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작업표본의 개념과 역사적 발달 배경
⑴ 작업표본의 개념
⑵ 작업표본의 의의
⑶ 역사적 발달 배경
2. 작업표본의 목적
⑴ 작업표본의 목적
⑵ 작업표본의 타당성
3. 작업표본평가의 장·단점 및 특징
⑴ 작업표본평가의 장점 및 단점
⑵ 작업표본평가의 특징
4. 작업표본평가 규준(work sample norms)과 분류
⑴ 작업표본평가의 규준
⑵ 작업표본system의 유형별 분류
5. 평가과정
6. 작업표본평가법의 종류
♤참고문헌♤
⑴ 작업표본의 개념
⑵ 작업표본의 의의
⑶ 역사적 발달 배경
2. 작업표본의 목적
⑴ 작업표본의 목적
⑵ 작업표본의 타당성
3. 작업표본평가의 장·단점 및 특징
⑴ 작업표본평가의 장점 및 단점
⑵ 작업표본평가의 특징
4. 작업표본평가 규준(work sample norms)과 분류
⑴ 작업표본평가의 규준
⑵ 작업표본system의 유형별 분류
5. 평가과정
6. 작업표본평가법의 종류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 오류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 결과는 평가지침서에 제시된 규준과 비교된다.
⑷ Valpar부문별 작업표본시리즈(Valpar Component Work Sample Series)
Valpar부문별 작업표본 시리즈는 8년간의 개발 끝에 1973년 시판되었다. Valper시리즈는 종합적인 재활서비스 전달법의 일환으로 개발되었다. Valpar시리즈에는 16개의 표본이 있는데(K.F.Botterbusch, 1982), 소형공구, 크기 식별, 숫자 분류, 상체동작 한계측정, 이해능력, 적성, 독립적 문제해결능력 측정, 다단계 분류, 모의조립장치, 전신동작영역 측정, 3단계 측정장치, 눈-손-발의 조정력 측정, 납땜질과 검사, 협력측정, 전자회로기판 읽기, 제도, 동적 근육능력(용량)측정기, 신체능력 및 이동측정, 기계조립·배열과 망치질, 기계적 사고력과 기계성향, 손가락 능숙도, 독립적 인식측정기 등이다.
Valpar시리즈는 1965년판 직업사전의 노동자 특성자료를 근거로 하고 있다. 각 작업표본지침서에는 해당 작업표본에 관계된 다양한 직종 내의 구체적 직업 및 관련 분류사항이 확정되어 있다. 이 시리즈는 인간 노동력의 보편적 특성을 평가하려는 시도이다. 그리고 평가자는 클라이언트의 작업행위를 관찰하게 된다. 각 표본에서는 시간, 오류, 수행기준 등을 포함한 정규 정보가 얻어지게 된다. 이 규준은 애리조나주와 캘리포니아주의 재활시설 내에서 Valpar부문별 작업표본시리즈를 거친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세워진다.
⑸ 재능평가 프로그램(Talent Assessment Program)
10개의 평가로 구성된 재능평가 프로그램은 공예, 기술 및 서비스 영역에서의 작업에 대한 기증평가가 목적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 서비스업 종사나 초급 판매훈련계획을 가진 사람의 능력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프로그램을 개발한 Wilton E. Nighswonger는 클라이언트를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심리, 학력, 의학검사 정보를 조화시켜 사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 종합검사는 10가지 검사로 구조적 및 역학적 심상(The Talent Assessment Program Battery), 치수와 형태 식별(선별), 색채 식별(선별), 촉각식별(선별), 교치성(소형자재 취급), 교치성(대형자재 취급), 정밀교치성(소형공구 취급), 교치성(대형공구 취급), 회로심상(전기회로도를 마음 속에 그림), 구조적 및 역학적 형태기억 등이 있다. 이 종합검사는 전부 약 2시간이 소요되며 모든 검사는 구두로 실시되므로 읽기 능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모든 검사는 용수능력(mainpulation)과 관계가 되므로 '동작성(action)'검사라고도 한다. 클라이언트 평가는 각 검사수행에 소요된 시간과 오류에 기준을 두고 실시한다. 정보는 백분율로 환산되어 7개 집단을 근거로 개발된 규준과 비교된다. 그리고 10개의 검사분야의 prfile이 개발되어 있다.
