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 본론1
1. 양혜왕
2. 공손추
3. 등문공
4. 이루
5. 만장
6. 고자(告子)
7. 진심
- 본론 2 : 왕도정치
- 본론 3 : 방벌론
- 본론1
1. 양혜왕
2. 공손추
3. 등문공
4. 이루
5. 만장
6. 고자(告子)
7. 진심
- 본론 2 : 왕도정치
- 본론 3 : 방벌론
본문내용
유덕성을 요구하고 방벌론을 이야기하는 것은 신분사회였던 당시에는 실로 혁명적이었을 것이라 느껴진다. 위에서 언급한 왕도정치를 실현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정치지도자이고 맹자는 그의 정당성 여부가 민심의 향배에서 결정난다고 말한다. 이는 그 정당성을 하늘에 두었던 이전시대 천자의 개념과는 확연히 다르며, 인본주의 즉,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사상이 대두되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한다. 또한 맹자는 무덕자가 군주로 있거나 그들이 폭정을 할 경우, 반드시 그 책임을 물어 반정을 일으켜 군주를 교체할 수 있다고 <만장>편에서 말하고 있다.
- 결론
흔히 우리가 유가를 생각할 때, 그것이 옛것이라거나 보수적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번에 <맹자>를 읽으면서 그것이 변하지 않는 진리, 어떠한 시대상황에서도 올바른 기준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학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특히 인간을 바탕으로 하는 왕도정치의 주장은 소위 지도자의 이름을 가진 현대 정치인들이 필히 마음안에 새겨야 하며 그 밑에서 아첨이나 뇌물등으로 잘 보이기 급급한 무리들도 방벌론의 예처럼 지도자가 옳지 못할 때에는 그 책임을 묻고 올바른 길을 제시할 수 있는 모습을 지녀야 할 것이다.
- 결론
흔히 우리가 유가를 생각할 때, 그것이 옛것이라거나 보수적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번에 <맹자>를 읽으면서 그것이 변하지 않는 진리, 어떠한 시대상황에서도 올바른 기준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학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특히 인간을 바탕으로 하는 왕도정치의 주장은 소위 지도자의 이름을 가진 현대 정치인들이 필히 마음안에 새겨야 하며 그 밑에서 아첨이나 뇌물등으로 잘 보이기 급급한 무리들도 방벌론의 예처럼 지도자가 옳지 못할 때에는 그 책임을 묻고 올바른 길을 제시할 수 있는 모습을 지녀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