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장애인고용현황
*장애인근로자 지원현황
*장애인고용촉진의 문제
*장애인고용 촉진대책점
*장애인근로자 지원현황
*장애인고용촉진의 문제
*장애인고용 촉진대책점
본문내용
는 장애인에게는 일자리를 제공해서 『생산적 복지』실현으로 더불어 함께 사는 통합사회구현
- 2001년 장애인 취업목표 : 1만명
1. 장애인고용의무 이행독려
국가·자치단체의 장애인공무원 1만명 조기달성 추진
- 장애인공개채용 비율 5%이행 준수 점검
- 기관별 장애인고용현황 공표
정부투자·출연기관의 의무고용률 달성 적극유도
- 경영혁신과제 선정 및 공기업 평가시 고용실태 반영건의
의무고용률 달성을 위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행 촉구
- 금년도 의무고용업체의 장애인고용률 1% 달성
- 『1사 1장애인 더 채용하기 운동』적극 전개
- 채용박람회 전국적 실시(12회)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제고
- 지속적인 장애인고용촉진 캠페인 실시
- 민간단체와 협력하여 장애인근로자문화제 개최 등
2. 장애인에 대한 직업훈련시설 확충
훈련목표 : 2,800명
권역별·장애유형별 장애인 직업전문학교 건립
- 장애인직업전문학교 3개소 7개소 건립(2002개교 : 대구·전남, 2003년 개교 : 시각·정신지체)
3. 중증장애인 직업능력제고 및 고용촉진강화
중증장애인을 위한 표준사업장 설립·운영(1개소, 50억원)
< 외국의 표준사업장 사례 >
국별
구분
영 국
미 국
독 일
스 웨 덴
사업체명
REMPLOY L.T.D
GOOD WILL
통합회사
(241개소)
SAM HALL
설립년도
1945년
1902년
2000년
1980년
장애인수
6,093명
58,059명
240명
26,000명
주요사업
부품, 포장, 가구, 의류 등
조립, 공원관리, 포장 등
환경관리 서비스 등
서비스, 조립 부품산업 등
4. 장애인고용촉진을 위한 자금 지원
장애인고용은 비장애인에 비해서 노동생산성 면에서 다소 떨어질 수 있음
- 그러나 각종 유·무상 지원제도를 활용한다면 부족분은 충분히 보완할 수 있을 것임
- 장애인을 2%이상 고용할 경우 초과인원수에 대하여는 고용장려금도 무상으로 지급
< 장애인고용시설·운영자금 지원>
구 분
대 상
지 원 내 용
융자·지원조건
융 자
장애인을 고용하고 있거나 새로이 고용하고자 하는 사업주
작업시설, 편의시설, 부대시설의 설치·구입·수리
장애인고용시설운영 및 장애인고용관리에 필요한 운영자금
(300인 이상 사업장)
소요비용 전액
한 사업장당 최고 15억원, 운영자금은 3억원 이내
연리3%, 융자기간 10년
무상지원
장애인용으로 제작된 작업대, 작업장비, 공구, 작업보조기기의 설치·구입·수리 등
소요비용 전액 또는 2/3
한 사업장 당 3억원 이내
<고용장려금 지급기준 >
장애구분
지 급 단 가
지급액(월)
경증 남성
최저임금의 100분의 100
421,000
경증 여성
최저임금의 100분의 125
526,000
중증 남성
최저임금의 100분의 150
632,000
중증 여성
최저임금의 100분의 175
737,000
5. 장애인고용 인프라구축
장애인 고용촉진공단 지방조직 확충(12 18개소)
- 의정부, 천안, 구미, 울산, 목포, 제주 등 6개소
직업재활실시기관과 장애인 취업알선망을 연결하여 고용정보 공유를 통한 취업알선 확대
- 노동부1개소, 공단 17개소, 직업재활실시기관 35개소, 근로복지공단 1개소, 장애인고용안정협회 1개소
6. 장애인의 고용안정 및 자립기반확충
취업장애인 편의를 위한 차량구입자금 및 생활안정자금 융자 지원
- 자동차구입자금 2,000명, 200억원(1/4분기 551명, 55억 지급)
- 직업생활안정자금 1,000명, 100억원(1/4분기 505명, 50억 지급)
자영업희망 장애인에 대한 창업자금 지원대상 확대
- 창업융자금 400명, 200억원(1/4분기 766명, 35억원 접수)
- 영업장소지원 50명, 25억원(1/4분기 15명, 7억원 결정)
- 2001년 장애인 취업목표 : 1만명
1. 장애인고용의무 이행독려
국가·자치단체의 장애인공무원 1만명 조기달성 추진
- 장애인공개채용 비율 5%이행 준수 점검
- 기관별 장애인고용현황 공표
정부투자·출연기관의 의무고용률 달성 적극유도
- 경영혁신과제 선정 및 공기업 평가시 고용실태 반영건의
의무고용률 달성을 위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행 촉구
- 금년도 의무고용업체의 장애인고용률 1% 달성
- 『1사 1장애인 더 채용하기 운동』적극 전개
- 채용박람회 전국적 실시(12회)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제고
