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언론, 민주주의, 그리고 한국정치
II. 김영삼 정부시기의 정치와 언론
III. 맺는말 : 김영삼 정부와 언론의 총체적 분석
참고문헌
II. 김영삼 정부시기의 정치와 언론
III. 맺는말 : 김영삼 정부와 언론의 총체적 분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아가야 할 것이다.
한국 언론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정당들이 담당했던 역할들을 가능한 한 복귀시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경직성과 비효율성의 증대에 따라 급변하고 다양화 되는 사회에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대의제도의 기능을 될 수 있는 한 바람직한 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이다.
근본적으로 언론은 ‘선출되지 않은 권력’이다. 정당과 의회는 선거를 통해 선발된 국민의 대표자로 구성되어 있지만 언론은 그렇지 못하다.
일반 국민들은 의회나 정당의 활동을 감시하고 비판, 평가하고 그 구성원을 교체할 수도 있지만 언론으로부터는 일방적으로 영향을 받기 쉽다.
앞으로 다가올 미디어 정치의 낙관적인 전망은 기술과 자본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적게 일어나는 조건을 우선 갖추어야만 현실화 될 수 있다.
민주적인 정치문화와 제도를 아직 구비하지 못하면서 언론 또는 미디어의 발달으로만 한 사회의 정치발전을 이룩할 수 있다는 환상에서 벗어나야 한다.
한국 정치의 진정한 발전과 개혁은 언론개혁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입에 단 것은 삼키고 쓴 것은 뱉겠다는 ‘선택적 자율론’의 분쇄야말로 언론 개혁의 과제일 것이다.
또한 한국 언론계의 고질병인 ‘침묵의 카르텔’을 해체시켜야 한다.
결국 한국 언론이 권력과 자본으로부터 얼마나 자유롭고 독립적인 언론을 창출하고 언론자체도 개혁되느냐는 문제는 결국 언론수용자인 일반 국민의 몫이다. 자율적 개혁으로는 언론의 상업화와 선정주의화도 막을 수 없다.
언론의 수용자인 일반인들은 헌법에 보장된 언론의 자유가 명실상부한 국민의 기본권이 될 수 있도록 강력한 연대와 조직으로서 수용자 운동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강기태. 1997. “독립된 방송규제 기구가 방송정책 관장해야.” 바른 언론(8월 30일), 6.
강상현. 1997. “‘하이에나 언론’을 다시 보고 있다.” 저널리즘비평 (5월), 8-9.
강준만. 1994. “김영삼 정부와 언론의 역할.” 21세기 나라의 길 (4월), 53-61.
권정숙. 1997. “방송법 바꿔야 자율·공정성 높아져.” 한겨레신문(9월 6일), 20.
김대중. 1993. “김대중칼럼.” 조선일보 (5월 16일), 5
김대중 1993. “김대중칼럼.” 조선일보 (8월 22일), 5.
김대중 1993. “김대중칼럼.” 조선일보 (9월 5일), 5.
남충희. 1997. “미디어세력·정치세력 유착 우려.” 바른 언론(9월 13일), 6
한국 언론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정당들이 담당했던 역할들을 가능한 한 복귀시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경직성과 비효율성의 증대에 따라 급변하고 다양화 되는 사회에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대의제도의 기능을 될 수 있는 한 바람직한 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이다.
근본적으로 언론은 ‘선출되지 않은 권력’이다. 정당과 의회는 선거를 통해 선발된 국민의 대표자로 구성되어 있지만 언론은 그렇지 못하다.
일반 국민들은 의회나 정당의 활동을 감시하고 비판, 평가하고 그 구성원을 교체할 수도 있지만 언론으로부터는 일방적으로 영향을 받기 쉽다.
앞으로 다가올 미디어 정치의 낙관적인 전망은 기술과 자본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적게 일어나는 조건을 우선 갖추어야만 현실화 될 수 있다.
민주적인 정치문화와 제도를 아직 구비하지 못하면서 언론 또는 미디어의 발달으로만 한 사회의 정치발전을 이룩할 수 있다는 환상에서 벗어나야 한다.
한국 정치의 진정한 발전과 개혁은 언론개혁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입에 단 것은 삼키고 쓴 것은 뱉겠다는 ‘선택적 자율론’의 분쇄야말로 언론 개혁의 과제일 것이다.
또한 한국 언론계의 고질병인 ‘침묵의 카르텔’을 해체시켜야 한다.
결국 한국 언론이 권력과 자본으로부터 얼마나 자유롭고 독립적인 언론을 창출하고 언론자체도 개혁되느냐는 문제는 결국 언론수용자인 일반 국민의 몫이다. 자율적 개혁으로는 언론의 상업화와 선정주의화도 막을 수 없다.
언론의 수용자인 일반인들은 헌법에 보장된 언론의 자유가 명실상부한 국민의 기본권이 될 수 있도록 강력한 연대와 조직으로서 수용자 운동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강기태. 1997. “독립된 방송규제 기구가 방송정책 관장해야.” 바른 언론(8월 30일), 6.
강상현. 1997. “‘하이에나 언론’을 다시 보고 있다.” 저널리즘비평 (5월), 8-9.
강준만. 1994. “김영삼 정부와 언론의 역할.” 21세기 나라의 길 (4월), 53-61.
권정숙. 1997. “방송법 바꿔야 자율·공정성 높아져.” 한겨레신문(9월 6일), 20.
김대중. 1993. “김대중칼럼.” 조선일보 (5월 16일), 5
김대중 1993. “김대중칼럼.” 조선일보 (8월 22일), 5.
김대중 1993. “김대중칼럼.” 조선일보 (9월 5일), 5.
남충희. 1997. “미디어세력·정치세력 유착 우려.” 바른 언론(9월 13일), 6
추천자료
케이블 및 위성방송과 시민참여
대중문화론
대중가요와 생활사 중간 레포트
대중문화의 비판적 접근
언론이 추구해야 할 이상적 가치
[국가보안법][국가보안법의 문제점]국가보안법의 정의, 국가보안법의 제정 유래, 국가보안법...
대중문화 속의 클래식
친일시와 저항시 - 윤동주와 이육사
영화와페미니즘싱글즈
[공공영역][디지털정보 공공영역][문화콘텐츠산업 공공영역]공공영역의 의미, 공공영역의 탄...
[노동자][노동자조직][외국 노동자조직 사례][노동자조직 개선방안][노동자조직 발전 과제]노...
<제주대학교>인터넷 창업론 정리 최종판
인터넷 언론의 역사와 바른 언론 기능
고전비평 이론인 용사와 신의를 통한 대중가요 리메이크 비평 및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