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이식의 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장이식의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심장이식술(Heart transplantation)

2. 인공심장 이식술(Artificial heart transplantation)

3. 수술전 간호

4. 수술후 간호

본문내용

술후의 혈액 손실과 출혈정도를 알기위해 매일 Hct, Hb, Prothrombin Time을 측정하며 수혈로 보충
-섭취량과 배설량의 세심한 측정기록 , 매일 몸무게 측정
②식이
-수술후 12시간쯤부터 물 제공.(완전히 의식을 회복, 오심과 구토가 없을 때)
-따뜻한 보리차-> 점점 양을 늘림->연식, 보통 식이.
-복부팽만, 마비성 장폐색등의 증상 나타나면 구강섭취중지하고 보고.
-관상동맥 수술 대상자는 복부의 경련을 일으킬 염려 있으므로 가스배출 전까지 음식 주지 않음.
4)신장기능 증진을 위한 간호
-유치 도뇨관 삽입한 후 매시간 뇨량, 색, 비중 등을 관찰.
-성인의 뇨 배설량: 30~60ml/hr 30ml 이하일 때 보고.
-소변색깔: 적혈구 용혈현상으로 인해 붉어질 수 있음
-뇨비중: 1.015~1.020(핍뇨,적혈구 용혈-상승, 과잉수분, 신장세뇨관 장애-저하)
-I/O check, 매일 아침 몸무게 측정.
5)대상자의 안위를 위한 간호
-진통제 사용: demerol, morphine sulfate(호흡기능, 기침반사억제로 용량제한)
-체위변경 자주 시켜줌, 기침 시 수술부위 지지하여 줌
6)신경기능 증진을 위한 간호
-의식정도, 지남력, 동공의 크기와 반응, 운동능력 등을 관찰
7)수술후 정신간호
-대상자가 날짜와 시간에 혼돈 일으키지 않도록 침상밑에 달력과 시계준비.
-심장 모니터는 불안 줄 수 있으므로 시야에서 떨어진 곳에 설치.
-항상 관심있고 적극적인 태도로 간호에 임함.
-대상자가 느끼는 공포심과 불안에 대해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함.
8)조기이상
-대상자가 피로하지 않을 정도로 서서히 운동시킴.
9)합병증 예방간호
-대상자의 불안은 출혈이나 쇽을 의심.
-사지가 창백, 박동 없으며 무감각 해지면 색전 의심.(뇌색전으로 경련, 반신불수, 하지허약이 올 수 있음)
-혈류감소로 신기능 부전: 시간당 소변량 측정.
-전해질 불균형이나 심맥관계에 사용된 약물로 인한 부정맥, 산중독증 올수 있음.
-지속적인 대상자 관찰.
10)퇴원시 간호
-인공판막대치술 대상자는 색전형성 막기위해 coumadin 처방, 영구적인 심박동기 설치 -> 약물, 기기에 대한 교육.
-digitalis 제제, 이뇨제, 식이 등에 대한 교육.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하(Ⅰ), 서문자외, 수문사(2000)
-성인간호학 상(2), 전시자외, 현문사 (2001)
-심장수술 환자의 처치와 간호, 고려의학(1997)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2.07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69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