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초기심리학
1구성주의(constructivism)
2기능주의
3행동주의(Behaviorism)
4형태주의(Gestalt)
5정신분석(Psychoanalisys)
Ⅱ현대 심리학의 경향
1행동주의(Behaviorism)
2정신분석학(Psychoanalysis)
3인본주의(Humanism)
4인지주의(cognitive)
5생리심리학(Biopsychology)
1구성주의(constructivism)
2기능주의
3행동주의(Behaviorism)
4형태주의(Gestalt)
5정신분석(Psychoanalisys)
Ⅱ현대 심리학의 경향
1행동주의(Behaviorism)
2정신분석학(Psychoanalysis)
3인본주의(Humanism)
4인지주의(cognitive)
5생리심리학(Biopsychology)
본문내용
강조했다.
정신분석적 관점은 생리적 충동의 중요성은 무시하였으나 초기 아동기의 경험이나 무의식의 중요성은 강조했다. 지난 20년 동안의 연구자들은 무의식에 대한 정신 과정의 과학적 연구를 가능케 하는 기술을 개발해 왔다. 이러한 기술의 성공은 '무의식적인 심리 과정의 개념을 무시한다면 어떻게 인간이 알고, 배우고, 행동하는지를 설명하는 심리학적인 모델은 없다.'는 주장을 지지하고 있다.
인본주의(Humanism) - 분석적 접근과 행동주의적 접근에 대한 최초의 대안을 제시해 주었기 때문에 인본주의적 접근을 심리학에 있어 '제 3의 세력'이라고 한다. 인본주의적 접근은 1950년 미국의 심리학자인 에이브라함 매슬로우 (Abraham Maslow)와 칼 로저스 (Carl Rogers)가 인간에게는 자유 의지가 있으며 무의식적인 동기와 환경적 자극에 의해 움직여지는 존재가 아니라는 생각을 발전시키면서 태어나게 되었다.
1967년 미국 심리학회 회장을 맡았던 매슬로우는 처음에는 행동주의 심리학자였으나, 후에 관찰가능한 행동과 환경의 영향에 대해서만 초점을 두는 것에 반대했다. 그는 인간의 자연적인 본성인 자아 실현에 대한 욕구를 강조하였는데, 이는 모든 사람의 잠재력의 실현에 대해 적용되는 용어이다.
매슬로우의 견해는 로저스에 의해 계승된다. 두 사람은 심리학의 주제는 개인의 고유한 정신적 경험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고 가정하였다. 이러한 관점에 있어서 그들은 기능주의 심리학자인 윌리엄 제임스 (William James)와 학문적 유사성을 보여준다. 개인은 자유 의지를 가졌으며, 개인의 고유한 경험을 강조하는 인본주의 심리학의 가정은 실존주의 심리학과의 유사성을 또한 보여주고 있다.
실존주의 심리학자들의 접근은 우리의 정신적 발전은 우리의 궁극적인 유한성과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감의 자각에 달려있다는 믿음에서 나온다. 따라서 어떤 사람은 유한성을 무시하기도 하고, 종교에 귀의하기도 하고, 하루하루 순간을 위해 살고 나머지 시간을 즐거움을 찾는데 보내기도 한다는 것이다.
