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Ⅰ. 서론1
1. 연구의 필요성 1
Ⅱ. 지역사회 특성1-12
1. 지리적 특성1-5
2. 인구학적 특성5-8
3. 환경적 특성8-10
4. 사회·경제적 특성11-12
Ⅲ. 지역사회 건강수준13-20
1. 출생 및 사망13-14
2. 질병이환 상태14-15
3. 감염병 발생률16-18
4. 건강행위 실천18-20
Ⅳ. 지역사회 자원20-28
1. 민간의료기관20
2. 출생 및 사망20-21
3.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실태21-23
4. 인적자원23-24
5. 사회자원24-25
6. 보건소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업25-28
Ⅴ. 지역사회 건강문제29-30
Ⅵ. 오마하체계 사례적용31-32
Ⅶ. 간호수행계획33-35
Ⅷ. 결론35
Ⅸ. 참고문헌36
1. 연구의 필요성 1
Ⅱ. 지역사회 특성1-12
1. 지리적 특성1-5
2. 인구학적 특성5-8
3. 환경적 특성8-10
4. 사회·경제적 특성11-12
Ⅲ. 지역사회 건강수준13-20
1. 출생 및 사망13-14
2. 질병이환 상태14-15
3. 감염병 발생률16-18
4. 건강행위 실천18-20
Ⅳ. 지역사회 자원20-28
1. 민간의료기관20
2. 출생 및 사망20-21
3.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실태21-23
4. 인적자원23-24
5. 사회자원24-25
6. 보건소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업25-28
Ⅴ. 지역사회 건강문제29-30
Ⅵ. 오마하체계 사례적용31-32
Ⅶ. 간호수행계획33-35
Ⅷ. 결론35
Ⅸ. 참고문헌36
본문내용
1,150
-
1,601
716
885
능 동
298
-
409
186
223
구의 1동
739
-
990
460
530
구의 2동
825
-
1,182
544
638
구의 3동
383
-
534
241
293
광장동
192
-
255
127
128
자양 1동
985
-
1,332
640
692
자양 2동
660
-
907
396
511
자양 3동
287
-
390
185
205
자양 4동
855
-
1,005
538
467
기타
89
20
89
14
75
국가보훈대상자 현황
년 도
2019
2020
2021
2022
소 계
2,367
2,223
2,065
1,968
장애인 현황 (2023년 기준)
계
남자
여자
소 계
12,171
7,026
5,145
화양동
531
301
230
군자동
798
475
323
중곡1동
661
372
289
중곡2동
883
507
376
중곡3동
746
441
605
중곡4동
1.274
752
522
능 동
374
212
162
구의 1동
809
469
340
구의 2동
1.034
602
432
구의 3동
794
441
353
광장동
719
426
293
자양 1동
913
516
397
자양 2동
921
521
400
자양 3동
788
439
349
자양 4동
926
552
374
기타
-
-
-
독거노인 현황 (2023년 기준)
계
남자
여자
소 계
13,657
4,631
9,026
화양동
682
257
425
군자동
927
335
592
중곡1동
759
282
477
중곡2동
921
327
594
중곡3동
992
383
609
중곡4동
1.354
462
892
능 동
408
138
270
구의 1동
943
318
625
구의 2동
1.126
382
744
구의 3동
790
225
565
광장동
618
183
435
자양 1동
1.147
363
784
자양 2동
908
291
617
자양 3동
862
236
626
자양 4동
1.220
449
771
Ⅲ. 지역사회 건강 수준
(1) 출생 및 사망(출생률, 조사망률, 원인별 사망률, 영아사망률, 모성사망률, 합계출산율 등)
광진구
서울특별시
전국
출생건수(2022)
1.278
39,400
230.000
조출생률(2022)
3.8
4.2
4.5
조사망률(2022)
5.1
5.5
6.9
영아사망률(2022)
-
-
-
모성사망률(2022)
0.18
?
