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진단적 검사 정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각종 진단적 검사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Ⅰ. 심장검사
1. 심장효소 검사
2. 심전도 검사
3. 초음파 심장촬영술
4. 심도자법
5. 심장 방사성핵 스캔
6. 혈청지질검사
7. 전기생리검사(Eelctrophysiologic Study : EPS)
8. 심낭천자
9. 혈청 근육글로빈
Ⅱ. 호흡기계 검사
1. 흉곽 X-선 검사
2. 폐 단층촬영검사
3. 가래검사
4. 기관지경 검사
5. 폐 생검
6. 동맥혈 가스 분석
7. 흉부 CT검사
8. 흉강천자와 늑막액 분석
9. 알파 1-항트립신 검사
10. 튜버클린검사
11.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Ⅲ. 신경계 검사
1. 두개골 방사선촬영
2. 요추천자와 뇌척수액 검사
3. 뇌파검사
4. 뇌스캔
5. 컴퓨터 단층촬영
6. 뇌실촬영술
7. 뇌실천자
8. 칼로리 검사
9. 자기공명영상
10. 신경전도검사
11. 근전도 검사
12. 척수촬영술
Ⅳ.혈액검사
1. 전혈구수 계산과 감별 혈구수 계산
2. 망상적혈구 수치
3. 혈청내 철분 구치와 전체 철분결합 용적검사
4. 혈청 페리틴 검사
5. 골수검사
6. 겸상적혈구 검사(겸상 적혈구 없음)
7. 직접적 Coombs검사
8. 6인산 포도당 탈수소효소 검사
9. 프로트롬빈 시간 검사
10. 부분적 트롬보플라스틴 활성화 시간검사
11. 혈소판 수치의 측정
12. 출혈 시간검사
13. 엽산검사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신경전도검사 실시 후 피부에 전극을 붙일 때 사용했던 젤 을 제거한다.
11. 근전도 검사(신경근육계에 비정상적 증거가 없다)
: 다른 신체계 질환, 방종양성 증후군에 의해 초래된 근육계 이상에 따른 1차적 근 육질환을 발견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 세동과 속상연속이 보이면 그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의 손상이나 질병을 의미하거 나, 경련성, 근긴장성 근육질환을 의미한다.
: 전기파장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면 중증근무력증을 의미한다.
☞ 검사과정 : 근전도실에서 실시하며 검사할 근육에 따라 환자의 체위를 적절하게 취해준다. 기록용 바늘 전극을 검사할 근육에 삽입한다.
☞ 간호 : 환자를 안심시키며 검사 후 관의 삽입부위의 혈종이나 염증이 있는지 관 찰한다.
12. 척수촬영술(정상적 척추관이 보인다)
: 방사성 불투과성 조d영제를 척추관의 지주막 하강에 넣은 뒤 척추관의 내용을 형 광 투시경적으로 관찰한다.
: 척수종양, 뇌막종양, 전이성 척수종양, 추간원판 탈출증, 관절뼈의 돌기 등을 발견 할 수 있다. 15밀리리터의 뇌척수액을 제거하고 15밀리리터 이상의 조영제나 공 기를 척추관에 주입시킨다. 바늘을 꽂은 상태에서 환자를 엎드려 눕힌 후 머리를 낮춘다. 전등을 끄고 조영제 기둥이 채워져 가는 것을 형광투시경을 통해 관찰하 고 이 중 대표적인 상태를 x-ray 촬영한다. 이를 통해 조형제의 흐름이 폐색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병변이 있는 척수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 간호 : 구토를 피하기 위하여 검사 전 4시간동안 음식과 수분의 섭취를 금지시킨 다. 검사중 침대머리를 위로 기울이거나 아래로 기울이게 될 것임을 환자 에게 알려준다. 환자에게 뇌막자극 증상 및 징후가 나타나는지 관찰하고 활력징후 및 배뇨능력을 체크한다.
Ⅳ.혈액검사
1. 전혈구수 계산과 감별 혈구수 계산
1)적혈구수
*정상 : 4.2~6.1*106/㎣(남) 4.2~5.4*106/㎣
*적혈구수는 1㎣의 말초혈액내에 있는 적혈구량으로 표시된다.
