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Song of Ariran'의 내용
3. Ideology 선택의 불가피성.~!
4. 맺음말
2. 'Song of Ariran'의 내용
3. Ideology 선택의 불가피성.~!
4. 맺음말
본문내용
다. 문제는 장지락은 중국과 일본에서 공부하였고 미국에서 공부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며 유학은 모두 자비를 부담하여야만 했고, 그 사이에서 암묵적으로 발생하는 계급간의 갈등을 누구보다도 뼈저리게 느꼈을 지도 모른다는 사실이다. 결론적으로 장지락은 살아가면서 쭉 보아온 적응해온 환경들에 자신의 행로를 결정지은 것이다.
4. 맺음말
아리랑을 중심으로 서술했지만 아리랑에서의 장리락과 憂國에서의 다께야마 중위는 자신의사상에 바탕을둔 신념을 지켰다는데에 있어서는 같다고 말할수 있다. 물론 죽음의 방식과 그들이 믿고 지켰던 사상의 차이점은 있을지언정 그들이 믿고있는 신념을 지켰다는점에 있어서는 같다고 말할 수 있다. 특히 아리랑에 서술되어있는 1920년대의 이데올로기 시대에서 너나 할 거 없이 지식인들이라면 무정부주의나 공산주의 민족주의에 대해 관심을 가졌으며, 모두다 한결같이 자신이 신봉하는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자신의 주어진 세계를 기계적으로 이해할려고 애썼다. 어쩜 이데올로기가 같는 마술에 전부다 농락당한 건지도 모르지만, 그렇게밖에 할 수 없었던 시대상황을 이해하여야만 한다. 장지락도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최선의 선택을 한것이라 생각한다. 그 당시의 시대가 이데올로기같은 어떤 특정한 사상에 의해 움직일수 있는 사회였다면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사회는 어떤 하나의 사상에 움직이기에는 너무 복잡하고 다원화 되었다고 생각한다. 이제 우리가 해야할일은 수많은 사상속에서 하나의 사상을 택해서 그 사상을 지키기 위해 인생을 바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사상들을 이해하고 그 사상들을 융합해 나가야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4. 맺음말
아리랑을 중심으로 서술했지만 아리랑에서의 장리락과 憂國에서의 다께야마 중위는 자신의사상에 바탕을둔 신념을 지켰다는데에 있어서는 같다고 말할수 있다. 물론 죽음의 방식과 그들이 믿고 지켰던 사상의 차이점은 있을지언정 그들이 믿고있는 신념을 지켰다는점에 있어서는 같다고 말할 수 있다. 특히 아리랑에 서술되어있는 1920년대의 이데올로기 시대에서 너나 할 거 없이 지식인들이라면 무정부주의나 공산주의 민족주의에 대해 관심을 가졌으며, 모두다 한결같이 자신이 신봉하는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자신의 주어진 세계를 기계적으로 이해할려고 애썼다. 어쩜 이데올로기가 같는 마술에 전부다 농락당한 건지도 모르지만, 그렇게밖에 할 수 없었던 시대상황을 이해하여야만 한다. 장지락도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최선의 선택을 한것이라 생각한다. 그 당시의 시대가 이데올로기같은 어떤 특정한 사상에 의해 움직일수 있는 사회였다면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사회는 어떤 하나의 사상에 움직이기에는 너무 복잡하고 다원화 되었다고 생각한다. 이제 우리가 해야할일은 수많은 사상속에서 하나의 사상을 택해서 그 사상을 지키기 위해 인생을 바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사상들을 이해하고 그 사상들을 융합해 나가야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