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일제 시대 때 널리 퍼졌던 일본어는 현재 많은 부분이 정리가 되었지만 학술-출판-문화-과학-기술 같은 모든 분야에서 일본말이 아직도 상당부분 그대로 쓰이고 있습니다. 음식 이름 중에는 일본말이 그대로 쓰고 있는데도 어린이들까지 그것을 모르고 쓰고 있으며, 도구 이름들 중에도 일본말이 그대로 쓰이고 있어도 그것을 깨닫지 못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일제가 남겨 놓은 일본식 땅이름이 아직도 이 곳 저 곳에 널려 있음에도 그것을 잘 모르는 우리 국민은 버스 안내판 이나 도로 표지판 심지어 행정 관서의 이름이나 시설물 이름에 버젓이 달고 있고, 지리 용어나 건축 용어가 일제 때 만들어진 그대로 쓰이고 있는 것도 보통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다른 어떤 분야보다 우리가 늘 쓰는 말 속에 일제 잔재가 많다는 것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더욱이 일본말이 일본말처럼 느껴지지 않고 우리말인지 일본말인지 분간할 수 없다는 것은 더욱 큰 문제 입니다. 현재 우리가 쓰는 말의 7할 정도가 한자어인데, 이러한 한자말 중에는 일제 치하에서 일본인들과 함께 일본식으로 배워 온 지식인들이 그대로 받아들였거나 만들어 낸 신조어인 것이 무척 많습니다. 그런 데다가 이를 일상 생활에서 우리말처럼 아무 거리낌없이 사용해 온 기성인 들에 의해 우리말은 일본식으로 그야말로 대책 없이 흘러 버렸습니다.
학생들이 지금 배우는 교과서 중에도 일본어의 잔재가 적지 않게 남아 있습니다. 특히, 지리 교과서에 그 잔재가 많습니다. 우선 `반도`라는 말만 해도 그렇습니다. `반도`는 `반쪽 섬`의 뜻으로, 일본인들이 자기네 땅은 `온 섬` 이고, 우리는 그것의 반쪽밖에 안 된 `반쪽 섬`에 살고 있다는 뜻에서 붙인 것이라고 보는 이들이 많습니다. `산맥`이란 말도 우리 조상이 썼던 말이 아니고, 일본인이 쓰는 말을 우리가 그대로 받아 쓴 용어입니다. 우리는 쉬운 말로 이를 `산줄기`라고 했고, 지도에서는 `지맥`이란 말을 많이 썼습니다. 또 이름난 산줄기는 `대간`이나 `정간` 또는 `정맥`이란 말을 써 왔던 것입니다. 때문에 지금 남아 있는 옛 지도를 보더라도 `백두대간` 이나 `호남정맥` 들로 산줄기 이름이 들어가 있습니다. 학자들은 우리 조상의 지형 개념의 산줄기 개념이 보다 과학적이고
학생들이 지금 배우는 교과서 중에도 일본어의 잔재가 적지 않게 남아 있습니다. 특히, 지리 교과서에 그 잔재가 많습니다. 우선 `반도`라는 말만 해도 그렇습니다. `반도`는 `반쪽 섬`의 뜻으로, 일본인들이 자기네 땅은 `온 섬` 이고, 우리는 그것의 반쪽밖에 안 된 `반쪽 섬`에 살고 있다는 뜻에서 붙인 것이라고 보는 이들이 많습니다. `산맥`이란 말도 우리 조상이 썼던 말이 아니고, 일본인이 쓰는 말을 우리가 그대로 받아 쓴 용어입니다. 우리는 쉬운 말로 이를 `산줄기`라고 했고, 지도에서는 `지맥`이란 말을 많이 썼습니다. 또 이름난 산줄기는 `대간`이나 `정간` 또는 `정맥`이란 말을 써 왔던 것입니다. 때문에 지금 남아 있는 옛 지도를 보더라도 `백두대간` 이나 `호남정맥` 들로 산줄기 이름이 들어가 있습니다. 학자들은 우리 조상의 지형 개념의 산줄기 개념이 보다 과학적이고
추천자료
일본의 근·현대 정치사를 통해 본 일본 무사도 문화의 영향.hwp
일본의 근·현대 정치사를 통해 본 일본 무사도 문화의 영향
우리 말 속의 일본어 - 일본식 문법표현 및 일본식 숙어, 일본식 서구어에 대하여
종군위안부(일본군위안부, 정신대)의 정의, 종군위안부(일본군위안부, 정신대)의 만행과 종군...
[일본의 교육][일본교육][일본 교육정책]일본의 교육제도, 일본의 특수학교, 일본의 교과서검...
[흐름][일본연구 흐름][일본역사 흐름][일본영화 흐름][일본예능 흐름][일본연구][일본역사][...
[근현대사, 한국 근현대사, 일본 근현대사, 터키 근현대사, 말레이시아 근현대사, 이란 근현...
[한일관계]한일관계(한국과 일본의 관계)와 한일기본조약, 한일협정, 한일관계(한국과 일본의...
동아시아 일본의 지역협력형성, IMF경제위기(IMF금융위기, IMF외환위기), 동아시아 일본의 통...
[일본문화, 일본, 문화, 일본문화 전파, 일본문화 형성, 일본문화 개방담론]일본문화의 전파,...
[일본역사, 일본사, 일본]일본역사(일본사)와 원시시대, 아즈치모모야마시대, 일본역사(일본...
[한국민족운동사] 일본군성노예의 용어문제, 종군위안부, 일본군성노예의 정책의 설립과 운영...
[경영학][한국경영학][미국경영학][일본경영학][독일경영학][한국][미국][일본][독일]한국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