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학실습_A+_임신성고혈압(Pregnancy-Induced Hypertension)_케이스 문헌고찰포함 자세하게 작성함!!!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간호학실습_A+_임신성고혈압(Pregnancy-Induced Hypertension)_케이스 문헌고찰포함 자세하게 작성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Ⅱ. 문헌고찰1-15
1. 임신성 고혈압(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PIH)1-9
1) 정의1-2
2) 병태생리2
3) 원인2
4) 임상증상2-4
5) 진단4-5
6) 예방5
7) 치료6
8) 간호7-9
9) 예후9
2. 유도분만(induction of labor)9-12
3. 제왕절개분만(cesarean section)12-15

Ⅲ. 사례보고서16-30
1. 기본정보조사16-23
2. 간호과정23-30

Ⅳ. 결론 및 제언31

Ⅴ. 간호과정 자가평가서31

Ⅵ. 참고문헌32

본문내용

대 감은 설압자, 산소, 흡입기, 응급기구를 준비하였다.
13. 전문가와 함께 대상자의 식단을 구성하여 균형 잡힌 식이를 제공하였다.
특히 고단백, 저염식이로 구성하여 단백질 70g 이상, 염분 2.5-7g,
칼슘 1.200mg, 아연 10.5mg, 마그네슘 320mg, 비타민 830mg으로 구성하였다.
14. 수분 섭취의 필요성을 교육하였다.
“현재 산모님의 몸은 혈액 관류가 감소되어 있고, 특히 신장의 혈액 흐름과 사구체 여과율이 감소되 어서 혈압이 높아져 있는 상태에요. 따라서 하루 6잔 이상 적당량의 수분 섭취를 통해 신장 관류와 여과를 용이하도록 해주시는 게 좋아요.”라고 설명하여 수분을 적절히 섭취할 것을 교육하였다.
15. 고단백, 저염, 고탄수, 고섬유 식이를 적용하며, 식이 제한의 필요성을 교육한다.
“산모님, 체내의 단백질이 소변으로 많이 빠져나가고 있어요. 단백질은 70g 이상 섭취하시는 게 좋고, 염분을 아예 제한할 필요는 없지만 고나트륨 식이의 경우에는 오히려 혈압을 증가시킬 수 있으니 어 느 정도 제한해야 할 필요가 있어요.”라고 설명하여 식이 제한을 교육하였다.
16. 증상의 악화 징후를 교육하여 증상 발현 시 즉시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현재 산모님께는 자간전증이 진행되고 있어요. 좀 더 악화되면 자간증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자간증 이 발생하면 두통이 선행되며 흥분이나 과민반응, 시야 흐림 또는 실명 등의 시각장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혹시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지체 말고 즉시 호출벨로 알려주세요.”라고 설명하였으며,
대상자는 고개를 끄덕이며 이해하였음을 표현했다.
평가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자간전증에서 자간증으로 진행되지 않을 것이다. (달성)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자간전증에서 자간증으로 진행되지 않았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요흔성 부종의 정도가 2㎜(1+) 이내로 감소될 것이다. (미달성)날짜
시간
23.11.22
18:00
6mm(3+)
23.11.23
18:00
4mm(2+)
23.11.24
18:00
4mm(2+)
2. 대상자는 산후 3일 이내에 혈압이 정상범위(120/80mmHg)와의 오차가 ±5 정도 이내로 회복될 것이다. (미달성)
일자
혈압
수축기
이완기
수술일
160
100
산후 1일
150
90
산후 2일
140
80
Ⅳ. 결론 및 제언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 시 정상 혈압이었던 임부가 심혈관계의 변화로 인해 혈압이 상승되며, 고혈압이었던 임부는 이를 더욱 악화시킨다. 임신성 고혈압은 모성 및 주산기 이환과 사망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고혈압성 장애는 임신의 7~10%에서 합병되고 주산기 사망률은 10~20%에 달하며 주산기 사망의 원인은 대부분 조산이다. 산모뿐만 아니라 태아에게도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세심한 관찰과 치료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임신성 고혈압에 대해 모르는 사람들이 많고 합병증의 위험성에 대해 간과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기에 임신성 고혈압에 대해 사례보고서를 작성해보았다.
임신성 고혈압에 대해 문헌고찰과 사례보고서를 작성하며 이에 대해 고찰해 볼 수 있었고, 예비 간호사로서 임신성 고혈압 대상자의 치료 및 간호와 합병증 예방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배울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이번 사례 연구를 통해 대상자에 대한 정보 파악이 실로 중요함을 다시금 깨닫게 되었다. 임신주수가 같거나 고위험 질환에 묶여있는 산모라 할지라도 대상자의 과거력과 가족력, 이전의 산과력 등 대상자의 건강 정보에 따라 다른 처치와 간호 중재가 필요함을 주의 깊게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임신성 고혈압에 대해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조금은 번거롭고 불편할 수 있으나 지속적인 관찰과 간호가 필요한 질병임을 다시 한 번 느끼게 되었다. 이번 사례보고서를 준비하며 임신성 고혈압의 병태생리부터 증상, 검사, 치료 및 간호까지의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지식을 지니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임상에서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것까지 배우게 되는 계기가 되어 의미 있고 뜻 깊은 시간이었다.
Ⅴ. 간호과정 자가평가서
번호
평가항목

아니오
1
자료를 충분히 폭넓게 수집했는가?

2
자료를 충분히 깊게 수집했는가?

3
환자와 면담 시 환자의 말을 잘 청취했는가?

4
환자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모든 유용한 자원을 활용하였는가?

5
환자의 문제를 신속히 파악했는가?

6
환자의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문제를 파악했는가?

7
간호를 계획할 때 다른 건강팀과 상의를 했는가?

8
간호계획이 합리적 근거에 합당하게 제시되었는가?

9
간호계획을 현실에 맞게 제시했는가?

10
간호계획을 실제 상황에 맞게 수행했는가?

11
간호수행을 형식에 맞게 수행했는가?

12
새로운 지식과 절차에 관해 배우려는 노력을 했는가?

13
간호목표에 준하여 간호평가를 했는가?

14
간호목표는 충분히 달성되었는가?

15
간호의 향상을 위해 평가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자료를 수집했는가?

16
참고문헌을 충분히 이용했는가?

Ⅵ. 참고문헌
1. 안숙희 외(2021), 모성여성간호학Ⅱ, p.32-51, 현문사
2. 이옹현(2020), 퍼시픽 모성간호학(2021년 대비), p.180-183, 퍼시픽북스
3. 병원간호사회
http://www.khna.or.kr/homecare_new/10_pregn/pregnancy05.php
4. 대한산부인과학회
https://www.ksog.org/public/index.php?sub=1&third=7
5.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46
6.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30
7.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8.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 가격4,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25.04.20
  • 저작시기202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695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