한울이 도깨비 이야기》, 우리교육.
김종대(1995), 《깨비 깨비 참도깨비》, 산하.
< 논문 단행본 >
姜恩海(1985), 〈韓國 도깨비譚의 形成 變化와 構造에 關한 硏究〉, 서강대 박사논문.
姜恩海(1988), 〈도깨비 설화의 전통과 현대소설〉, 啓明語文學 4輯, 啓明語文學會.
宮田登(1985), 『 妖怪の 民俗學』, 岩波書店.
金美蘭(1984), 『古代小說과 變身』, 正音文化社.
김열규(1989), 〈도깨비 날개를 달다〉, 文學과 批評 가을호, 文學과 批評社.
김종대(1994), 〈한국 도깨비 설화 연구〉, 중앙대 박사논문.
金平垣(1990), 〈도깨비설화연구〉, 우석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金學善(1982), 〈韓國說話에 나타난 도깨비〉, 國際語文 1輯, 국제대 국어국문과.
金鉉龍(1976), 『韓中小說說話比較硏究』, 一志社.
馬場あき子(1971), 『鬼の硏究』, 三一書房.
文武炳(1990), 〈濟州道 도깨비說話 硏究〉, 耽羅文化 10號, 제주대 耽羅文化硏究所.
朴恩用(1986), 〈木郞考〉 『韓國傳統文化硏究』 2輯, 효성여대 한국전통문화연구소, pp.53∼64.
배원룡(1993), 『나무꾼과 선녀 설화 연구』, 집문당.
徐廷範(1992), 『한국문화상징사전』, 동아출판사, p.210.
依田千百子(1985), 『朝鮮民俗文化の硏究』, 琉璃書房.
依田千百子(1986), 〈妖怪도깨비와 韓國의 民俗宇宙〉(박전열 역) 韓國民俗學 外.
李基文(1991), 『한국 어휘사 연구』, 동아출판사, p.40.
李杜鉉(1993), 〈단골巫와 冶匠〉, 정신문화 연구 16권 1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李符永(1981), 〈심리학적 측면에서 본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李瀷(1740년경), 『星湖僿說』 第二集.
任東權(1981), 〈民間信仰에서의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任晳宰(1981), 〈說話 속의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鄭 東(1992), 『古代小說論』, 螢雪出版社.
丁采英(1990), 〈도깨비 民譚硏究〉, 전남대 석사논문.
趙東一(1994), 〈人物傳說의 意味와 機能〉, 嶺南大學校出版部.
拙稿(1997), 〈韓國 仙道說話 硏究〉, 대구대 대학원 박사논문.
최래옥(1987), 〈여보게 김서방〉, 마당지 연재 미완.
崔雲植(1991), 『韓國說話硏究』, 集文堂.
박기용
[660-756] 경남 진주시 신안동 380번지
진주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전화번호: 055-740-1213 / 휴대전화: 011-9507-2918
전자우편: pky09@netian.com
논문접수: 2001년 9월 29일
게재결정: 2001년 10월 10일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3.05.30
  • 저작시기200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36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