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림의 득세
2. 붕당의 출현
3. 붕당의 성격
2. 붕당의 출현
3. 붕당의 성격
본문내용
여기서 조광조 등이 수립한 정치집단으로서의 붕당은, 종래의 단순한 친소관계나 이해득실에 따라 취합한 私黨的인 데에서 벗어나 어느 정도 公黨的 존재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곧 그들과 대립하던 공신계에 의해 도리어 조정을 어지럽히는 사당으로 물려 죄를 입음으로써, 군주제하에서 신료간의 집단형성(政派)을 정당화하려는 시도는 일단 다음세대로 넘어가게된다.
동인·서인의 붕당이 출현한 선조 대에 붕당으로서의 성격은 어떻게 말할 수 있는가?
이때는 아직 分朋의 초창기였기 때문에 이후의 붕당에서 보이는 세습성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조선 붕당의 특징이라는 학연성도, 동인에 퇴계·남명의 문인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고, 서인에 이이·성혼과 학문적인 교류가 있는 인물들이 가담해 있는 것이 사실이나, 그런 성향 역시 그리 강하게 드러나지는 않았다.
초기의 동인·서인의 붕당에서 비교적 확실하게 찾을 수 있는 것은 출신기반과 관련된 지역성의 요소이다. 대체로 동인의 주축은 영남과 호남 등 지방 출신자이거나 그곳과 연고가 있는 인물로 되어 있으며, 서인은 특히 서울과 경기도 일원에 기반을 두고 대대로 벼슬하여 온 世族집안 출신들이 많았다.
分黨 초기의 동인·서인이 갖는 붕당으로서의 성격은 이러한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주자성리학적 이념의 현실정치에서의 적용을 희구하며 이를 위해 노력하는 士族 내지 士林의 이념을 가진 정치라는데 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
1. 한국사 30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1998, 국사편찬위원회
동인·서인의 붕당이 출현한 선조 대에 붕당으로서의 성격은 어떻게 말할 수 있는가?
이때는 아직 分朋의 초창기였기 때문에 이후의 붕당에서 보이는 세습성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조선 붕당의 특징이라는 학연성도, 동인에 퇴계·남명의 문인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고, 서인에 이이·성혼과 학문적인 교류가 있는 인물들이 가담해 있는 것이 사실이나, 그런 성향 역시 그리 강하게 드러나지는 않았다.
초기의 동인·서인의 붕당에서 비교적 확실하게 찾을 수 있는 것은 출신기반과 관련된 지역성의 요소이다. 대체로 동인의 주축은 영남과 호남 등 지방 출신자이거나 그곳과 연고가 있는 인물로 되어 있으며, 서인은 특히 서울과 경기도 일원에 기반을 두고 대대로 벼슬하여 온 世族집안 출신들이 많았다.
分黨 초기의 동인·서인이 갖는 붕당으로서의 성격은 이러한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주자성리학적 이념의 현실정치에서의 적용을 희구하며 이를 위해 노력하는 士族 내지 士林의 이념을 가진 정치라는데 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
1. 한국사 30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1998, 국사편찬위원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