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의 의미와 한류열풍의 지속적인 방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류의 의미와 한류열풍의 지속적인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본론
1. 한류의 의미와 현황
1) 한류란?
2) 한류문화의 현황
2. 한류현상의 원인과 분석
1) 한류현상의 원인
2) 한류현상 분석
3. 문화교류의 중요성
4. 한류의 열풍이 우리 사회에 끼치는 영향

Ⅲ.지속적인 한류 열풍을 위한 방안

본문내용

20대의 젊은 층이라는 점에서 한류 마케팅의 효과는 엄청나다. 일례로 농심은 한류 열풍의 진원지라고 할 수 있는 인기그룹 H.O.T를 모델로 지난해 12월부터 ‘새우깡’과 ‘양파링’ 등 스낵 제품의 CF를 중국 전역에 내보내며 청소년층을 공략했고, 이러한 마케팅의 영향으로 외환위기 직후에는 라면 등의 수출실적이 6,000만 달러 수준에 머물렀으나 올해는 중국시장의 판매신장에 힘입어 수출목표를 9,000만 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Ⅲ.지속적인 한류 열풍을 위한 방안
한류 열풍을 일시적인 유행이 아닌, 지속적인 현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장기적인 전략과 경쟁력이 필요하다. 지난 4월 ‘중국시장과 대중음악 마케팅 지원방안'이라는 보고서를 냈던, 한국산업연구원 김화섭 연구위원은 “문화부와 산업자원부의 공조, 현지의 한국문화권 개설, 중간 사기꾼에 대한 단속 등과 함께 우리 대중문화의 경쟁력을 높이는 궁극적인 대책 마련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산업구조 또한 이러한 현상에 알맞게 개편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른 순수분야와는 달리 대중문화산업의 성장은 철저한 상업주의와 자본주의 논리를 기초로 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어디까지나 '한류'의 지속 여부는 창의적 아이디어와 치밀한 기획으로 대중의 문화욕구와 이목을 찾아내서 소비자에게 만족을 주는 상품으로 연결시키는 민간 능력에 절대 의존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인 창의성을 길러내고 혁신을 촉진하는 사회적 시스템의 구축과 인력양성, 그리고 경쟁력 있는 우리 고유의 문화산업 모델을 만들어내는 것이 절실하다. 이것이 바로 외국사회에서 한류를 일시적 유행이 아닌 지속 가능하도록 하는 장기적인 대안이다
다만 중국 등을 단순한 수출 시장으로 생각하는 것은 경계해야 할 것이다. 자칫 이러한 전략은 중국, 베트남 등 문화적 자존심이 강한 국가들의 반발을 살 수 있을 것이고, 다른 나라들의 경쟁 의식을 불러 일으켜 오히려 우리 문화시장이 세계 문화메이저와 급성장하는 중국의 틈바구니에 끼여 난처한 입장에 처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 컨텐츠를 공동 생산하는 등 발전적 분업 체제를 갖춰 서로 이익을 보는 윈·윈 전략을 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문화부도 한류 지원과는 별도로 ‘한·중 청소년 음악제 등의 공동 이벤트 개최’, ‘문화 컨텐츠 분야 현지 인력 육성 프로그램 실시 등을 통해 장기적인 문화 교류·협력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6.16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56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