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Bone marrow aspiration
골수천자
* 검사목적
-> 대부분의 혈액질환 진단 시에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검사이다. 적혈구의 수, 크기 모양 뿐 아니라 백혈구와 혈소판이 변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1. 혈액질환의 진단을 위함, 즉 말초 혈액세포를 검사한 후 그에 관계되는 것을 확정한다.
2. 질병의 결과나 치료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3. 질환이 순수한 혈액질환이 근원인지 또는 전이성 암이나 감염성 질환, 육아종이나 기생충 질환에 의한 것인지 파악키 위함.
4. 세균이나 기타 병원체를 배양하거나 동물에 이식하기 위함
* 검사과정->
1. 피부와 피하조직 밑에 있는 골막을 국소마취제로 마취시킨다.
2. 짧고 날카로운 탐침이 넣어진 바늘이 뼈의 피질을 뚫고 골수에 삽입시킨다.
3. 바늘이 골수에 들어가면 탐침을 뺀다. 대신 주사기가 연결되고 1-2ml의 골수를 뽑는다. 이때 골수는 마취될 수 없으므로 약간의 통증이 잠깐 있게 된다.
4. 의사가 채취한 골수를 병리사가 slide에 도말(smear)한다.
1. 검사의 목적을 대상자에게 설명한다.
2. 검사승낙서를 검사 전에 받는다.
3. 대상자가 매우 불안해하면 진정제를 투여하도록 한다.
4. 검사부위에 따라 적당한 자세를 취해준다.
5. 검사부위는 povidione-iodine과 같은 방부제 용액으로 잘 씻고 멸균포로 덮는다.
1. 절차가 끝난 후 즉시 sand bag으로 압박시키게 되는데 이를 환자와 보호자에게 이해시키고 약 24시간 정도 sand bag을 유지시키며 침상안정을 시킨다.
2. 출혈이 멈출 때까지 천자부위에 압력을 가해 준다.
3.압박드레싱이나 모래주머니나 얼음주머니를 이용한 지혈간호를 시도하여 천자부위에서의 혈종형성을 예방한다.
4. 천자 후 출혈과 압통이나 홍반 등의 감염증상을 확인한다.
5. 천자부위에 통증이 있으면 가벼운 진통제를 사용한다.
검사명
검사 목적 및 방법
검사 전 간호
검사 후 간호
B.T & C. T
출혈검사 & 응고검사
* 검사목적
-> Bleeding Time은 지혈과 관련된 혈소판인자와 혈관을 평가하는 것이고 Clothing Time은 혈병 용해시간으로 혈소판 감소에 의한 출혈성 질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검사를 말한다.
* 검사과정->
1. 환자가 침상에 누운 상태에서 전박의 안쪽 피부를 알코올, 포비딘으로 깨끗이 소독한다.
2. 팔꿈치 위에 혈압을 40mmHg를 유지시키면서 작을 열상을 피부 안쪽으로 3mm깊이로 만든 후 출혈이 멈추는 시간을 기록한다.
1. 검사의 절차를 설명한다.
2. 검사 부위를 소독한다.
1. 대상자의 전박에 드레싱을 한다.
2. 계속적인 출혈 증상이 있는지 관찰한다.
3. 합병증을 사정한다.
Shilling test
비타민 B12 흡수검사
* 검사목적
-> 비타민 B12와 엽산 결핍성 빈혈을 감별할 때, 비타민 B12 결핍성빈혈을 진단할 때, 증후 성 비타민 B12 흡수불량증상을 진단할 때 실시한다.
* 검사과정->
비타민 B12의 흡수시험을 한다. 즉, 표식 비타민 B12 1000ug을 정맥 주사 한 2시간 후에 방사선 표식한 비타민 B12 0.5ug을 경구투여하고 흡수율을 측정한다.
표식 비타민 B12가 24시간 내에 5% 이하로 뇨에 배설되면 악성빈혈로 판정한다(정상은 15~40%). 그러나 내인자(intrinsic factor)를 동시에 투여하면 비타민 B12의 배설이 5배 이상 증가된다.
1. 검사의 절차를 설명한다.
2. 검사 부위를 소독한다.
검사의 결과를 제공해주고, 검사 결과를 이해하고 이를 간호 계획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어야한다.
Erythrocyte indices
적혈구지표
* 검사목적
-> 적혈구의 크기와 혈색소 치를 측정하는 검사, 여러 종류의 빈혈을 진단하는데 유용하다.
* 검사과정
-> 적혈구수와 Hb, Hct에 의해 계산된다. 평균 용혈구 용적, 평균혈구혈색소량, 평균혈구혈색소 농도가 사용된다.
1. 검사의 절차를 설명한다.
2. 검사 부위를 소독한다.
검사의 결과를 제공해주고, 검사 결과를 이해하고 이를 간호 계획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어야한다.
혈액은행검사
ABO 혈액형 검사
* 검사목적
-> 응집 또는 용혈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적혈구를 손상시키는 항체의 존재를 평가하기 위함. 보통 수혈을 위한 교차 시험이나 태아적아구증 진단을 위한 제대혈액 검사에 사용되며 그 외 후천성 용혈성 빈혈을 진단하는데도 사용된다.
