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nstant Messenger의 작동원리
2. Instant Messenger의 비교분석 (외국)
3. Instant Messenger의 비교분석 (국내)
4. 웹@매니아 선호도 조사
5. 미국의 Instant Messenger 표준화 논쟁
6. Instant Messenger의 미래
2. Instant Messenger의 비교분석 (외국)
3. Instant Messenger의 비교분석 (국내)
4. 웹@매니아 선호도 조사
5. 미국의 Instant Messenger 표준화 논쟁
6. Instant Messenger의 미래
본문내용
고 있는 것이 보인다. 하지만 아직 버전이 낮아 (대부분 1.X) 새로운 기능이 점차 추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는 세계적으로 4천만이상의 사용자를 가지고 있는 ICQ 이며 그 다음으로 4천만의 사용자를 가지고 있는 AOL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위의 분석은 필자의 임의대로 사용자 수와 독특한 IM 들을 가지고 표본 조사한 자료이다.
4. 웹@매니아 선호도 조사
웹@매니아에서는 지난 10월 28일부터 11월 13일까지 17일간 진행한 자체 설문 조사에서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총 415명이 참가한 설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문의 대상이 된 IM들은 웹@매니아의 스텝들에 의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으로 선정되었고, 그 결과, ICQ, AIM, CQM, 인터넷친구, 소프트메신저, 투드림, 야후메신저를 대상으로 했다.
[설문] 주로 사용하는 메세징툴은?
ICQ 193 46.5%
AIM 19 4.6%
CQM 4 1.0%
인터넷친구 61 14.7%
소프트메신저 40 9.6%
투드림 4 1.0%
야후메신저 51 12.3%
기타 43 10.4%
* 제품명을 클릭하시면 해당 소개 페이지로 가실 수 있습니다.
IM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아마도 "그 사람이 어떤 제품을 사용하는가?"가 아닐까 싶다. IM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메모를 보낼 수 있는 사람이 없다면 무용지물이기 때문이다.
그런 기준에서 본다면, 현재 수위에 올라 있는 IM 들의 독주 형태는 계속 가속되지 않을까? 최근 소개된 메세징 툴 중의 하나는 아예 ICQ UIN 번호로 원하는 사용자를 찾을 수 있는 기능을 넣기도 했다.
그러나 속단은 이르다. 요즘은 대부분의 메신저가 포탈 사이트나 신문사와 같은 제휴 사이트와 같이 마케팅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서, 더욱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인터넷친구의 약진이 대표적인 케이스, 특정기업에서 자사의 공식 IM으로 선정하여 여러 가지 지원을 한 덕분에 초기에 많은 가입자를 쉽게 확보할 수 있었다.
5. 미국의 Instant Messenger 표준화 논쟁
미국의 AOL사가 2억3천만 달러를 주고 최대의 온라인 IM회사인 ICQ를 인수했다.
이로서, AOL사는 이전의 자사 AOL 메신저 사용자인 4천만명에다가 ICQ사의 사용자 5천만명을 거느린(?) 명실공히 최대의 Community Site가 되었다.
하루에 두 IM의 총 메시지 전송건수만 해도 8억만건에 육박하는 이 시장에 요즘 논란이 일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Microsoft의 MSN Messenger이다.
MSN Messenger의 주요 기능으로 AOL사용자를 MSN Messenger에 등록하여 메세징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집어넣으면서 Netscape과 Explorer의 두 회사간의 브라우저 경쟁 이후에 또 하나의 논쟁을 낳고 있다. 물론 MSN 사용자가 AOL사용자를 등록하려면 먼저 AOL에 가입되어 있어야 하며 MSN Messenger 설치시에 AOL사용자 인증을 물어보게 되는데 여기에 AOL ID와 Password를 집어 넣게 되면 AOL List Server의 Backdoor를 통해 인증을 받게 되고 사용자는 AOL사용자와 호환이 되게 된다. 이 두 회사의 가입자는 이렇게 해서 서로 통신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AOL회사는 MS의 이와 같은 행동에 비난을 하면서 AOL이 가지고 있는 인터넷 시장에 대한 보호(?)를 위해 다시 MSN Messenger 사용자의 등록을 막고 MS는 또 다시 Patch버전을 통해 다시 연결시키는 싸움이 시작되었다.
이 두 회사의 싸움은 양쪽 다 무시할 수 없는 주장으로 시작된 것이다.
MS는 이메일에도 공통화 된 표준(POP3, SMTP)이 존재하는 데, IM은 그 표준이 존재하지 않는다며 표준화 과정을 촉발시키기 위한 시작으로 AIM(AOL Instant Messenger)를 일단의 타깃으로 설정한 것이다.