2.4
합계출산율(2022)
0.46
0.550
0.720
원인별 사망률
서울특별시
광진구
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
6,300
213
신생물
13,799
472
혈액 및 조혈기관질환과 면역메커니즘을 침범하는 특정장애
104
3
내분비 영양 및 대사 질환
2,242
84
정신 및 행동장애
560
11
신계통의 질환
3,092
98
순환계통의 질환
10,072
312
호흡계통의 질환
4,907
142
소화계통의 질환
2,044
64
피부 및 피하조직의 질환
51
1
근육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
276
9
비뇨생식계통의 질환
1,390
38
임신 출산 및 산후기
5
-
출생전후기에 기원한 특정병태
39
1
선천 기형 변형 및 염색체 이상
49
2
달리 분류되지 않은 증상 징후
6,349
158
질병이환 및 사망의 외인
4,017
111
귀 및 유돌의 질환
-
-
눈 및 부속기의 질환
-
-
2) 질병이환 상태
만성질환 유병률
비만 (2023)
광진구
비만도 분포
체질량지수
(BMI) (평균)
비만
(BMI≥25)
저체중
(BMI<18.5)
정상
(18.5≤BMI<25)
소계
29.4
4.8
65.8
23.6
당뇨병 (2023)
서울특별시 응답자수(명)
조율(%)
광진구 응답자수(명)
조율(%)
혈당수치 인지율
22,926
36.6
916
36.3
당뇨병 진단 경험률(30세 이상)
19,793
11.4
756
13.3
당뇨병 진단 경험자(30세 이상)의 치료율
2,546
92.2
108
92.9
당뇨성 안질환 합병증 검사(안저검사)
2,546
53.1
108
71.6
당뇨성 신장질환 합병증 검사(미세단백뇨검사) 수진율 (30세 이상)
2,545
63.0
108
81.0
고혈압 (2023)
서울특별시 응답자수(명)
조율(%)
광진구 응답자수(명)
조율(%)
혈압수치 인지율
22,925
68.1
916
76.1
고혈압 진단 경험률 (30세 이상)
19,792
26.5
756
27.3
고혈압 진단 경험자(30세 이상)의 치료율
5,972
92.0
216
94.9
뇌졸중(중풍) 조기증상 인지율 (2023)
서울특별시 응답자수(명)
조율(%)
광진구
응답자수(명)
조율(%)
2021
21,755
53.0
917
55.7
2022
21,816
55.7
918
61.8
2023
22,226
59.0
916
67.7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 (2023)
서울특별시 응답자수(명)
조율(%)
광진구
응답자수(명)
조율(%)
2021
21,610
46.0
917
52.3
2022
21,730
45.9
918
57.4
2023
22,104
49.1
916
63.2
3) 감염병 발생률 (2022)
1급 감염병
구분
전국
서울
광진구
에볼라바이러스병
0
0
0
마버그열
0
0
0
라싸열
0
0
0
크리미아콩고출혈열
0
0
0
남아메리카출혈열
0
0
0
리프트밸리열
0
0
0
두창
0
0
0
페스트
0
0
0
탄저
0
0
0
보툴리눔독소증
0
0
0
야토병
0
0
0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SARS)
0
0
0
중종호흡기증후군
(MERS)
0
0
0
동물인플루엔자인체감염증
0
0
0
신종인플루인자
0
0
0
디프테리아
0
0
0
2급 감염병
구분
전국
서울
광진구
결핵
-
2,756
112
수두
18,547
2,426
87
홍역
0
0
0
콜레라
0
0
0
장티푸스
38
9
0
파라티푸스
31
4
0
세균성이질
31
4
0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211
30
1
A형간염
1,890
371
9
백일해
31
3
0
유행성이하선염
6,358
848
11
풍진
0
0
0
폴리오
0
0
0
수막구균감염증
3
1
0
B형헤모필루스인풀루엔자
1
0
0
페렴구균감염증
339
64
3
한센병
2
0
0
성홍열
505
81
4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E)감염증
1
1
0
카바페
-
1,601
716
885
능 동
298
-
409
186
223
구의 1동
739
-
990
460
530
구의 2동
825
-
1,182
544
638
구의 3동
383
-
534
241
293
광장동
192
-
255
127
128
자양 1동
985
-
1,332
640
692
자양 2동
660
-
907
396
511
자양 3동
287
-
390
185
205
자양 4동
855
-
1,005
538
467
기타
89
20
89
14
75
국가보훈대상자 현황
년 도
2019
2020
2021
2022
소 계
2,367
2,223
2,065
1,968
장애인 현황 (2023년 기준)
계
남자
여자
소 계
12,171
7,026
5,145
화양동
531
301
230
군자동
798
475
323
중곡1동
661
372
289
중곡2동
883
507
376
중곡3동
746
441
605
중곡4동
1.274
752
522
능 동
374
212
162
구의 1동
809
469
340
구의 2동
1.034
602
432
구의 3동
794
441
353
광장동
719
426
293
자양 1동
913
516
397
자양 2동
921
521
400
자양 3동
788
439
349
자양 4동
926
552
374
기타
-
-
-
독거노인 현황 (2023년 기준)
계
남자
여자
소 계
13,657
4,631
9,026
화양동
682
257
425
군자동
927
335
592
중곡1동
759
282
477
중곡2동
921
327
594
중곡3동
992
383
609
중곡4동
1.354
462
892
능 동
408
138
270
구의 1동
943
318
625
구의 2동
1.126
382
744
구의 3동
790
225
565
광장동
618
183
435
자양 1동
1.147
363
784
자양 2동
908
291
617
자양 3동
862
236
626
자양 4동
1.220
449
771
Ⅲ. 지역사회 건강 수준
(1) 출생 및 사망(출생률, 조사망률, 원인별 사망률, 영아사망률, 모성사망률, 합계출산율 등)
광진구
서울특별시
전국
출생건수(2022)
1.278
39,400
230.000
조출생률(2022)
3.8
4.2
4.5
조사망률(2022)
5.1
5.5
6.9
영아사망률(2022)
-
-
-
모성사망률(2022)
0.18
?
