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들어가는 말
Ⅱ.집단상담의 도입과 정착
1. 전남 광주 지역에서 시작된 집단상담운동
2. 대구지역에서 시작된 집단상담 운동
Ⅲ.집단상담의 발전과 보급
1. 대학 학생생활연구소의 활동
2. 상담관련 학회의 활동
3. 사회단체 및 기관의 활동
4. 학술연구활동의 성과
Ⅳ. 앞으로의 집단상담 발전을 위한 제언
Ⅱ.집단상담의 도입과 정착
1. 전남 광주 지역에서 시작된 집단상담운동
2. 대구지역에서 시작된 집단상담 운동
Ⅲ.집단상담의 발전과 보급
1. 대학 학생생활연구소의 활동
2. 상담관련 학회의 활동
3. 사회단체 및 기관의 활동
4. 학술연구활동의 성과
Ⅳ. 앞으로의 집단상담 발전을 위한 제언
본문내용
개발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대학생활연구, 제6호, 한양대학교 학 생생활연구소, 41-58.
임승환 (1989). 대면집단에서의 언어반응 변화 추세와 자아개념 변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장혁표, 강기호 (역) (1990). (關計夫 저). 감수성 훈련의 실제. 서울: 형설출판사.
전종국 (1995a). 집단상담에서 상담효과에 관한 연구. 대학사담연구. 제6권 1호, 한국대학상 담학회, 131-154.
전종국 (1995b). 집단상담에서 치료적 요인의 연구경향과 과제. 발달상담연구, 제3집, 한국 발달상담학회, 141-160.
전종국 (1997). 집단상담과정에서 대인관계 태도와 자기검색 수준이 성장촉진 요인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 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정순자 (1992). 선불교적 소집단 동사섭 훈련을 통한 자아실현과 욕구와의 상관관계 연구. 석사학위 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정영윤 (1998). 대학생 생활지도에서의 지단상담 활용방안. 대학생활연구, 제6호,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5-16.
조규수 (1986) 비디오테이프를 통한 상담기법 훈련에 있어서 자기관찰 시범 지도조언의 효 과.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집단상담활동 프로그램집 간행위원회 (1998). 곡구 이형득 박사 퇴임기념 집단상담 활동 프 로그램집. 대구: 상담출판사.
천성문, 이철희, 이기영, 김명권 (1992), 동사섭 소집단 훈련의 자아개념과 피이드백 변화에 대한 연구, 대학생활연구, 제6호, 포항공대 학생생활연구소, 43-60.
최규섭 (1988), 고교생을 위한 또래집단 상담과 전문가 집단상담이 자아실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최웅 (1980). 자기발표력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학생생활연구, 12, 전남대학교 학생지도 연수 고, 9-26.
최윤경 (1993). 소집단 훈련이 자기노출, 대인관계 지향성, 자기 충족기능 행동에 미치는 효 과(동사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최윤미 (1987). 상담자의 반응의도와 사담회기의 효율성에 관한 분석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최은영 (1995). 상담심리학의 연구 경향 분석, 발달사담연구, 제3집, 한국발달상담학 회, 161-184.
최해림, 장성숙 (역) (1993). 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I.D. Yalom.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서울: 하나의학사
최혜란 (1995). T-집단에서 피이드백 유무 및 집단원 특성에 따른 회기별 신뢰행동의 변화. 박사학위 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최혜란, 설기문 (1998). T-집단에서 피이드백 유무에 따른 회기별 신뢰행동의 변화. 학생연 구, 제26집, 동아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29-160.
최혜련 (1977). 소집단경험학습을 통한 중학교 학생들의 정의교육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 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편) (1998). 상담전문가 수련수첩.
한국집단상담학회 (1998). 한국집단상담학회 이사회 자료집.
한국인성개발연구원(편) (1998). 인터넷홈페이지
(http://user.chollian.net/∼manaml/history.htm). p. l.
한국카운슬러협회(편) (1985). 변천하는 사회, 성장하는 청소년 (한국카운슬러협회20년사). 한국카운슬러협회.
한국카운슬러협회(편) (1993). 한국카운슬링30년. 한국카운슬러협회.
홍경자 (1988a).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에 관한 고찰. 전국대학카운슬러 연구협의회 여름 워크숍 원고, 부산대학교.
홍경자 (1988b). 자기표현 및 주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대학생활연구, 제6호,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47-170.
홍경자, 김선남 (1986). 또래상담자 경험이 또래상담자자신의 자아실현도, 인간관계 능력, 자 기발표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학생생활연구, 18, 전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43-60
홍경자, 노안녕 (1985). 자아개념 및 자존심에 미치는 또래상담자에 의한 집단훈련의 효과. 학생생활연구, 17, 전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75-98.
홍성숙 (1978). 인간잠재력을 개발하는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일연구. 석사학위 논문. 석사 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황무길 (1990). 집단상담의 회수가 부정적 피이드백의 수용도와 효율성에 미치는 효과. 석사 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Gazda. G.M. (1975) Group psychotherapy and group counseling: Definition and heritage, In G.M. Gazda (ed.). Basic approaches to group psycotherapy and group counseling (2nd ed.). Springfield, Ill.: Charles Thomas. 5-37.
Hayes, R. W. (1971). Group counseling, In Cook, D.R. (ed.). Guidance for education in revolution, Boston: Allyn & Bacon. 214-230.