물론 대다수의 사용자가 IM의 표준화가 나온다면 모두 반길 일이다. 업체나 사람들하고 IM을 이용하기 위해서 각 업체에서 나온 IM을 다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지니까 말이다. 또한 MS는 정보공유와 사용자간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표준화에 AOL의 행동은 반기를 드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MSN Messenger에 대한 AOL의 입장은 분명하다.
해당 기술과 프로토콜은 AOL의 자산이며, 이를 MS는 사전 AOL의 동의나 협약 없이 법적으로 금지된 프로그램 해체 과정(리버스 엔지니어링)을 통해 AIM을 해킹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은 정보를 MSN Messenger 개발에 상업적인 의도로 무단히 사용하였다는 것이다.
이에는 MSN 설립때 부터 있었던 MS에 대한 AOL의 견제도 비롯되어 있다. 즉 AOL 의 수익은 2/3가 인터넷 서비스이다. 만약 이렇게 MS가 자사의 인터넷 서비스 사용자를 좌우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되면 AOL로서도 큰 경제적 타격이 되니 막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어쨌든 IM 서비스들이 점차 통합의 길을 걸어가는 과정에 있는 것은 분명하다.
인터넷 프로토콜을 표준화하는 위원회인 IETF는 현재 오픈 메시지 프로토콜을 제정한 상황에 있고, MSN 등이 이를 지원할 것임을 공식 천명하였다.
AOL도 Apple, Novell, Real Networks, Lotus 등에 자사의 메시징 기술을 공식 라이센스 하였고, 독자적인 표준을 조만간 발표함과 동시에 ICQ 등의 자사 제품을 중심으로 시중의 메시징 서비스들을 통합할 새로운 제품을 개발중이라고 발표하였다.
결국 그 형태가 어떻든 지금의 표준에 대한 싸움은 곧 일단락이 될 전망이다.
6. Instant Messenger의 미래
이제 IM은 메세징 기능을 하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다. 이메일 이외의 디지털 통신수단의 하나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또한 자신의 일정관리와 주소록관리, 정보를 주고받고 시시각각 변해하는 많은 소식을 접할 수 있는 수단이 되었다 해도 과언은 아닐것이다.
그렇지만, 이렇게 변해가는 상황에서도 무엇을 쓰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쓰느냐가 중요함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위의 분석은 필자의 임의대로 사용자 수와 독특한 IM 들을 가지고 표본 조사한 자료이다.
4. 웹@매니아 선호도 조사
웹@매니아에서는 지난 10월 28일부터 11월 13일까지 17일간 진행한 자체 설문 조사에서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총 415명이 참가한 설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문의 대상이 된 IM들은 웹@매니아의 스텝들에 의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으로 선정되었고, 그 결과, ICQ, AIM, CQM, 인터넷친구, 소프트메신저, 투드림, 야후메신저를 대상으로 했다.
[설문] 주로 사용하는 메세징툴은?
ICQ 193 46.5%
AIM 19 4.6%
CQM 4 1.0%
인터넷친구 61 14.7%
소프트메신저 40 9.6%
투드림 4 1.0%
야후메신저 51 12.3%
기타 43 10.4%
* 제품명을 클릭하시면 해당 소개 페이지로 가실 수 있습니다.
IM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아마도 "그 사람이 어떤 제품을 사용하는가?"가 아닐까 싶다. IM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메모를 보낼 수 있는 사람이 없다면 무용지물이기 때문이다.
그런 기준에서 본다면, 현재 수위에 올라 있는 IM 들의 독주 형태는 계속 가속되지 않을까? 최근 소개된 메세징 툴 중의 하나는 아예 ICQ UIN 번호로 원하는 사용자를 찾을 수 있는 기능을 넣기도 했다.
그러나 속단은 이르다. 요즘은 대부분의 메신저가 포탈 사이트나 신문사와 같은 제휴 사이트와 같이 마케팅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서, 더욱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인터넷친구의 약진이 대표적인 케이스, 특정기업에서 자사의 공식 IM으로 선정하여 여러 가지 지원을 한 덕분에 초기에 많은 가입자를 쉽게 확보할 수 있었다.
5. 미국의 Instant Messenger 표준화 논쟁
미국의 AOL사가 2억3천만 달러를 주고 최대의 온라인 IM회사인 ICQ를 인수했다.
이로서, AOL사는 이전의 자사 AOL 메신저 사용자인 4천만명에다가 ICQ사의 사용자 5천만명을 거느린(?) 명실공히 최대의 Community Site가 되었다.
하루에 두 IM의 총 메시지 전송건수만 해도 8억만건에 육박하는 이 시장에 요즘 논란이 일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Microsoft의 MSN Messenger이다.
