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제공한다. 또한 잡음이나 다중경로의 간섭에 대한 약간의 저항을 제공한다. 송신되는 신호는 보통 좁은 송신밴드로 충분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밴드폭을 확산시켜 송신하는 경우가 있다. GPS 항법메시지를 송신하는데는 초당 50바이트로 50Hz 정도의 밴드폭에 실어 전송하지만 확산방식을 취하면 백드폭이 1MHz인 C/A 코드로 전송된다.
Standard Positioning Service [SPS] (표준 위치결정 서비스)
단파 C/A Coe (정상 도심 위치정확도가 포함된)에 기초한 GPS에 의해 제공되어질 이동위치 정확도의 수준으로 SPS는 미국방성이 일반사용자에게 허가하는 GPS 신호이다. 한 개의 GPS 수신기로 L1밴드의 C/A 코드를 이용한 위치결정은 지구상 어떤 사용자에게 가능한 것이다. SA조치가 취해질 경우 95%이내에서 수평정밀도가 100m 정도이고, 수직정밀도가 156m 정도가 된다. 시간으로는 334nano초이다.
Static Positioning (정지위치결정 방식)
운반파의 위상을 이용하여 기선해석을 실시할 때, 시간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위성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불확실 정수(Integer Ambiguity)가 결정된다. 관측 중에는 수신기가 관측점에 고정되어 연속적으로 자료를 취득하여 관측시간을 거리에 따라 1시간 혹은 3시간이다. 관측 중에 수신이 중단되어도 기선해석에서 사이클 슬립(Cycle Slip)을 소거할 수 있으며 기선해석은 후처리 방법에 의한다.
Static Surveying (정지 측량)
정지측량은 단일측량 세션동안 수신기 한 대는 고정점에 다른 수신기는 미지점에 거의 한시간 동안 동시에 관측하는 기법이다. GPS에 의한 수치지도 자료의 취득방법으로서 고정된 점 또는 저속으로 움직이는 지점의 좌표를 GPS 위성과 GPS 측량장비를 이용하여 취득된 좌표자료와 그 지점의 속성정보를 결합함으로써 수치지도의 자료를 구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관측되는 점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좌표 체계 내에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높은 정확도의 좌표값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정지측량은 비교적 긴 관측시간을 요하는 만큼 장거리 기선장의 정밀관측에 유효하다. 기준점 측량에 주로 사용되며 기선장에 따른 오차의 크기는 1ppm(기선장 10km 당 1cm 오차)정도이다.
Stereoplotter (입체도화기)
정밀 입체도화기의 좌우 2개의 투영기에 한입체 모형을 이루는 좌우 사진의 투면양화를 장착하고 빛을 비추면 그 광속의 교점들은 실제지형과 상사인 입체모형을 재현하게 되며, 그후 표정점들을 찾아 절대좌표를 도화기상에 입력하고 부점(Floating Point)으로 원하는 지형지물을 추적하면 그에 따라 지형도사에 가입될 세부지형이 도화된다. 입체도화기 등에 의하여 등고선과 평면도 등을 그리는 작업, 사진측량을 이용하지 않을 때도 도화라고 할 때가 있으나 이때는 실측 또는 기존자료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기호화하는 것을 말한다.
Stop and Go (스톱 앤드 고, 정자이동)
키네마틱 위치결정의 1가지 방법으로 Stop and Go 측량은 두 대이상의 수신기를 사용한다. 고정점 수신기는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이동수신기는 각 측점에 이동하여 일분전후 정지하여 관측한 후 다시 다음 점에 이동한다. 위성에 대한 장애물이 없는 지역으로 이동 중 수신기는 위성의 수신을 계속 받는 것이 절대 필요하다.
Surveying (측량)
지구표면상의 제점의 관계위치를 결정하는 기술을 말하며, 측량법에는 "측량이란 토지의 측량을 말하며, 지도의 조제 및 측량용 사진의 촬영을 포함한다"라 규정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밖에 하천에서의 유량측량, 항만에서 조석측량, 천문측량, 지하시설물측량, 해양측량 등도 이에 포함된다. 토지 경계와 건물의 위치에 관한 정확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GIS의 자료질을 향상 시킨다. 또한, 현장검증을 가능하게 한다.
Symbol (심볼, 기호, 부호)
지리적 사상을 나타내는 표현도식으로 점, 선, 면의 특징을 나타내는 도형요소이다. 예를 들어 선의 심볼은 Arc Feature를 나타내고 마크 심볼은 점을, 쉐이드 심볼은 면을, 그리고 텍스트 심볼은 주석을 나타낸다. 심볼의 색상, 크기, 패턴과 그외의 여러 가지 특징으로 정의된다. GIS는 많은 다양한 심볼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점, 선, 면 등을 갖추고 있다. 지형도상에 표현되는 내용 및 그 표시방법 등을 정하고 지형도의 규격에 대한 통일을 도모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형식을 말한다.