2.4
합계출산율(2022)
0.46
0.550
0.720
원인별 사망률
서울특별시
광진구
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
6,300
213
신생물
13,799
472
혈액 및 조혈기관질환과 면역메커니즘을 침범하는 특정장애
104
3
내분비 영양 및 대사 질환
2,242
84
정신 및 행동장애
560
11
신계통의 질환
3,092
98
순환계통의 질환
10,072
312
호흡계통의 질환
4,907
142
소화계통의 질환
2,044
64
피부 및 피하조직의 질환
51
1
근육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
276
9
비뇨생식계통의 질환
1,390
38
임신 출산 및 산후기
5
-
출생전후기에 기원한 특정병태
39
1
선천 기형 변형 및 염색체 이상
49
2
달리 분류되지 않은 증상 징후
6,349
158
질병이환 및 사망의 외인
4,017
111
귀 및 유돌의 질환
-
-
눈 및 부속기의 질환
-
-
2) 질병이환 상태
만성질환 유병률
비만 (2023)
광진구
비만도 분포
체질량지수
(BMI) (평균)
비만
(BMI≥25)
저체중
(BMI<18.5)
정상
(18.5≤BMI<25)
소계
29.4
4.8
65.8
23.6
당뇨병 (2023)
서울특별시 응답자수(명)
조율(%)
광진구 응답자수(명)
조율(%)
혈당수치 인지율
22,926
36.6
916
36.3
당뇨병 진단 경험률(30세 이상)
19,793
11.4
756
13.3
당뇨병 진단 경험자(30세 이상)의 치료율
2,546
92.2
108
92.9
당뇨성 안질환 합병증 검사(안저검사)
2,546
53.1
108
71.6
당뇨성 신장질환 합병증 검사(미세단백뇨검사) 수진율 (30세 이상)
2,545
63.0
108
81.0
고혈압 (2023)
서울특별시 응답자수(명)
조율(%)
광진구 응답자수(명)
조율(%)
혈압수치 인지율
22,925
68.1
916
76.1
고혈압 진단 경험률 (30세 이상)
19,792
26.5
756
27.3
고혈압 진단 경험자(30세 이상)의 치료율
5,972
92.0
216
94.9
뇌졸중(중풍) 조기증상 인지율 (2023)
서울특별시 응답자수(명)
조율(%)
광진구
응답자수(명)
조율(%)
2021
21,755
53.0
917
55.7
2022
21,816
55.7
918
61.8
2023
22,226
59.0
916
67.7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 (2023)
서울특별시 응답자수(명)
조율(%)
광진구
응답자수(명)
조율(%)
2021
21,610
46.0
917
52.3
2022
21,730
45.9
918
57.4
2023
22,104
49.1
916
63.2
3) 감염병 발생률 (2022)
1급 감염병
구분
전국
서울
광진구
에볼라바이러스병
0
0
0
마버그열
0
0
0
라싸열
0
0
0
크리미아콩고출혈열
0
0
0
남아메리카출혈열
0
0
0
리프트밸리열
0
0
0
두창
0
0
0
페스트
0
0
0
탄저
0
0
0
보툴리눔독소증
0
0
0
야토병
0
0
0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SARS)
0
0
0
중종호흡기증후군
(MERS)
0
0
0
동물인플루엔자인체감염증
0
0
0
신종인플루인자
0
0
0
디프테리아
0
0
0
2급 감염병
구분
전국
서울
광진구
결핵
-
2,756
112
수두
18,547
2,426
87
홍역
0
0
0
콜레라
0
0
0
장티푸스
38
9
0
파라티푸스
31
4
0
세균성이질
31
4
0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211
30
1
A형간염
1,890
371
9
백일해
31
3
0
유행성이하선염
6,358
848
11
풍진
0
0
0
폴리오
0
0
0
수막구균감염증
3
1
0
B형헤모필루스인풀루엔자
1
0
0
페렴구균감염증
339
64
3
한센병
2
0
0
성홍열
505
81
4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E)감염증
1
1
0
카바페
추천자료
지역사회 간호 실습- 보건진료소 실습 레포트
지역사회간호학 산업장실습 A+받은 Case study입니다.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광산구 간호문제 간호과정입니다.
[지역사회간호학] 지역사회간호과정
지역사회간호학 간호과정 CASE 뇌졸중
지역사회 오마하체계 보고서지역사회실습 간호과정 케이스
간호학과 3학년 2학기 지역사회간호학- 오마하분류체계를 이용하여 본인이 거주하는 시.군.구...
지역사회간호학 ) 지역사회간호사업과 밀접한 전문간호사 (보건, 가정, 산업) 중 1가지를 선...
양산시 지역사회간호학 간호과정 (a+보장, 피드백 수정완료)
[지역사회간호학실습/A+과제] 고혈압 케이스 스터디 (OMAHA / 간호진단 12개 / 간호과정1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