인본주의 심리학은 로저스에 의해 심리치료의 분야의 변화에 주요한 원동력이 되었다. 비록 개인 중심적 치료는 광범위한 과학적 연구의 주제가 되어 왔지만 개인적 성장경험과 의식의 성장과 같은 인본주의 심리학의 다른 측면은 과학적 기반을 지니지 못했기 때문에 비판받아 왔다. 이러한 과학적 정확성의 부족은 인본주의 심리학이 심리학에 있어서 학문적인 영향을 비교적 적게 미친 원인이 되었으며, 로저스는 생의 말기에서 이를 해석하였다. 이러한 과학적인 측면에서의 약점에도 물구하고 인본주의 심리학은 사랑, 이타성, 건강한 인격의 발전과 인간 경험의 긍정적인 면에 대한 연구를 진작시키는데 가치있는 공헌을 하게 됩니다 노련한 인본주의 심리학자들은 그들의 이론을 실험으로 입증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 왔다
인지주의(cognitive) - 최근 10년간 심리학에 있어 인지적 관점에 의해 주도되는 소위 '인지 혁명'이라 불리는 변화를 찾아 볼 수 있다. 인지적 접근은 게슈탈트 심리학과 행동주의 심리학의 결합이라고 보면 된다. 게슈탈트 심리학처럼 인지 심리학은 유기체의 지각과 정보 처리, 경험의 해석 등 활동적인 정신의 작용을 강조한다. 그리고 행동주의 심리학과 같이 인지 심리학은 객관적이고 잘 통제된 실험실에서의 연구를 강조한다. 따라서 인지심리학은 언어적 보고에만 의존하지 않고 관찰 가능한 반응을 통해 정신적 과정을 추론하게 된다. 그러나 생각과 같은 정신적 작용은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엄격한 행동주의 심리학자들과는 달리 많은 인지 심리학자들은 정신 작용이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고 있다.
인지 심리학은 아동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의 면담에 기반을 두고 아동의 정신적 발달에 대해 인지 발달 이론을 제시한 스위스의 생물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장 삐아제 (Jean Piaget)의 연구에서 나타난다. 인지적 관점은 또한 뇌를 정보처리기로 시물레이션한 지난 30년 간의 컴퓨터 혁명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다. 이 분야에서 선구적인 연구자는 노벨상을 받은 심리학자 허버트 사이몬 (Herbert Simon)이다. 어떤 인지심리학자는 인간 사고 과정 모델을 만들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기도 하고, 컴퓨터 체스 게임과 같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간의 사고 과정에 대한 지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인지적 관점은 심리학의 대부분의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를 들어, 인지 심리학자인 조지 켈리 (George Kelly)는 성격과 심리치료, 정신 이상에 대한 연구에 적용되는 이론을 제시하였다. 켈리는 우리가 개인적 구성 개념이라고 부르는 인지 구조에 의해 행동한다고 밌었다. 이는 다른 사람의 행동에 대해 우리가 기대하는 것들을 뜻한다.
생리심리학(Biopsychology) - 20세기 초기의 대부분의 심리학파는 19세기의 생리학에 뿌리를 두고 있기는 하지만 심리학에 있어서 엄격한 의미의 생리학적인 학파는 없다. 최근 10년간 복잡한 연구 기기들과 더불어 증가된 행동과 정신 과정의 생리학적 기반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생리 심리학적인 관점이 나타났다.
생리 심리학은 뇌를 연구하며 호르몬 체계, 심리학적인 기능의 유전에 관심을 두었습니다. 비록 생리 심리학의 연구자들이 동물을 실험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그들의 중요한 연구들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캐나다의 신경외과 의사인 펜필드 (Penfield)는 간질 환자의 발작을 줄이기 위한 외과적 수술 도중에 약한 전류로 뇌의 표면에 자극을 주어 뇌의 지도를 완성했다. 그는 뇌의 한쪽의 특정 부위에 대한 자극은 반대편의 신체 일부의 움직임을 유발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죠. 그래서 이러한 발견의 결과를 정리하여 뇌의 부위가 담당하고 있는 신체 부위를 표시한 뇌지도를 만들 수가 있었다.
1981년에 미국의 신경과학자인 로저 스퍼리 (Roger Sperry)와 그의 동료는 각 대뇌 반구는 특정 심리적 기능에 대해 다른 한쪽 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생리 심리학적 관점의 영향이 증가함으로 인해 심리학은 다음과 같이 확장되어 정의될 수 있다.