⑹ 광역고용표본검사(Wide Range Employment Sample Test (WREST))
WREST는 Joseph F. Jastak에 의해 개발되었고 델러웨어주의 Guidance동인회(Guidance Associates of Delaware)에 의해 보급되었다. 이 검사는 교치성과 지각능력평가를 위한 10개의 작업표본 종합검사이다. 다음은 10개의 표본들이다. ① 단식·복식접기, ② 풀로 붙이기와 라벨 붙이기 및 담기, ③ 분류, ④ 병포장, ⑤ 쌀계량, ⑥ 나사 조립, ⑦ 꼬리표 달기, ⑧ 견본 붙이기, ⑨ 대조, ⑩ 색채와 형태정합 및 모형 만들기 등, 이 검사의 소요시간은 약 1시간 30분 정도이다. 채점의 기준은 시간과 오류이다.
⑺ 종합직업사정 및 훈련시스템(Comprehensive Occupational Assessment and Training System (COATS))
COATS는 뉴저지주 Trenton시의 Prep사에서 개발되었다. 이 시스템은 4개의 주요부분-job matching system, employability attitudes system, work samples system and living skills system-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문에는 다음 세 가지 단계의 프로그램이 있다. ① 사정 및 분석, ② 처방 및 교육, ③ 평가 및 배치, 따라서 COATS는 직업평가시스템 이상의 것이며 또한 작업표본법 이상의 것이다.
4개 부문의 사정법에서는 시청각테이프와 슬라이드를 사용하여 교육을 하게 된다. *job-matching system에서는 15개의 시청각 테이프를 사용하여 16개의 각 기술범주의 기술활동에 대한 사진과 그림을 클라이언트에게 보여주고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경험, 선호도, 기술활동 수행 잠재능력 등을 보고한다.
*employability attitudes system에서는 6개의 시청각 테이프로 직업탐색이나 현직에서의 문제 상황을 해결한다. 클라이언트의 양자택일적 해답은 다양한 태도를 반영하고 있다.
*work samples system은 작업표본 수행교육에 시청각 테이프를 사용한다. 테이프는 클라이언트가 수행하게 될 각 과제마다 멈추게 되어 있다. 작업표본에는 제도, 사무, 금형, 판매, 목형, 요리, 의료 서비스, 여행안내, 이·미용, 소형엔진 등이 있다. 평가자는 클라이언트의 숙련도를 평가하며 클라이언트의 능률, 상관과의 대인관계, 작업행동 등을 주시하게 된다. 클라이언트는 각 작업표본마다 수행 이전과 이후의 자신의 기대 및 흥미에 대하여 발표하고 각과제의 애로점과 수행 수준을 평가한다.
*The living skill system에서는 시청각 테이프 6개가 사용된다. 테이프에는 실제 생활환경에 적합한 표본이 수록되어 있다. 클라이언트는 인지력이 요구되는 250개의 상황에 대하여 응답하도록 되어 있는데 지도자 지침서에는 각 부문의 정규자료가 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
안병즙, 강위영, 박석돈 공저(1994), 직업평가, 대구, 문창사
이달엽(1998), 재활과학론, 서울, 형설출판사
강위영, 이상진 공저(1999), 직업 및 직능평가, 서울, 학지사
⑷ Valpar부문별 작업표본시리즈(Valpar Component Work Sample Series)
Valpar부문별 작업표본 시리즈는 8년간의 개발 끝에 1973년 시판되었다. Valper시리즈는 종합적인 재활서비스 전달법의 일환으로 개발되었다. Valpar시리즈에는 16개의 표본이 있는데(K.F.Botterbusch, 1982), 소형공구, 크기 식별, 숫자 분류, 상체동작 한계측정, 이해능력, 적성, 독립적 문제해결능력 측정, 다단계 분류, 모의조립장치, 전신동작영역 측정, 3단계 측정장치, 눈-손-발의 조정력 측정, 납땜질과 검사, 협력측정, 전자회로기판 읽기, 제도, 동적 근육능력(용량)측정기, 신체능력 및 이동측정, 기계조립·배열과 망치질, 기계적 사고력과 기계성향, 손가락 능숙도, 독립적 인식측정기 등이다.
Valpar시리즈는 1965년판 직업사전의 노동자 특성자료를 근거로 하고 있다. 각 작업표본지침서에는 해당 작업표본에 관계된 다양한 직종 내의 구체적 직업 및 관련 분류사항이 확정되어 있다. 이 시리즈는 인간 노동력의 보편적 특성을 평가하려는 시도이다. 그리고 평가자는 클라이언트의 작업행위를 관찰하게 된다. 각 표본에서는 시간, 오류, 수행기준 등을 포함한 정규 정보가 얻어지게 된다. 이 규준은 애리조나주와 캘리포니아주의 재활시설 내에서 Valpar부문별 작업표본시리즈를 거친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세워진다.
