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있을 것이고, 각박해진 세상을 살아가는데 청량제가 될 수 있는 여유를 김홍도의 대 보름달 그림에서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농요의 가락에서 세계인들이 교감할 수 있는 우리의 노래를 만들어 낼 수도 있을 것이다. 모든 일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모두에게 달려 있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그 일은 우리의 후세에게 우리가 해야 할 의무이기도 하다.
추천자료
문화유산과 전통문화의 개념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우리 문화유산-창덕궁
프랑스 대혁명의 문화사
러시아 발레의 기원과 생성과정, 발전과정, 사회문화사적 배경, 현재 흐름, 대표적 발레인물 ...
영상으로 보는 서양 문화사
세계문화유산과 조선왕릉의 문화유산 유네스코 등재의 의미
밀의 역사와 문화사적 의미
건설과 문명(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된 우리나라 문화유산과 일본 문화유산)
서양문명의 역사 서양문화사를 읽는 10가지 테마
세계문화유산속의 불교문화
미셸 푸코의 문화사
[설악산, 설악산 개념, 설악산 문화유산, 설악산 멸종위기식물, 설악산 울산바위, 문화유산, ...
육식음식 금기의 문화사
[독후감상문(역사/문화)]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일본편4 교토의 명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