정신분석적 관점은 생리적 충동의 중요성은 무시하였으나 초기 아동기의 경험이나 무의식의 중요성은 강조했다. 지난 20년 동안의 연구자들은 무의식에 대한 정신 과정의 과학적 연구를 가능케 하는 기술을 개발해 왔다. 이러한 기술의 성공은 '무의식적인 심리 과정의 개념을 무시한다면 어떻게 인간이 알고, 배우고, 행동하는지를 설명하는 심리학적인 모델은 없다.'는 주장을 지지하고 있다.
인본주의(Humanism) - 분석적 접근과 행동주의적 접근에 대한 최초의 대안을 제시해 주었기 때문에 인본주의적 접근을 심리학에 있어 '제 3의 세력'이라고 한다. 인본주의적 접근은 1950년 미국의 심리학자인 에이브라함 매슬로우 (Abraham Maslow)와 칼 로저스 (Carl Rogers)가 인간에게는 자유 의지가 있으며 무의식적인 동기와 환경적 자극에 의해 움직여지는 존재가 아니라는 생각을 발전시키면서 태어나게 되었다.
1967년 미국 심리학회 회장을 맡았던 매슬로우는 처음에는 행동주의 심리학자였으나, 후에 관찰가능한 행동과 환경의 영향에 대해서만 초점을 두는 것에 반대했다. 그는 인간의 자연적인 본성인 자아 실현에 대한 욕구를 강조하였는데, 이는 모든 사람의 잠재력의 실현에 대해 적용되는 용어이다.
매슬로우의 견해는 로저스에 의해 계승된다. 두 사람은 심리학의 주제는 개인의 고유한 정신적 경험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고 가정하였다. 이러한 관점에 있어서 그들은 기능주의 심리학자인 윌리엄 제임스 (William James)와 학문적 유사성을 보여준다. 개인은 자유 의지를 가졌으며, 개인의 고유한 경험을 강조하는 인본주의 심리학의 가정은 실존주의 심리학과의 유사성을 또한 보여주고 있다.
실존주의 심리학자들의 접근은 우리의 정신적 발전은 우리의 궁극적인 유한성과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감의 자각에 달려있다는 믿음에서 나온다. 따라서 어떤 사람은 유한성을 무시하기도 하고, 종교에 귀의하기도 하고, 하루하루 순간을 위해 살고 나머지 시간을 즐거움을 찾는데 보내기도 한다는 것이다.
인본주의 심리학은 로저스에 의해 심리치료의 분야의 변화에 주요한 원동력이 되었다. 비록 개인 중심적 치료는 광범위한 과학적 연구의 주제가 되어 왔지만 개인적 성장경험과 의식의 성장과 같은 인본주의 심리학의 다른 측면은 과학적 기반을 지니지 못했기 때문에 비판받아 왔다. 이러한 과학적 정확성의 부족은 인본주의 심리학이 심리학에 있어서 학문적인 영향을 비교적 적게 미친 원인이 되었으며, 로저스는 생의 말기에서 이를 해석하였다. 이러한 과학적인 측면에서의 약점에도 물구하고 인본주의 심리학은 사랑, 이타성, 건강한 인격의 발전과 인간 경험의 긍정적인 면에 대한 연구를 진작시키는데 가치있는 공헌을 하게 됩니다 노련한 인본주의 심리학자들은 그들의 이론을 실험으로 입증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 왔다
인지주의(cognitive) - 최근 10년간 심리학에 있어 인지적 관점에 의해 주도되는 소위 '인지 혁명'이라 불리는 변화를 찾아 볼 수 있다. 인지적 접근은 게슈탈트 심리학과 행동주의 심리학의 결합이라고 보면 된다. 게슈탈트 심리학처럼 인지 심리학은 유기체의 지각과 정보 처리, 경험의 해석 등 활동적인 정신의 작용을 강조한다. 그리고 행동주의 심리학과 같이 인지 심리학은 객관적이고 잘 통제된 실험실에서의 연구를 강조한다. 따라서 인지심리학은 언어적 보고에만 의존하지 않고 관찰 가능한 반응을 통해 정신적 과정을 추론하게 된다. 그러나 생각과 같은 정신적 작용은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엄격한 행동주의 심리학자들과는 달리 많은 인지 심리학자들은 정신 작용이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고 있다.
