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풍백화점의 붕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풍백화점의 붕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사고원인
(1)설계상원인
(2)설계상실수원인
(3)시공상문제
(4)유지관리상문제
(5)사회환경적요인
2)조치사항

3.결론

본문내용

난 뒤엔 9,200평으로 증가했다는 것이 말이 되는 소리인가? 도면은 일층 시공 중에 2층 도면이 날아오고 2층 다하면 3층 도면이 날아오고 그런 식이었으니 종합적이 검토란 게 있을 수가 있나 말이다..
6)사회 환경적인 요인
설계도면이 제대로 되지 아니한 때에 공사를 발주하였으나, 건축주의 요구에 따를 수밖에 없는 상황과 설계변경도 서슴치 않으면 않되는 사회 풍토가 이런 대 참사를 낳았다고 볼 수가 있다.
2.조치사항
1)서울시 사고대책본부 설치
조직 : 서울시장을 본부장으로 8개반 85명 편성후 7개반으로 내편
2)구조할동
i)소방본부 : 인명구조 활동
ii)군, 경찰 : 주변교통통제 및 인명구조 특수대 투입
iii)기타 관계기관 협조: 한국통신공사, 한국전력공사, 적십자사, 민방위대, 민간자원 봉사자
Ⅲ. 결 론
1.교훈 및 대책
i)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는 변칙시공으로 기둥 및 철근의 유효단면이 감소되어 응력의 집 중 유발 가능성이 높은데도 준공 후 구조검토 없이 무단변경으로 하중의 초과로 균열의 불안정 요인이 성장
ii) 그 이면에는 건축허가제도, 감리제도 및 공사관행상의 불합리성 등이 간접적 원인으 로 작용
iii) 특히 인명사고가 크게 된 요인은 위해(危害)요인을 발견하고도 정직한 상황분석, 관리 주체의 판단력 부재와 안전에 대한 관련자의 인식부족으로 비상조치를 취할 수 있는 위 기관리 체계의 가동이 늦었음.
ⅳ) 무엇보다 인명경시 풍조와 위기에 대처하는 평시교육과 훈련이 없었던 것이 \"설마\"하 는 안전 불감증을 사고 후 구조 구난에 대한 긴급대용 능력으로 연결되어 한계성이 노출 되어있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5.01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81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