켈트 설화를 통한 영국, 아일랜드 정체성의 생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켈트 설화를 통한 영국, 아일랜드 정체성의 생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도입

2. 신화, 전설, 민담의 정의와 의의

3. 켈트족이란? - 켈트족의 역사와 특징
3-1. 켈트족의 역사와 사회
3-2. 드루이드(Druid)
3-3. 켈트족의 호전성
3-4. 켈트족의 축제
3-5. 켈트족의 예술
3-6. 바드(Bard)

4. 켈트의 설화 -신화, 전설, 민담.
4-1 켈트 설화의 전승
4-2. 켈트 설화의 기본 신앙과 사상
4-3. 켈트 설화의 내용

5. 켈트 신화, 전설, 민담이 후대에 미친 영향
5-1. 아일랜드
5-2. 스코틀랜드
5-3. 웨일스

6. 결어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관념을 창조해냈다. 에릭 홉스봄 외, p.130.
그는 신-드루이드교를 발명하고 1792년 음유시인-드루이드 집회를 개최했다. 그는 ‘음유시인의 왕자’라는 개념을 발명해내고 드루이드 전승 전집을 만들었다. 오늘날 음유시인 경연대회가 “chairing”을 의미하는 것은 ‘음유시인의 왕자’에게 앉을 수 있는 자리를 부여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그의 노력은 음유시인 경연대회를 신화와 전설에 집중하게 하여 더욱 화려하게 변화시켰다. 18세기 학자들은 드루이드에 대해 재발견했고 드루이드와 웨일스를 연결시켰다. 지금도 웨일스에서는 음유시인경연대회를 지역을 대표하는 축제로 여기고 매년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National Eisteddfod of Wales, http://www.eisteddfod.org.uk/, 2005년 6월 16일 검색.
한편 에드워드 로이드(Edward Lhuyd)는 웨일스어를 연구했고 웨일스어가 켈틱이라는 가상의 언어를 모어로 하고, 웨일스인은 잉글랜드인과는 다른, 켈트족에서 유래했다는 것을 주장했다. 이러한 로이드의 주장은 후의 많은 이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에릭 홉스봄 외, 박지향, 장문석 옮김, 『만들어진 전통』, 2004.
본래 웨일스에 관심이 있었던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von Leibniz)는 로이드의 요점을 파악하고 어원학 연구를 통해 독일의 켈트학 연구를 위한 기초를 놓았다.
웨일스인들은 이러한 언어학적 연구를 통해 자신들이 브리튼 족에서 유래했고 브리튼 족은 켈트 족에서 유래했으며 고대 켈트 인들은 영광스러운 역사를 지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웨일스 독자들은 웨일스 초기의 역사를 다룬 『태고시대의 거물(Drych y Prif Oesoedd)』(1716)이라는 테오필러스 에반스(Theophilus Evans)의 책을 통해 로이드의 견해를 알 수 있었다. 루이스 모리스는 로이드의 연구에서 나아가 브리튼 제도와 유럽 대륙에 있는 옛 켈트 지명들을 목록화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처럼 웨일스는 켈트적 전통을 통해 그들의 문화를 되살리고 잉글랜드와 구별되는 문화를 만들어낼 수 있었다. 그들은 켈트의 문화를 그들의 문화적 기반으로 여기고 이를 발전, 유지시켰던 것이다.
6. 결어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켈트족이 남긴 유산은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등지에서 그들이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을 통해 재생산되었다. 현 영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처럼 사람들의 마음속에 뿌리깊이 자리 잡은 켈트적 사고방식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위해서는 우선 설화가 가지는 의의에 대한 연구와 깟트족의 생활상을 가까이서 살펴보는 작업이 필요했다. 또한, 앵글로색슨의 설화와는 다른 켈트의 설화 자체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들여다보았으며, 그 설화의 전승과정과 신앙의 배경을 이해함으로써 켈트적인 전통에 대해서 더 알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한편 켈트의 설화는 단순히 과거에 그쳤던 것이 아니라, 후대에 계속해서 재전승·창조되었고 아일랜드에서의 문예부흥, 스코틀랜드, 웨일스에서 각각 켈트의 전통을 활용하여 그들의 민족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문화를 형성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켈트 설화가 현재의 필요에 의해 일부 혹은 전부가 다시 쓰여 질 수도 있다는 사실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현대를 사는 사람들의 현실인식이 끊임없이 과거의 이야기에 포함되는 과정을 통해, 켈트 설화는 지금 이 순간에도 새롭게 만들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박지향, 슬픈 아일랜드-역사와 문학 속의 아일랜드, 새물결, 2002.
서혜숙, 아일랜드 요정의 세계, 건국대학교출판부, 2004.
안진태, 신화학 강의, 열린 책들, 2001.
여홍상, 근대영문학의 흐름, 고려대학교출판부, 2001.
이경재, 신화해석학, 다산글방, 2002.
레이디 오거스타 그레고리, 홍한별 옮김, 안개 너머의 나라 켈트의 속삭임, 여름언덕, 2004.
모리타 지미, 김경화 옮김, 요정과 전설의 섬 브리튼으로의 여행, 푸른길, 2002.
에릭 홉스봄 외, 박지향 장문석 옮김, 만들어진 전통, 휴머니스트, 2004.
조셉 캠벨 빌 모이어스 지음, 이윤기 옮김, 신화의 힘, 이끌리오, 2002.
조지프제이콥스, 서미석 옮김, 켈트족 옛 이야기, 현대지성사, 2003.
크리스티안 엘뤼에르, 박상률 옮김, 켈트족-고대 유럽의 정복자, 시공 디스커버리, 1998.
타료 오바야시, 권태효 옮김, 신화학 입문, 새문사, 1996.
J. Rhys, Celtic folklore : Welsh and Manx , New York: Arno Press, 1980.
Margaret Simpson, Irish Legends, Scholastic, 2000.
P. W. Joyce, A smaller social history of ancient Ireland, Longmans, Green, & Co, 1908.
J.S. Ellis, Reconciling the Celt: British National Identity, Empire, and the 1911
Investiture of the Prince of Wales, the Journal of British Studies, Vol.37, No.4, p.391-418, Oct. 1998.
http://www.defaultdata.com/Websites/Paddy
http://www.eisteddfod.org.uk/
http://www.mysteriousbritain.co.uk/
http://sidhe.new21.org/
*목차
1. 도입
2. 신화, 전설, 민담의 정의와 의의
3. 켈트족이란? - 켈트족의 역사와 특징
3-1. 켈트족의 역사와 사회
3-2. 드루이드(Druid)
3-3. 켈트족의 호전성
3-4. 켈트족의 축제
3-5. 켈트족의 예술
3-6. 바드(Bard)
4. 켈트의 설화 -신화, 전설, 민담.
4-1 켈트 설화의 전승
4-2. 켈트 설화의 기본 신앙과 사상
4-3. 켈트 설화의 내용
5. 켈트 신화, 전설, 민담이 후대에 미친 영향
5-1. 아일랜드
5-2. 스코틀랜드
5-3. 웨일스
6. 결어
<참고문헌>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12.06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08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