* 검사과정->
1. ABO 혈액형 검사: 검사에는 적혈구 항원을 검사하는 혈구형 검사(cell typing 또는front typing)와 혈청 속에 존재하는 항체를 검사하는 혈청형 검사(serum typing 또는 back typing)의 두가지검사를 시행하여 ABO 혈액형을 판별하게 된다.
2. Rh 혈액형 검사 : Rh 식 혈액형 판정은 ABO식과는 별도의 항원계를 사용하는 판정법이다. 적혈구에 D 항원을 가진 Rh(+)형 사람의 혈액과 갖지 않은 Rh(-)형 사람의 혈액을 혼합하면 항 D 항체라고 하는 항체가 생기며 이 항체에는 Rh(+)인 사람의 혈액을 응집시키든지, 용혈시키는 작용이 있다. 따라서 Rh(-)의 혈액형인 사람에는 Rh(-)의 사람만이 수혈해야 한다.
3. Coomb's test: 어떤 항원에 대한 항체가 몸 속에 생성되었는지 알기 위해 혈액을 추출해서 그 항원과 섞어준 뒤 침전 반응을 관찰한다.
4. HLA(조직 적합성 항원 검사): 체세포표면에 있는 단백질로서 이식 항원이라고 하며 가장 좋은 선택은 형제나 자매이며 A, B, C, DR, DQ가 골수이식에 중요하며 조직적합성항원 검사란 이 두 가지씩 존재하는 A, B, C, DR, DQ항원의 종류를 결정하는 검사로서 혈청학적이나 유전자기법을 이용한 두가지 방법으로 시행되며 골수이식에 필수적인 검사이다.
1. 검사 목적을 알고 있어야 하며 검사비용, 대상자가 기대하는 것 등을 알고 있어야한다.
2. 대상자의 관심거란 의문점이 무엇인지 파악해야한다.
검사의 결과를 제공해주고, 검사 결과를 이해하고 이를 간호 계획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어야한다.
Rh 혈액형 검사
Coomb's test
HLA
골수천자
* 검사목적
-> 대부분의 혈액질환 진단 시에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검사이다. 적혈구의 수, 크기 모양 뿐 아니라 백혈구와 혈소판이 변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1. 혈액질환의 진단을 위함, 즉 말초 혈액세포를 검사한 후 그에 관계되는 것을 확정한다.
2. 질병의 결과나 치료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3. 질환이 순수한 혈액질환이 근원인지 또는 전이성 암이나 감염성 질환, 육아종이나 기생충 질환에 의한 것인지 파악키 위함.
4. 세균이나 기타 병원체를 배양하거나 동물에 이식하기 위함
* 검사과정->
1. 피부와 피하조직 밑에 있는 골막을 국소마취제로 마취시킨다.
2. 짧고 날카로운 탐침이 넣어진 바늘이 뼈의 피질을 뚫고 골수에 삽입시킨다.
3. 바늘이 골수에 들어가면 탐침을 뺀다. 대신 주사기가 연결되고 1-2ml의 골수를 뽑는다. 이때 골수는 마취될 수 없으므로 약간의 통증이 잠깐 있게 된다.
4. 의사가 채취한 골수를 병리사가 slide에 도말(smear)한다.
1. 검사의 목적을 대상자에게 설명한다.
2. 검사승낙서를 검사 전에 받는다.
3. 대상자가 매우 불안해하면 진정제를 투여하도록 한다.
4. 검사부위에 따라 적당한 자세를 취해준다.
5. 검사부위는 povidione-iodine과 같은 방부제 용액으로 잘 씻고 멸균포로 덮는다.
1. 절차가 끝난 후 즉시 sand bag으로 압박시키게 되는데 이를 환자와 보호자에게 이해시키고 약 24시간 정도 sand bag을 유지시키며 침상안정을 시킨다.
2. 출혈이 멈출 때까지 천자부위에 압력을 가해 준다.
3.압박드레싱이나 모래주머니나 얼음주머니를 이용한 지혈간호를 시도하여 천자부위에서의 혈종형성을 예방한다.
4. 천자 후 출혈과 압통이나 홍반 등의 감염증상을 확인한다.
5. 천자부위에 통증이 있으면 가벼운 진통제를 사용한다.
검사명
검사 목적 및 방법
검사 전 간호
검사 후 간호
B.T & C. T
출혈검사 & 응고검사
* 검사목적
-> Bleeding Time은 지혈과 관련된 혈소판인자와 혈관을 평가하는 것이고 Clothing Time은 혈병 용해시간으로 혈소판 감소에 의한 출혈성 질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검사를 말한다.
* 검사과정->
1. 환자가 침상에 누운 상태에서 전박의 안쪽 피부를 알코올, 포비딘으로 깨끗이 소독한다.
2. 팔꿈치 위에 혈압을 40mmHg를 유지시키면서 작을 열상을 피부 안쪽으로 3mm깊이로 만든 후 출혈이 멈추는 시간을 기록한다.
1. 검사의 절차를 설명한다.
2. 검사 부위를 소독한다.