인지 심리학은 아동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의 면담에 기반을 두고 아동의 정신적 발달에 대해 인지 발달 이론을 제시한 스위스의 생물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장 삐아제 (Jean Piaget)의 연구에서 나타난다. 인지적 관점은 또한 뇌를 정보처리기로 시물레이션한 지난 30년 간의 컴퓨터 혁명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다. 이 분야에서 선구적인 연구자는 노벨상을 받은 심리학자 허버트 사이몬 (Herbert Simon)이다. 어떤 인지심리학자는 인간 사고 과정 모델을 만들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기도 하고, 컴퓨터 체스 게임과 같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간의 사고 과정에 대한 지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인지적 관점은 심리학의 대부분의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를 들어, 인지 심리학자인 조지 켈리 (George Kelly)는 성격과 심리치료, 정신 이상에 대한 연구에 적용되는 이론을 제시하였다. 켈리는 우리가 개인적 구성 개념이라고 부르는 인지 구조에 의해 행동한다고 밌었다. 이는 다른 사람의 행동에 대해 우리가 기대하는 것들을 뜻한다.
생리심리학(Biopsychology) - 20세기 초기의 대부분의 심리학파는 19세기의 생리학에 뿌리를 두고 있기는 하지만 심리학에 있어서 엄격한 의미의 생리학적인 학파는 없다. 최근 10년간 복잡한 연구 기기들과 더불어 증가된 행동과 정신 과정의 생리학적 기반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생리 심리학적인 관점이 나타났다.
생리 심리학은 뇌를 연구하며 호르몬 체계, 심리학적인 기능의 유전에 관심을 두었습니다. 비록 생리 심리학의 연구자들이 동물을 실험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그들의 중요한 연구들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캐나다의 신경외과 의사인 펜필드 (Penfield)는 간질 환자의 발작을 줄이기 위한 외과적 수술 도중에 약한 전류로 뇌의 표면에 자극을 주어 뇌의 지도를 완성했다. 그는 뇌의 한쪽의 특정 부위에 대한 자극은 반대편의 신체 일부의 움직임을 유발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죠. 그래서 이러한 발견의 결과를 정리하여 뇌의 부위가 담당하고 있는 신체 부위를 표시한 뇌지도를 만들 수가 있었다.
1981년에 미국의 신경과학자인 로저 스퍼리 (Roger Sperry)와 그의 동료는 각 대뇌 반구는 특정 심리적 기능에 대해 다른 한쪽 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생리 심리학적 관점의 영향이 증가함으로 인해 심리학은 다음과 같이 확장되어 정의될 수 있다.
추천자료
- 철학적 심리학, 과학적 심리학
- [심리학] 융의 분석 심리학
- [심리학] 긍정심리학에 관해서
- [심리학] 심리학의 용어와 개념; 문화성의 제기
- [음악심리학]-음악과신체,몸과마음.음악과사회성,음악과영혼,음악과,심리학
- [교육敎育심리학] 인지주의 학습이론의 태동 - 인지주의 학습이론이란 무엇인가, Tolman의 의...
- [사회심리학 과제] 마녀사냥 - 사회심리학 이론을 적용하여 우리 사회의 실제 현상을 구체적...
- 2015인간과심리] 1.심리학의 주요이론 중 정신분석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인본주의적 접...
- [대인관계심리학] 대인관계 중 이성 간의 사랑 즉, 연인관계에서 나타나는 사랑과 헤어짐을 ...
- [개인심리학의 역사] 개인심리학의 발전과정, 아들러(Adler)의 생애
- 2017 심리학에게묻다-자신의 가계도 작성 2)가계도를 통해 알 수 있는 가족관계의 특징 3)가...
- 2017년 교육심리학 1.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설명+교육적시사점, 교육심리학, 가드너다중지능...
- [건강심리학] 건강과 심리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