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시형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최시형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최시형은 누구인가
(2) 최시형의 가계와 성장과정
(3) 최시형의 사상과 인식
(4) 최시형의 묘

3. 결론 - 최시형에 대한 평가

본문내용

화문 밖에 가매장된 시신을 이종훈(李鍾勳) 등이 수습하여 야간에 밤길을 달려와 현재의 위치에 장사지냈다. 1907년 고종의 특지(特旨)로 신원되었다.
봉분은 원형으로 호석
12. 봉분이 무너지지 않도록 주변을 둘러싸는 돌
을 둘렀으며, 봉분 앞 중앙에는 대리석으로 만든 상석·향로석
. 상석 앞으로 조금 낮게 향불을 피워 올려놓게 한 것.
·촛대석을 마련했고, 우측에는 옥개석
. 탑의 옥신석 위에 덮은 지붕 모양의 돌.
과 장방형 비좌
. 비좌(碑座) : 비신과 비대석과의 연결부분
를 갖춘 대리석 묘비가 서있다. 묘비는 1980년 3월 21일 천도교 해월신사 묘비건립위원회에서 세운 것으로 이선근이 짓고 양재한의 글씨, 김한의 제자로 되어 있다.
3. 결론 - 최시형에 대한 평가
태어날 때부터 어떤 사람은 양반의 자손이기 때문에 호위호식하고 살아가게 되고, 또 다른 사람은 상놈이라는 꼬리표가 붙어 평생자신의 신분에 만족하고 살아야 했던 조선왕조 사회도 18세기부터는 신분제 사회에 대한 동요로 그 붕괴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고 그로 인해 봉건적 질서는 해이해지기 시작했다. 민중의 삶은 도탄에 빠져들었고 이러한 상황은 농민폭동을 일어나게 했으며, 민심은 갈곳을 못 찾고 있었다
이러한 시기에 최제우에 의해 창시된 동학은 기존의 부패한 현실을 부정하고 이상적인 미래를 제시하면서 사회개혁을 바라던 일부 지식층과 민중들을 사로잡기 시작했다. 최제우가 기틀을 잡았다면 최시형은 동학의 이념을 사회의 근간이 되는 민중들과 함께 난을 일으키는 등 몸소 실천하는 사람이었다.
최시형에 대해서는 우리나라 민중들을 한곳으로 응집시켜서 그 힘을 보여준 혁명가라고 하고 싶다. 외국을 다니면서 신지식을 습득하고 새로운 문화와 문물을 공부하면서 개혁을 주도한 '신(新) 지식인'의 축에는 들지 못하지만, 최시형은 자신이 경험했던 힘들고 궁핍한 소년시절과 신분적 멸시 그리고 민중들에 대한 억압과 탄압을 뼈저리게 느끼면서 그것을 민중들에게 깨닫고 하고 민중들의 평화를 저해하는 세력에 과감히 맞섰고 그것은 숱한 민중봉기와, 외침에 맞선 의병운동으로 나타났다. 그러면서 소외와 억압과 약탈을 일삼는 세력에 대항하는 혁명적 '후천개벽운동'을 했다고 생각한다.
여기에서 간과하고 싶지 않은 것은 우리나라 '민중'들의 힘을 보여준 역사적 사건을 일으켰다는 것이다. 반봉건, 반침략 투쟁이라는 견해로 보는 시각도 많이 있지만 앞에서도 거론했듯이 조선시대의 역사는 신분적으로 높은 계급의 사람, 지금으로 말하면 정치적, 경제적으로 힘을 가진 기득권층의 삶만이 많이 부각되었고 가진자들 뒤에 소외되었던 일반민중의 삶은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했다. 하지만 고부민란이나, 동학농민전쟁과 같은 역사적 사건은 비록 후세에 '농민봉기'나 '민란'으로 비춰지긴 하지만, 부조리한 현실에 대항하는 민중들의 힘이 결코 작지만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예가 된다고 생각한다.
그 후에 1894년 갑오농민전쟁을 정점으로 터져나온 '후천개벽운동'은 왕조사회를 무너뜨리고 이상적인 세계를 건설하기 위한 혁명운동으로 이어지고 이러한 노력이 일제하 독립운동으로까지 이어져, 동학의 민족 종교적 의미를 더욱 크게 하였다고 생각한다.
앞서 언급한 바 있지만, 일반인이 최시형의 묘를 찾아가는 길은 참으로 험했다. 지프(Jeep)차도 올라가기 힘든 산비탈. 좀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보기 위해서 수없이 많은 피를 흘려가며 노력했지만 최시형은 결국 죽어서까지 해를 당할까봐 염려되어 동지들에 의해 인적이 드문, 그리고 사람이 쉽사리 찾아올 수 없는 곳으로 돌아갔다.
자신이 느꼈던 민중들의 실상과 세상의 부조리를 널리 깨우치게 하고, 종교적인 설파와 포교에만 그치지 않고 진정으로 세상을 바꿔 보려했던 그의 노력은 사도난정(邪道亂正)이라는 죄목으로 교수형에 처해지면서 끝이 났다.
최시형을 봄으로써 우리는 그를 통해 지금의 우리 자신을 돌이켜볼 수 있다. 아직도 우리사회는 차별과 불평등,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사이의 빈부 격차, 그로 인한 정치적인 소외 같은 전근대적인 요소들이 잔재하고 있다. 이 시대 우리 민중들도 다시 한번 그 힘을 보여줘야 한다.
◈ 참고문헌
오문헌, 해월 최시형의 생활정치 사상 연구 연세대학교, 1994.12
황선희, 한국근대사상과 민족운동 혜안, 1996.3
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원
박맹수, '최시형 연구: 주요활동과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학대학원 1995.
여주군, '여주의 역사와 문화유적 자료집' 2002.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6.05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41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