1. 대상자의 전박에 드레싱을 한다.
2. 계속적인 출혈 증상이 있는지 관찰한다.
3. 합병증을 사정한다.
Shilling test
비타민 B12 흡수검사
* 검사목적
-> 비타민 B12와 엽산 결핍성 빈혈을 감별할 때, 비타민 B12 결핍성빈혈을 진단할 때, 증후 성 비타민 B12 흡수불량증상을 진단할 때 실시한다.
* 검사과정->
비타민 B12의 흡수시험을 한다. 즉, 표식 비타민 B12 1000ug을 정맥 주사 한 2시간 후에 방사선 표식한 비타민 B12 0.5ug을 경구투여하고 흡수율을 측정한다.
표식 비타민 B12가 24시간 내에 5% 이하로 뇨에 배설되면 악성빈혈로 판정한다(정상은 15~40%). 그러나 내인자(intrinsic factor)를 동시에 투여하면 비타민 B12의 배설이 5배 이상 증가된다.
1. 검사의 절차를 설명한다.
2. 검사 부위를 소독한다.
검사의 결과를 제공해주고, 검사 결과를 이해하고 이를 간호 계획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어야한다.
Erythrocyte indices
적혈구지표
* 검사목적
-> 적혈구의 크기와 혈색소 치를 측정하는 검사, 여러 종류의 빈혈을 진단하는데 유용하다.
* 검사과정
-> 적혈구수와 Hb, Hct에 의해 계산된다. 평균 용혈구 용적, 평균혈구혈색소량, 평균혈구혈색소 농도가 사용된다.
1. 검사의 절차를 설명한다.
2. 검사 부위를 소독한다.
검사의 결과를 제공해주고, 검사 결과를 이해하고 이를 간호 계획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어야한다.
혈액은행검사
ABO 혈액형 검사
* 검사목적
-> 응집 또는 용혈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적혈구를 손상시키는 항체의 존재를 평가하기 위함. 보통 수혈을 위한 교차 시험이나 태아적아구증 진단을 위한 제대혈액 검사에 사용되며 그 외 후천성 용혈성 빈혈을 진단하는데도 사용된다.
* 검사과정->
1. ABO 혈액형 검사: 검사에는 적혈구 항원을 검사하는 혈구형 검사(cell typing 또는front typing)와 혈청 속에 존재하는 항체를 검사하는 혈청형 검사(serum typing 또는 back typing)의 두가지검사를 시행하여 ABO 혈액형을 판별하게 된다.
2. Rh 혈액형 검사 : Rh 식 혈액형 판정은 ABO식과는 별도의 항원계를 사용하는 판정법이다. 적혈구에 D 항원을 가진 Rh(+)형 사람의 혈액과 갖지 않은 Rh(-)형 사람의 혈액을 혼합하면 항 D 항체라고 하는 항체가 생기며 이 항체에는 Rh(+)인 사람의 혈액을 응집시키든지, 용혈시키는 작용이 있다. 따라서 Rh(-)의 혈액형인 사람에는 Rh(-)의 사람만이 수혈해야 한다.
3. Coomb's test: 어떤 항원에 대한 항체가 몸 속에 생성되었는지 알기 위해 혈액을 추출해서 그 항원과 섞어준 뒤 침전 반응을 관찰한다.
4. HLA(조직 적합성 항원 검사): 체세포표면에 있는 단백질로서 이식 항원이라고 하며 가장 좋은 선택은 형제나 자매이며 A, B, C, DR, DQ가 골수이식에 중요하며 조직적합성항원 검사란 이 두 가지씩 존재하는 A, B, C, DR, DQ항원의 종류를 결정하는 검사로서 혈청학적이나 유전자기법을 이용한 두가지 방법으로 시행되며 골수이식에 필수적인 검사이다.
1. 검사 목적을 알고 있어야 하며 검사비용, 대상자가 기대하는 것 등을 알고 있어야한다.
2. 대상자의 관심거란 의문점이 무엇인지 파악해야한다.
검사의 결과를 제공해주고, 검사 결과를 이해하고 이를 간호 계획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어야한다.
Rh 혈액형 검사
Coomb's test
HLA
키워드
추천자료
케이스스터디(골관절염, 인공관절술)
만성신부전
중환자실보고서( 1. aspiration pneumonia 2. uncontrolled diabetes mellituse ( type Ⅱ)
성인간호 신경외과 케이스 스터디
[실어증][아동기 실어증][성인 실어증][실어증 진단검사][실어증 치료][실어증 회복]실어증의...
NCU(신경외과 중환자실) 실습 리포트
임상병리 정보시스템(LIS)
성인 Brain tumor 뇌종양 간호사정/진단/과정
호흡기계 진단보고서
급성호흡부전 케이스, 병태생리, 간호과정, 간호진단 5개, A+ 받았습니다.
퇴행성 관절염 / 수술실 사례관리 / 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 A+ 지주막하출혈 subarachnoid hemorrhage SAH 간호진단 2개 신경학적 사정 ...
A+ 직장암 Rectal cancer 케이스 스터디 (문헌고찰 직장암 사례연구 직장암 간호과정 직장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