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보치아
2.장애인 농구
①정신지체인 농구
②휠체어 농구
♤휠체어 농구와 일반 농구의 차이점
3.장애인 스키
①모노스키 모노스키봅
②하반신 마비 장애인용 장거리 썰매
③외발스키 스키봅
4.휠체어 탁구
①표면탁구
②복식경기
5.장애인 배드민턴
6.휠체어 테니스
1.보치아
2.장애인 농구
①정신지체인 농구
②휠체어 농구
♤휠체어 농구와 일반 농구의 차이점
3.장애인 스키
①모노스키 모노스키봅
②하반신 마비 장애인용 장거리 썰매
③외발스키 스키봅
4.휠체어 탁구
①표면탁구
②복식경기
5.장애인 배드민턴
6.휠체어 테니스
본문내용
득점하게 된다. 다음 서브는 왼쪽 서비스 코트에서 리시버의 왼쪽 서비스 코크로 한다. 이런 코트 교대는 서버가 득점하여 이길 때마다 계속된다. 선수는 서브를 할 때 IN쪽에 있을 때만이 점수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랠리에서 서버가 졌을 때, 그는 서브권을 잃는다(득점은 아님). 그리고 상대편이 서브하고 똑같은 방법으로 코트를 교대하여 서브를 넣는다. 복식에서는 서비스를 넣을 때 오른쪽 서비스 코트 안에 있는 선수가 서브를 시작한다. 그의 편이 이기는 한 코트를 교체하면서 서브를 할 수 있다.
2) 폴트(Faults)
폴트는 랠리를 끝내게 하는 위반행위를 말한다. IN쪽의 선수가 폴트를 하면 서버는 뒤로 물러난다. 폴트에는 이런 것이 있다.
① 서브할 때 셔틀콕을 허리보다 높게 칠 경우(적응규칙 외에 다른 방법으로 지시한다. 예를 들면, 오버헤드 서브를 사용한다).
② 서브할 때 셔틀콕이 서브 코트 라인 바깥쪽에 떨어진 경우.
③ 서브할 때 셔틀콕이 서브 코트 라인 바깥쪽에 나가거나 네트 밑으로 통과하거나, 네트 통과에 실패하거나, 지붕이나 벽에 닿거나 같은 편 선수의 옷이나 사람에게 닿는 경우.
④ 경기 중 셔틀콕이 친 사람의 네트를 통과하기 전에 치는 경우.
⑤ 경기 중 셔틀콕이 라켓의 손잡이나 사람, 또는 옷으로, 네트를 건드리는 경우
⑥ 경기 중 선수가 코트 경계선 안쪽/바깥쪽에 서서 셔틀콕 을 치거나(그가 좋은 반격을 할 수 없다면) 셔틀콕에 맞는 경우.
⑦ 선수가 상대방 을 방해하거나 상대 방 코트를 침범하는 경우.
레트(Let)는 경기 무효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벌칙 없이 경기가 진행된다. 만약 서비스 중 셔틀콕이 네트를 건드렸을 경우, 그것은 레트에 속하고 다른 서비스를 할 수 있다.
(만약 랠리중에 셔틀콕이 네트에 닿아서 넘어가면 그 스트로크는 무효가 아니다) 레트는 우연한 방해 행위가 있을 때 분다.
6.휠체어 테니스
휠체어테니스와 정규테니스의 유일한 차이는 휠체어테니스 선수들은 필요하면 볼을 두 번 바운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첫 번째 바운드만 라인 안에 들어오면 된다.
그러나 어떤 휠체어선수들은 그것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말할 것이다. 그것보다는 모든 동작을 그들의 팔과 손으로 다 처리해야 하는 복잡한 어려움은 이 게임을 전혀 새로운 스포츠로 만들고 있다.
휠체어테니스는 세계적으로 3,000명이 넘는 선수가 운동을 하고 있는데 정상적인 몸을 가진 선수와 장애를 가진 선수가 서로 상대하여 경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빨리 성장하는 휠체어스포츠 중의 하나로 각광받고 있다.
다른 휠체어스포츠 같이 경기에 참여하는 선수가 모두 휠체어를 타고 있을 필요가 없다. 장애인선수가 정상인과 겨루어 경기를 할 수 있으며, 또한 '업다운더블'로 불리우는 경기방식으로 장애인과 정상인이 한 팀을 이루어 경기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기방식은 가족이나 친구들과 같이 테니스를 칠 수 있게 하며 휠체어에 묶여 있는 사람과 똑바로 선 사람과의 상호교류를 제한하는 고정관념과 장벽을 깨뜨리는데 도움을 준다.
