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통신언어, 그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2) ‘대략난감’한 온라인 언어
3) 무분별한 통신언어, 내버려만 둘 것인가?
3. 결론
*참고자료
2. 본론
1) 통신언어, 그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2) ‘대략난감’한 온라인 언어
3) 무분별한 통신언어, 내버려만 둘 것인가?
3.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10.07
3. 결론
PC통신 시대가 도래한지도 10년이 넘었다. 10년이면 강산이 바뀌듯, 통신언어도 ‘안냐세요.’나 ‘어솨요.’등의 단순한 줄임 표현에서 이제는 ‘지름신’, ‘대략난감’등의 신조어를 창작하기에 이르렀다. 수많은 온라인 신조어들이나 통신언어들이 실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를 무조건 배척하는 것은 옳지 않고 실용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억지스럽기까지 하다. ‘님아’의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결국 온라인 언어들은 끊임없는 자정작용에 의해 옥석이 가려질 것이다. 반면에 살아남은 언어들은 오프라인 언어를 넘어 생활 전반에 더 많은 영향을 줄 것이다.
새로운 통신 매체를 아무렇지도 않게 접하며 성장한 인터넷 세대들에게 통신언어를 비롯한 온라인 언어는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인식 될 것이다. 시간이 흐르면 ‘인터넷 세대’는 기성세대가 될 것이고,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커뮤니티의 규모는 더욱 더 커질 것이다. 이 때 즈음이면, 온라인 언어는 오프라인 커뮤니티에 더 쉽게 받아들여지고 깊은 영향을 줄 것이다. 그리고 결국 오프라인과의 자연스러운 어울림을 통해 완벽한 조화를 꾀할 것이다.
하지만 그 전에 선행되어야 할 것이 있다. 대중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방송사나 네티즌, 혹은 언어연구기관 등이 주체가 되어 인터넷 상에서 쓰이는 잘못된 표현들을 찾아 순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인터넷에서의 통신언어 사용은 나쁘지 않지만, 실생활에서는 맞춤법을 지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새로운 말과 함께 고유의 우리말을 배우고 지키려는 자세가 필요한 때이다.
*참고자료
* PC통신 자료화면
http://blog.naver.com/newreius.do?Redirect=Log&logNo=80020179979
* 세계일보 (2006.02.02)
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510&PCode=0007&DataID=200602021609000261
* MBC 드라마 ‘궁’
동영상 자료
* KBS ‘상상플러스’
동영상 자료
* 매일경제 (2005.10.07)
http://inews.mk.co.kr/CMS/economy/all/fin/fin1/6973248_3032.php
*목차
1. 서론
2. 본론
1) 통신언어, 그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2) ‘대략난감’한 온라인 언어
3) 무분별한 통신언어, 내버려만 둘 것인가?
3. 결론
*참고자료
3. 결론
PC통신 시대가 도래한지도 10년이 넘었다. 10년이면 강산이 바뀌듯, 통신언어도 ‘안냐세요.’나 ‘어솨요.’등의 단순한 줄임 표현에서 이제는 ‘지름신’, ‘대략난감’등의 신조어를 창작하기에 이르렀다. 수많은 온라인 신조어들이나 통신언어들이 실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를 무조건 배척하는 것은 옳지 않고 실용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억지스럽기까지 하다. ‘님아’의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결국 온라인 언어들은 끊임없는 자정작용에 의해 옥석이 가려질 것이다. 반면에 살아남은 언어들은 오프라인 언어를 넘어 생활 전반에 더 많은 영향을 줄 것이다.
새로운 통신 매체를 아무렇지도 않게 접하며 성장한 인터넷 세대들에게 통신언어를 비롯한 온라인 언어는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인식 될 것이다. 시간이 흐르면 ‘인터넷 세대’는 기성세대가 될 것이고,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커뮤니티의 규모는 더욱 더 커질 것이다. 이 때 즈음이면, 온라인 언어는 오프라인 커뮤니티에 더 쉽게 받아들여지고 깊은 영향을 줄 것이다. 그리고 결국 오프라인과의 자연스러운 어울림을 통해 완벽한 조화를 꾀할 것이다.
하지만 그 전에 선행되어야 할 것이 있다. 대중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방송사나 네티즌, 혹은 언어연구기관 등이 주체가 되어 인터넷 상에서 쓰이는 잘못된 표현들을 찾아 순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인터넷에서의 통신언어 사용은 나쁘지 않지만, 실생활에서는 맞춤법을 지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새로운 말과 함께 고유의 우리말을 배우고 지키려는 자세가 필요한 때이다.
*참고자료
* PC통신 자료화면
http://blog.naver.com/newreius.do?Redirect=Log&logNo=80020179979
* 세계일보 (2006.02.02)
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510&PCode=0007&DataID=200602021609000261
* MBC 드라마 ‘궁’
동영상 자료
* KBS ‘상상플러스’
동영상 자료
* 매일경제 (2005.10.07)
http://inews.mk.co.kr/CMS/economy/all/fin/fin1/6973248_3032.php
*목차
1. 서론
2. 본론
1) 통신언어, 그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2) ‘대략난감’한 온라인 언어
3) 무분별한 통신언어, 내버려만 둘 것인가?
3. 결론
*참고자료
키워드
추천자료
새로운 연극언어를 통한 보이첵의 무대화
[방송통신융합][방송통신융합서비스][방송통신][방송환경][방송정책]방송통신융합의 의미, 방...
[정보화사회][정보사회][정보화정책][정보통신기술][정보화]정보화사회(정보사회)의 개념, 정...
성교육, 옛날이야기교육 교수자료(학습자료), 인성교육,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교수자료...
[커뮤니케이션]구전커뮤니케이션, 조직커뮤니케이션, 연극커뮤니케이션, 관광마케팅커뮤니케...
[외국어교육][외국어수업]외국어교육(외국어수업) 맥락적 언어학습, 외국어교육(외국어수업) ...
[서평/독후감]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_ 한스 크리스찬 폰 베이어 저
[언어지도] 전래동요의 정의, 전래동요의 의의, 전래동요의 유아교육적 가치, 한국 전래동요...
올레KT 경영분석과 마케팅전략분석및 KT의 이동통신시장 1위등극위한 새로운 마케팅전략 제안...
청소년기 언어 발달과 신조어 사용 (통신어, 매스컴, 최근 신조어, 신조어 뜻, 신조어 원인, ...
[방송통신대 1학년 언어의이해 E 형]인간 의사소통의 특징을 간략하게 서술하시오
영역별 자유선택 활동 (언어영역, 쌓기 및 블럭 영역, 역할영역, 창작영역, 음악 영역, 수&am...
언어인지학의 기존 형식주의 문제점 대해 새로운 대안을 제시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언어란 무엇인가 - 언어에 대한 일반적 고찰, 새로운 시대와 새로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