Standard Positioning Service [SPS] (표준 위치결정 서비스)
단파 C/A Coe (정상 도심 위치정확도가 포함된)에 기초한 GPS에 의해 제공되어질 이동위치 정확도의 수준으로 SPS는 미국방성이 일반사용자에게 허가하는 GPS 신호이다. 한 개의 GPS 수신기로 L1밴드의 C/A 코드를 이용한 위치결정은 지구상 어떤 사용자에게 가능한 것이다. SA조치가 취해질 경우 95%이내에서 수평정밀도가 100m 정도이고, 수직정밀도가 156m 정도가 된다. 시간으로는 334nano초이다.
Static Positioning (정지위치결정 방식)
운반파의 위상을 이용하여 기선해석을 실시할 때, 시간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위성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불확실 정수(Integer Ambiguity)가 결정된다. 관측 중에는 수신기가 관측점에 고정되어 연속적으로 자료를 취득하여 관측시간을 거리에 따라 1시간 혹은 3시간이다. 관측 중에 수신이 중단되어도 기선해석에서 사이클 슬립(Cycle Slip)을 소거할 수 있으며 기선해석은 후처리 방법에 의한다.
Static Surveying (정지 측량)
정지측량은 단일측량 세션동안 수신기 한 대는 고정점에 다른 수신기는 미지점에 거의 한시간 동안 동시에 관측하는 기법이다. GPS에 의한 수치지도 자료의 취득방법으로서 고정된 점 또는 저속으로 움직이는 지점의 좌표를 GPS 위성과 GPS 측량장비를 이용하여 취득된 좌표자료와 그 지점의 속성정보를 결합함으로써 수치지도의 자료를 구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관측되는 점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좌표 체계 내에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높은 정확도의 좌표값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정지측량은 비교적 긴 관측시간을 요하는 만큼 장거리 기선장의 정밀관측에 유효하다. 기준점 측량에 주로 사용되며 기선장에 따른 오차의 크기는 1ppm(기선장 10km 당 1cm 오차)정도이다.
Stereoplotter (입체도화기)
정밀 입체도화기의 좌우 2개의 투영기에 한입체 모형을 이루는 좌우 사진의 투면양화를 장착하고 빛을 비추면 그 광속의 교점들은 실제지형과 상사인 입체모형을 재현하게 되며, 그후 표정점들을 찾아 절대좌표를 도화기상에 입력하고 부점(Floating Point)으로 원하는 지형지물을 추적하면 그에 따라 지형도사에 가입될 세부지형이 도화된다. 입체도화기 등에 의하여 등고선과 평면도 등을 그리는 작업, 사진측량을 이용하지 않을 때도 도화라고 할 때가 있으나 이때는 실측 또는 기존자료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기호화하는 것을 말한다.
Stop and Go (스톱 앤드 고, 정자이동)
키네마틱 위치결정의 1가지 방법으로 Stop and Go 측량은 두 대이상의 수신기를 사용한다. 고정점 수신기는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이동수신기는 각 측점에 이동하여 일분전후 정지하여 관측한 후 다시 다음 점에 이동한다. 위성에 대한 장애물이 없는 지역으로 이동 중 수신기는 위성의 수신을 계속 받는 것이 절대 필요하다.
Surveying (측량)
지구표면상의 제점의 관계위치를 결정하는 기술을 말하며, 측량법에는 "측량이란 토지의 측량을 말하며, 지도의 조제 및 측량용 사진의 촬영을 포함한다"라 규정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밖에 하천에서의 유량측량, 항만에서 조석측량, 천문측량, 지하시설물측량, 해양측량 등도 이에 포함된다. 토지 경계와 건물의 위치에 관한 정확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GIS의 자료질을 향상 시킨다. 또한, 현장검증을 가능하게 한다.
Symbol (심볼, 기호, 부호)
지리적 사상을 나타내는 표현도식으로 점, 선, 면의 특징을 나타내는 도형요소이다. 예를 들어 선의 심볼은 Arc Feature를 나타내고 마크 심볼은 점을, 쉐이드 심볼은 면을, 그리고 텍스트 심볼은 주석을 나타낸다. 심볼의 색상, 크기, 패턴과 그외의 여러 가지 특징으로 정의된다. GIS는 많은 다양한 심볼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점, 선, 면 등을 갖추고 있다. 지형도상에 표현되는 내용 및 그 표시방법 등을 정하고 지형도의 규격에 대한 통일을 도모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형식을 말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