Hill, C. E. (1978). Development of counselor verbal response category system.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8, 288-294.
Kiesler, D.J. (1983). The interpersonal circle: A taxonomy for complementarity in human transactions. Psychological Review, 90, 185-214.
Rogers, C. R. (1970). Carl Rogers on encounter groups. New Yore: Harper & Row.
Seol, K.M. (1993). Counseling for labor conflict resolution. 발달 상담연구, 창간호, 한국발 달상담학회. 79-92.
임승환 (1989). 대면집단에서의 언어반응 변화 추세와 자아개념 변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장혁표, 강기호 (역) (1990). (關計夫 저). 감수성 훈련의 실제. 서울: 형설출판사.
전종국 (1995a). 집단상담에서 상담효과에 관한 연구. 대학사담연구. 제6권 1호, 한국대학상 담학회, 131-154.
전종국 (1995b). 집단상담에서 치료적 요인의 연구경향과 과제. 발달상담연구, 제3집, 한국 발달상담학회, 141-160.
전종국 (1997). 집단상담과정에서 대인관계 태도와 자기검색 수준이 성장촉진 요인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 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정순자 (1992). 선불교적 소집단 동사섭 훈련을 통한 자아실현과 욕구와의 상관관계 연구. 석사학위 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정영윤 (1998). 대학생 생활지도에서의 지단상담 활용방안. 대학생활연구, 제6호,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5-16.
조규수 (1986) 비디오테이프를 통한 상담기법 훈련에 있어서 자기관찰 시범 지도조언의 효 과.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집단상담활동 프로그램집 간행위원회 (1998). 곡구 이형득 박사 퇴임기념 집단상담 활동 프 로그램집. 대구: 상담출판사.
천성문, 이철희, 이기영, 김명권 (1992), 동사섭 소집단 훈련의 자아개념과 피이드백 변화에 대한 연구, 대학생활연구, 제6호, 포항공대 학생생활연구소, 43-60.
최규섭 (1988), 고교생을 위한 또래집단 상담과 전문가 집단상담이 자아실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최웅 (1980). 자기발표력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학생생활연구, 12, 전남대학교 학생지도 연수 고, 9-26.
최윤경 (1993). 소집단 훈련이 자기노출, 대인관계 지향성, 자기 충족기능 행동에 미치는 효 과(동사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최윤미 (1987). 상담자의 반응의도와 사담회기의 효율성에 관한 분석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최은영 (1995). 상담심리학의 연구 경향 분석, 발달사담연구, 제3집, 한국발달상담학 회, 161-184.
최해림, 장성숙 (역) (1993). 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I.D. Yalom.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서울: 하나의학사
최혜란 (1995). T-집단에서 피이드백 유무 및 집단원 특성에 따른 회기별 신뢰행동의 변화. 박사학위 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최혜란, 설기문 (1998). T-집단에서 피이드백 유무에 따른 회기별 신뢰행동의 변화. 학생연 구, 제26집, 동아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29-160.
최혜련 (1977). 소집단경험학습을 통한 중학교 학생들의 정의교육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 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편) (1998). 상담전문가 수련수첩.
한국집단상담학회 (1998). 한국집단상담학회 이사회 자료집.
한국인성개발연구원(편) (1998). 인터넷홈페이지
(http://user.chollian.net/∼manaml/history.htm). p. l.
한국카운슬러협회(편) (1985). 변천하는 사회, 성장하는 청소년 (한국카운슬러협회20년사). 한국카운슬러협회.
한국카운슬러협회(편) (1993). 한국카운슬링30년. 한국카운슬러협회.
홍경자 (1988a).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에 관한 고찰. 전국대학카운슬러 연구협의회 여름 워크숍 원고, 부산대학교.
홍경자 (1988b). 자기표현 및 주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대학생활연구, 제6호,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47-170.
홍경자, 김선남 (1986). 또래상담자 경험이 또래상담자자신의 자아실현도, 인간관계 능력, 자 기발표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학생생활연구, 18, 전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43-60
홍경자, 노안녕 (1985). 자아개념 및 자존심에 미치는 또래상담자에 의한 집단훈련의 효과. 학생생활연구, 17, 전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75-98.
홍성숙 (1978). 인간잠재력을 개발하는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일연구. 석사학위 논문. 석사 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황무길 (1990). 집단상담의 회수가 부정적 피이드백의 수용도와 효율성에 미치는 효과. 석사 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Gazda. G.M. (1975) Group psychotherapy and group counseling: Definition and heritage, In G.M. Gazda (ed.). Basic approaches to group psycotherapy and group counseling (2nd ed.). Springfield, Ill.: Charles Thomas. 5-37.
Hayes, R. W. (1971). Group counseling, In Cook, D.R. (ed.). Guidance for education in revolution, Boston: Allyn & Bacon. 214-230.
Hill, C. E. (1978). Development of counselor verbal response category system.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8, 288-294.
Kiesler, D.J. (1983). The interpersonal circle: A taxonomy for complementarity in human transactions. Psychological Review, 90, 185-214.
Rogers, C. R. (1970). Carl Rogers on encounter groups. New Yore: Harper & Row.
Seol, K.M. (1993). Counseling for labor conflict resolution. 발달 상담연구, 창간호, 한국발 달상담학회. 7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