- 지속적인 장애인고용촉진 캠페인 실시
- 민간단체와 협력하여 장애인근로자문화제 개최 등
2. 장애인에 대한 직업훈련시설 확충
훈련목표 : 2,800명
권역별·장애유형별 장애인 직업전문학교 건립
- 장애인직업전문학교 3개소 7개소 건립(2002개교 : 대구·전남, 2003년 개교 : 시각·정신지체)
3. 중증장애인 직업능력제고 및 고용촉진강화
중증장애인을 위한 표준사업장 설립·운영(1개소, 50억원)
< 외국의 표준사업장 사례 >
국별
구분
영 국
미 국
독 일
스 웨 덴
사업체명
REMPLOY L.T.D
GOOD WILL
통합회사
(241개소)
SAM HALL
설립년도
1945년
1902년
2000년
1980년
장애인수
6,093명
58,059명
240명
26,000명
주요사업
부품, 포장, 가구, 의류 등
조립, 공원관리, 포장 등
환경관리 서비스 등
서비스, 조립 부품산업 등
4. 장애인고용촉진을 위한 자금 지원
장애인고용은 비장애인에 비해서 노동생산성 면에서 다소 떨어질 수 있음
- 그러나 각종 유·무상 지원제도를 활용한다면 부족분은 충분히 보완할 수 있을 것임
- 장애인을 2%이상 고용할 경우 초과인원수에 대하여는 고용장려금도 무상으로 지급
< 장애인고용시설·운영자금 지원>
구 분
대 상
지 원 내 용
융자·지원조건
융 자
장애인을 고용하고 있거나 새로이 고용하고자 하는 사업주
작업시설, 편의시설, 부대시설의 설치·구입·수리
장애인고용시설운영 및 장애인고용관리에 필요한 운영자금
(300인 이상 사업장)
소요비용 전액
한 사업장당 최고 15억원, 운영자금은 3억원 이내
연리3%, 융자기간 10년
무상지원
장애인용으로 제작된 작업대, 작업장비, 공구, 작업보조기기의 설치·구입·수리 등
소요비용 전액 또는 2/3
한 사업장 당 3억원 이내
<고용장려금 지급기준 >
장애구분
지 급 단 가
지급액(월)
경증 남성
최저임금의 100분의 100
421,000
경증 여성
최저임금의 100분의 125
526,000
중증 남성
최저임금의 100분의 150
632,000
중증 여성
최저임금의 100분의 175
737,000
5. 장애인고용 인프라구축
장애인 고용촉진공단 지방조직 확충(12 18개소)
- 의정부, 천안, 구미, 울산, 목포, 제주 등 6개소
직업재활실시기관과 장애인 취업알선망을 연결하여 고용정보 공유를 통한 취업알선 확대
- 노동부1개소, 공단 17개소, 직업재활실시기관 35개소, 근로복지공단 1개소, 장애인고용안정협회 1개소
6. 장애인의 고용안정 및 자립기반확충
취업장애인 편의를 위한 차량구입자금 및 생활안정자금 융자 지원
- 자동차구입자금 2,000명, 200억원(1/4분기 551명, 55억 지급)
- 직업생활안정자금 1,000명, 100억원(1/4분기 505명, 50억 지급)
자영업희망 장애인에 대한 창업자금 지원대상 확대
- 창업융자금 400명, 200억원(1/4분기 766명, 35억원 접수)
- 영업장소지원 50명, 25억원(1/4분기 15명, 7억원 결정)
추천자료
고용보험법의 고용안정사업에서 나타난 문제점
고용보험제도의 적용범위 확대와 기여회피(소개,적용범위,문제점및 해결방안)
[장애인직업재활]장애인직업재활의 개념,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제도 변천, 국내외 정신...
단기 고용계약(비정규 계약) 증대의 문제점과 규제방향
노동 유연화에 대한 논리적 반박 - 고용 안정성을 해치는 노동 유연화의 문제점과 한계 고찰 ...
(노인복지론)노인고용보장정책 현황(08.09월 지역별 취업 통계) 문제점, 개선방향 보고서
비정규직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 고찰, 비정규직 근로자의 증가 원인, 비정규직 고용의 장단...
사회보장제도(건강보험, 연금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의 현황과 문제점
고용보험 [雇傭保險] 고용보험의 의의와 필요성, 고용보험 제도의 발전 과정, 고용보험 사업...
[외국인 노동자 문제해결] 외국인 노동자의 현실, 불법체류자 현황, 외국인노동자 문제점, 외...
[고용 불평등의 심각성과 해결방안] 고용 불평등 - 고용 불평등의 실태와 원인, 고용 불평등 ...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인 국민연금, 건강보험, 산업재해보상보험, 고용보험 중 한 가지만 선...
★ 사회복지법제론 -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 28조항, 현황과 문제점, 방문기관인터뷰 )
[우리나라의 단순노무 외국인인력정책(고용허가제, 방문취업제 등)에 대해 정책의 내용을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