MSN Messenger의 주요 기능으로 AOL사용자를 MSN Messenger에 등록하여 메세징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집어넣으면서 Netscape과 Explorer의 두 회사간의 브라우저 경쟁 이후에 또 하나의 논쟁을 낳고 있다. 물론 MSN 사용자가 AOL사용자를 등록하려면 먼저 AOL에 가입되어 있어야 하며 MSN Messenger 설치시에 AOL사용자 인증을 물어보게 되는데 여기에 AOL ID와 Password를 집어 넣게 되면 AOL List Server의 Backdoor를 통해 인증을 받게 되고 사용자는 AOL사용자와 호환이 되게 된다. 이 두 회사의 가입자는 이렇게 해서 서로 통신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AOL회사는 MS의 이와 같은 행동에 비난을 하면서 AOL이 가지고 있는 인터넷 시장에 대한 보호(?)를 위해 다시 MSN Messenger 사용자의 등록을 막고 MS는 또 다시 Patch버전을 통해 다시 연결시키는 싸움이 시작되었다.
이 두 회사의 싸움은 양쪽 다 무시할 수 없는 주장으로 시작된 것이다.
MS는 이메일에도 공통화 된 표준(POP3, SMTP)이 존재하는 데, IM은 그 표준이 존재하지 않는다며 표준화 과정을 촉발시키기 위한 시작으로 AIM(AOL Instant Messenger)를 일단의 타깃으로 설정한 것이다.
물론 대다수의 사용자가 IM의 표준화가 나온다면 모두 반길 일이다. 업체나 사람들하고 IM을 이용하기 위해서 각 업체에서 나온 IM을 다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지니까 말이다. 또한 MS는 정보공유와 사용자간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표준화에 AOL의 행동은 반기를 드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MSN Messenger에 대한 AOL의 입장은 분명하다.
해당 기술과 프로토콜은 AOL의 자산이며, 이를 MS는 사전 AOL의 동의나 협약 없이 법적으로 금지된 프로그램 해체 과정(리버스 엔지니어링)을 통해 AIM을 해킹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은 정보를 MSN Messenger 개발에 상업적인 의도로 무단히 사용하였다는 것이다.
이에는 MSN 설립때 부터 있었던 MS에 대한 AOL의 견제도 비롯되어 있다. 즉 AOL 의 수익은 2/3가 인터넷 서비스이다. 만약 이렇게 MS가 자사의 인터넷 서비스 사용자를 좌우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되면 AOL로서도 큰 경제적 타격이 되니 막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어쨌든 IM 서비스들이 점차 통합의 길을 걸어가는 과정에 있는 것은 분명하다.
인터넷 프로토콜을 표준화하는 위원회인 IETF는 현재 오픈 메시지 프로토콜을 제정한 상황에 있고, MSN 등이 이를 지원할 것임을 공식 천명하였다.
AOL도 Apple, Novell, Real Networks, Lotus 등에 자사의 메시징 기술을 공식 라이센스 하였고, 독자적인 표준을 조만간 발표함과 동시에 ICQ 등의 자사 제품을 중심으로 시중의 메시징 서비스들을 통합할 새로운 제품을 개발중이라고 발표하였다.
결국 그 형태가 어떻든 지금의 표준에 대한 싸움은 곧 일단락이 될 전망이다.
6. Instant Messenger의 미래
이제 IM은 메세징 기능을 하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다. 이메일 이외의 디지털 통신수단의 하나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또한 자신의 일정관리와 주소록관리, 정보를 주고받고 시시각각 변해하는 많은 소식을 접할 수 있는 수단이 되었다 해도 과언은 아닐것이다.
그렇지만, 이렇게 변해가는 상황에서도 무엇을 쓰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쓰느냐가 중요함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사업계획서의 실제-정보통신서비스 업체의 사례를 중심으로
당신들의 대한민국 2, 그대 아직 꿈꾸고 있는가
통신상에서의 채팅 언어 사용실태와 그 문제점
[자료처리] 컴퓨터 통신의 개요
무분별한 통신 언어
아동상담소실습사례보고서 - 잦은 가출과 도벽이있는 중학생 사정 및 8회기 과제중심모델 상...
[국제경영전략론]구글(Google) 경영전략분석
Cyworld, Facebook, Twitter 의 Business Model
「비폭력대화」독후감
카카오톡,카카오톡의탄생,카카오톡마케팅,카카오톡위기,카카오톡기회,카카오톡분석
정보 공유 문제 -모방, 표절, 패러디, 창작, 지적재산권-
네이버라인(LINE) 마케팅전략 (발표대본첨부) - 라인 마케팅 SWOT, STP, 7P전략분석 및 라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