정상치의 10% 니간 감소되었을 경우를 빈혈이라고 말한다
⇒적혈구 감소 : 출혈. 용혈, 영양소 결핍(철분 또는 비타민 B12), 유전적인 이상, 약물섭취, 골수부전, 만성질환, 다른 장기부전(신장질환)
⇒적혈구 증가 : 높은 고도와 같은 산소요구량이 증가할 때
선천성 심질환과 같은 만성 무산소증
2)헤모글로빈 농도
*정상 : 14~18g/dl(남) 12~16g/dl
*말초혈액내의 전체 헤모글로빈량을 말하며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역할 ⇒농도 감소 : 수분과잉으로 혈장량이 늘어나 희석되는 경우
⇒농도 증가 : 탈수로 인하여 혈장량이 감소할 경우
3)헤마토크릿
*정상 : 42~52%(남) 37~47%(여)
*전체 혈액량 속에 들어 있는 적혈구의 백분율을 측정한 수치
4)평균 혈구용적
*정상 : 80~95μ³(성인과 아동)
*단일 적혈구의 크기 혹은 평균용적을 측정한 것을 빈혈을 분류하는데 유용한 정 보. 평균 혈구용적이 증가할 때 적혈구가 ‘비정상 적으로 크다’ 혹은 ‘거대적혈구’ 라 한다.
5)백혈구 게산
*정상 : 5,000~10,000/㎣(성인과 아동)
감별 백혈구 계산 : 호중구-55~77% 임파구 : 20~40% 단핵구 : 2~8% 호산구 : 1~4% 호염기구 : 0.5~1%
⇒백혈구수 증가 : 감염 혹은 백혈병, 스트레스나 신체적 손상
⇒백혈구수 감소 : 항암제 투여로 인한 골수부전이나 과립 백혈구 감소증, 영양결 핍, 계속되는 감염, 자가면역질환
2. 망상적혈구 수치
*정상 : 전체 적혈구의0.5~2%(성인과 아동) 망상적혈구 지표 : 1
*골수기능을 알아보는데 중요한 말초혈액 도말검사를 통하여 쉽게 확인될 수 있 는 미성숙 적혈구이다.
⇒망상 적혈구 수치 감소 : 재생불량성 빈혈, 철분결핍성 빈혈, 비타민 B12 빈혈
⇒검사과정 : 전체혈구수치 검사를 위한 혈액 채취후 혈액학 검사실로 피를 보내 어 검사실 기사가 현미경을 통한 초생체적인 말초혈액 도말검사를 실시하여 수치를 얻는다. 망상 적혈구는 자줏빛 실 망을 형성한다.
3. 혈청내 철분 구치와 전체 철분결합 용적검사
*정상 : 60~190㎍/dl(철) 250~420㎍/dl(전체 철분결합 용적)
*비정상적인 철분치와 전체 철분결합 용적검사는 철분 결핍성 빈혈뿐만 아니라 많은 질병에서 나타나는 특성이다.
⇒철분 결핍성 빈혈의 원인 : 불충분한 철분 섭취, 소화관에서의 부적절한 흡수, 혈액손실(월경, 소화성 궤양 출혈, 결장신생물과 같은 경우)
⇒검사과정 : 검사전 적어도 12시간 동안 금식해야 한다. 말초정맥에서 대략 7ml 뽑아서 검사실로 보내며 인위적으로 철분수치가 증가하는 것을 피 하기 위해 20게이지 이상의 바늘을 사용한다.
⇒간호 : 검사전 12시간 금식하며 최근의 수혈 경력과 고철분 함유 식이 섭취 여부를 사정한다. 정맥 천자후에 압박을 가하거나 혹은 그 부위에 압 박 드레싱을 한다.
4. 혈청 페리틴 검사
*정상 : 12~300ng/ml 10~150ng/dl
*이 검사는 이용가능한 저장된 철분의 양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이다. 페리틴은 주요 철분 저장 단백질로서 정상적으로 철분 저장량에 비례해서 혈청내 수치가 나타난다.
⇒감소 : 철분 결핍성 빈혈, 심한 단백질 고갈
⇒증가 : 철분의 과다, 용혈성 빈혈, 혈색소증, 히모시데린 침착증, 거대적아구성 빈혈, 일부 간질환
5. 골수검사
*정상 : 활성화된 적혈구 세포, 골수세포, 거핵구:혈소판 생산
*골수검사는 적혈구, 백혈구, 거핵구의 수, 크기, 모양 뿐만 아니라 골수내에서 이러한 세포들의 진화 과정도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백혈구 전구체의 숫자가 증가하면 백혈병이나 백혈병과 유사한 질병으로 의 심해 본다.
⇒백혈구 전구체 증가 : 감염시
⇒백혈구 전구체 감소 : 골수 섬유소증, 노인, 전이성 신생물질 형성, 무과립구 증, 방사선요법, 화학요법 후
⇒검사과정 : 골수천자는 흉골, 장골능, 전.후 장골극에서 실시하며 아동의 경우 에는 경골 근위부에서 주로 천자한다. 골수생검 표본 적출은 장 골능이나 종양이 의심되는 부위의 어느곳에서 실시한다.
⇒간호 : 환자에게 절차를 설명하고 안정시키며 검사시 환자가 움직이지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6.04.26
  • 저작시기200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41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