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터의 두 왕국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루터의 두 왕국론과 그 논의들

Ⅲ. 어거스틴의 신의 도성

Ⅳ. 토마스 아퀴나스

Ⅴ. 마르실리우스의 『평화 수호자』

Ⅵ. 평가 및 결론

▣ 참고서적

본문내용

회속에서 타협된 기준을 제시하는 듯하다. 이렇게 살 때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인의 이원론적인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날 수 밖에 없다.
) Ibid., p.73
그렇다면 이 두 왕국론을 오늘의 현실에 비추어 보면 두 왕국에 대한 문제는 우리와 무관한 것이 아니다. 오늘날 교회와 사회의 문제도 이 두 왕국에 대한 문제가 만연되어 있고 앞에서 말한 위험성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 두 왕국론이 우리의 사회 정치적 역할에 대한 디딤돌이 될 수 있으나 복음의 능력을 내적인 인간에만 집착함으로서 인간의 사회적인 삶에 대한 변화에 이르지는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대안은 없는가? 하는 것이다. 우리는 여기에 안주할 수 없다. 왜냐하면 우리가 그리스도에 속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세상을 변화시킬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는 것이다. 쟈크 엘룰(J. Ellul)이 말했듯이 두 질서가 결코 통합될 수 없으며 이 세상에서 하나님 나라와의 대립이 필연적이다. 그러나 쟈크 엘룰은 무질서로 치달으려는 현질서에 대하여 그리스도인은 끊임없이 하나님의 요구를 재강조하고 하나님이 원하시는 질서를 재확립하고자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리스도인은 세상에 있는 모든 것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고 그것을 넘어서 대치하는 무엇을 요구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것이 세상속에서 성령의 인도함을 받은 그리스도인이 과업을 소명으로 나타내는 길이다.
) 쟈크 엘룰, 「세상속의 그리스도인」,(서울:대장간,1997), pp.48-68
▣ 참고서적
번역서적 및 국내서적
Bernhard Lohse, 「루터 연구 입문」, 이형기 역(서울:크리스챤 다이제스트,1993)
Heinrich Bornkam, "두 왕국의 교리" in: 「루터 사상의 진수」, 지원용 편역(서울: 컨콜디아사,1986)
쟈크 엘룰, 「세상속의 그리스도인」,(서울:대장간,1997)
박충구, 「한국 사회와 기독교 윤리」,(서울:성서연구사,1995)
이형기, 「종교개혁 신학사상」,(서울:장신대 출판부,1984)
정기간행물 및 학위논문
김광일, "루터의 두 왕국론에 대한 연구", (부천:서울신학대학원 석사논문,2000)
김명혁, "어거스틴의 두 도성에 대한 개념", (신학정론 제1집,1983)
윤수일, "루터의 두 왕국론 연구",(서울:총신대학원 석사논문,1999)
이형기, "역사에 비추어 본 루터의 두 왕국 사상과 그의 직업관",(교회와 신학 제14집, 1982)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6.14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53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