2) 폴트(Faults)
폴트는 랠리를 끝내게 하는 위반행위를 말한다. IN쪽의 선수가 폴트를 하면 서버는 뒤로 물러난다. 폴트에는 이런 것이 있다.
① 서브할 때 셔틀콕을 허리보다 높게 칠 경우(적응규칙 외에 다른 방법으로 지시한다. 예를 들면, 오버헤드 서브를 사용한다).
② 서브할 때 셔틀콕이 서브 코트 라인 바깥쪽에 떨어진 경우.
③ 서브할 때 셔틀콕이 서브 코트 라인 바깥쪽에 나가거나 네트 밑으로 통과하거나, 네트 통과에 실패하거나, 지붕이나 벽에 닿거나 같은 편 선수의 옷이나 사람에게 닿는 경우.
④ 경기 중 셔틀콕이 친 사람의 네트를 통과하기 전에 치는 경우.
⑤ 경기 중 셔틀콕이 라켓의 손잡이나 사람, 또는 옷으로, 네트를 건드리는 경우
⑥ 경기 중 선수가 코트 경계선 안쪽/바깥쪽에 서서 셔틀콕 을 치거나(그가 좋은 반격을 할 수 없다면) 셔틀콕에 맞는 경우.
⑦ 선수가 상대방 을 방해하거나 상대 방 코트를 침범하는 경우.
레트(Let)는 경기 무효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벌칙 없이 경기가 진행된다. 만약 서비스 중 셔틀콕이 네트를 건드렸을 경우, 그것은 레트에 속하고 다른 서비스를 할 수 있다.
(만약 랠리중에 셔틀콕이 네트에 닿아서 넘어가면 그 스트로크는 무효가 아니다) 레트는 우연한 방해 행위가 있을 때 분다.
6.휠체어 테니스
휠체어테니스와 정규테니스의 유일한 차이는 휠체어테니스 선수들은 필요하면 볼을 두 번 바운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첫 번째 바운드만 라인 안에 들어오면 된다.
그러나 어떤 휠체어선수들은 그것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말할 것이다. 그것보다는 모든 동작을 그들의 팔과 손으로 다 처리해야 하는 복잡한 어려움은 이 게임을 전혀 새로운 스포츠로 만들고 있다.
휠체어테니스는 세계적으로 3,000명이 넘는 선수가 운동을 하고 있는데 정상적인 몸을 가진 선수와 장애를 가진 선수가 서로 상대하여 경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빨리 성장하는 휠체어스포츠 중의 하나로 각광받고 있다.
다른 휠체어스포츠 같이 경기에 참여하는 선수가 모두 휠체어를 타고 있을 필요가 없다. 장애인선수가 정상인과 겨루어 경기를 할 수 있으며, 또한 '업다운더블'로 불리우는 경기방식으로 장애인과 정상인이 한 팀을 이루어 경기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기방식은 가족이나 친구들과 같이 테니스를 칠 수 있게 하며 휠체어에 묶여 있는 사람과 똑바로 선 사람과의 상호교류를 제한하는 고정관념과 장벽을 깨뜨리는데 도움을 준다.
추천자료
현대 체육의 필요와 '88서울장애인올림픽' 그후...
사회적재활
한국 YMCA사회체육운동의 역사적 배경과 사회체육활동의 성과
지체장애 운동프로그램
시각. 청각. 언어장애 운동프로그램
좌식배구
스페셜올림픽과 패럴림픽
지체장애가_있는_엘리트선수의_발전_방향에_대한_연구
마사지
<사회복지 공동모금회 실제 선정 프로포절>장애-비장애가 차이와 차별 없는 오감자극 캠프 - ...
<사회복지 실제 선정 프로포절> - “SPECIAL 시즌 2 - 따로, 또 같이” 멘토링 및 네트워크 축...
<사회복지재단 실제 선정 프로포절> 자폐&#8901;지적장애 아동 및 비장애청소년의 통합 ...
[사회복지개론]1) 인터뷰한 사람이 실제 처해 있는 불편함, 결핍, 위험 2) 위험의 원인과 책...
사례를 통해서 본 장애인식개선에 대한 사회의 대응자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