⑸ 재능평가 프로그램(Talent Assessment Program)
10개의 평가로 구성된 재능평가 프로그램은 공예, 기술 및 서비스 영역에서의 작업에 대한 기증평가가 목적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 서비스업 종사나 초급 판매훈련계획을 가진 사람의 능력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프로그램을 개발한 Wilton E. Nighswonger는 클라이언트를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심리, 학력, 의학검사 정보를 조화시켜 사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 종합검사는 10가지 검사로 구조적 및 역학적 심상(The Talent Assessment Program Battery), 치수와 형태 식별(선별), 색채 식별(선별), 촉각식별(선별), 교치성(소형자재 취급), 교치성(대형자재 취급), 정밀교치성(소형공구 취급), 교치성(대형공구 취급), 회로심상(전기회로도를 마음 속에 그림), 구조적 및 역학적 형태기억 등이 있다. 이 종합검사는 전부 약 2시간이 소요되며 모든 검사는 구두로 실시되므로 읽기 능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모든 검사는 용수능력(mainpulation)과 관계가 되므로 '동작성(action)'검사라고도 한다. 클라이언트 평가는 각 검사수행에 소요된 시간과 오류에 기준을 두고 실시한다. 정보는 백분율로 환산되어 7개 집단을 근거로 개발된 규준과 비교된다. 그리고 10개의 검사분야의 prfile이 개발되어 있다.
⑹ 광역고용표본검사(Wide Range Employment Sample Test (WREST))
WREST는 Joseph F. Jastak에 의해 개발되었고 델러웨어주의 Guidance동인회(Guidance Associates of Delaware)에 의해 보급되었다. 이 검사는 교치성과 지각능력평가를 위한 10개의 작업표본 종합검사이다. 다음은 10개의 표본들이다. ① 단식·복식접기, ② 풀로 붙이기와 라벨 붙이기 및 담기, ③ 분류, ④ 병포장, ⑤ 쌀계량, ⑥ 나사 조립, ⑦ 꼬리표 달기, ⑧ 견본 붙이기, ⑨ 대조, ⑩ 색채와 형태정합 및 모형 만들기 등, 이 검사의 소요시간은 약 1시간 30분 정도이다. 채점의 기준은 시간과 오류이다.
⑺ 종합직업사정 및 훈련시스템(Comprehensive Occupational Assessment and Training System (COATS))
COATS는 뉴저지주 Trenton시의 Prep사에서 개발되었다. 이 시스템은 4개의 주요부분-job matching system, employability attitudes system, work samples system and living skills system-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문에는 다음 세 가지 단계의 프로그램이 있다. ① 사정 및 분석, ② 처방 및 교육, ③ 평가 및 배치, 따라서 COATS는 직업평가시스템 이상의 것이며 또한 작업표본법 이상의 것이다.
4개 부문의 사정법에서는 시청각테이프와 슬라이드를 사용하여 교육을 하게 된다. *job-matching system에서는 15개의 시청각 테이프를 사용하여 16개의 각 기술범주의 기술활동에 대한 사진과 그림을 클라이언트에게 보여주고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경험, 선호도, 기술활동 수행 잠재능력 등을 보고한다.
*employability attitudes system에서는 6개의 시청각 테이프로 직업탐색이나 현직에서의 문제 상황을 해결한다. 클라이언트의 양자택일적 해답은 다양한 태도를 반영하고 있다.
*work samples system은 작업표본 수행교육에 시청각 테이프를 사용한다. 테이프는 클라이언트가 수행하게 될 각 과제마다 멈추게 되어 있다. 작업표본에는 제도, 사무, 금형, 판매, 목형, 요리, 의료 서비스, 여행안내, 이·미용, 소형엔진 등이 있다. 평가자는 클라이언트의 숙련도를 평가하며 클라이언트의 능률, 상관과의 대인관계, 작업행동 등을 주시하게 된다. 클라이언트는 각 작업표본마다 수행 이전과 이후의 자신의 기대 및 흥미에 대하여 발표하고 각과제의 애로점과 수행 수준을 평가한다.
*The living skill system에서는 시청각 테이프 6개가 사용된다. 테이프에는 실제 생활환경에 적합한 표본이 수록되어 있다. 클라이언트는 인지력이 요구되는 250개의 상황에 대하여 응답하도록 되어 있는데 지도자 지침서에는 각 부문의 정규자료가 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
안병즙, 강위영, 박석돈 공저(1994), 직업평가, 대구, 문창사
이달엽(1998), 재활과학론, 서울, 형설출판사
강위영, 이상진 공저(1999), 직업 및 직능평가, 서울, 학지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