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된다. 그리고 객관적인 역사가는 사실과 가치의 상호작용을 깊이 통찰할 수 있는 역사가이다. 또 진리의 영역은 사실과 가치의 중간지대이다. 따라서 역사가란 사실과 해석, 사실과 가치의 양자사이에서 몸의 균형을 잡고 있는 사람이다. 역사는 본질상 변화이자 운동이며 진보이다.
액턴 - 진보 ; 역사서술의 토대가 되는 과학적 가설이다. (E.H.Carr 결론)
맺음말
역사연구에 있어서 사실과 역사가는 모두 필요한 요소로 어느 한쪽이 더 우위에 있다고 주장할 문제가 아니다. 역사가는 무엇보다도 사실을 존중하고 그 사실이 정확한가를 철저히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동시에 역사가는 그 사실들이 갖는 의미를 생각하여 시대와 사회에 끼친 영향을 시간적 전후에 따라 해석해야 한다. 즉 역사가는 사실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해석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된다는 것이다. 역사가는 사실의 노예도 아니고 강압적인 주인도 아니다. 역사가와 역사적 사실은 평등한 관계이다. 그러므로 역사란 역사가와 사실과의 상호작용의 부단한 과정이며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이다.
역사는 어떤 형태든지 가치 판단을 요구하며, 역사가는 이러한 도덕적이며 윤리적인 판단에 무감각할 수 없는 사명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가치 판단은 단순히 역사가의 주관에 의한 것이 아니라, 가능한 많은 객관적인 사료에 의해 뒷받침되어야 한다. 객관적이고 충분한 사료의 보완 없이 단지 역사가의 주관적인 판단만을 의존한다면 역사는 신화나 소설과 같이 실체가 없는 픽션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 역사란 무엇인가. (E.H Carr). 열음사. 1987년 4월
액턴 - 진보 ; 역사서술의 토대가 되는 과학적 가설이다. (E.H.Carr 결론)
맺음말
역사연구에 있어서 사실과 역사가는 모두 필요한 요소로 어느 한쪽이 더 우위에 있다고 주장할 문제가 아니다. 역사가는 무엇보다도 사실을 존중하고 그 사실이 정확한가를 철저히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동시에 역사가는 그 사실들이 갖는 의미를 생각하여 시대와 사회에 끼친 영향을 시간적 전후에 따라 해석해야 한다. 즉 역사가는 사실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해석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된다는 것이다. 역사가는 사실의 노예도 아니고 강압적인 주인도 아니다. 역사가와 역사적 사실은 평등한 관계이다. 그러므로 역사란 역사가와 사실과의 상호작용의 부단한 과정이며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이다.
역사는 어떤 형태든지 가치 판단을 요구하며, 역사가는 이러한 도덕적이며 윤리적인 판단에 무감각할 수 없는 사명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가치 판단은 단순히 역사가의 주관에 의한 것이 아니라, 가능한 많은 객관적인 사료에 의해 뒷받침되어야 한다. 객관적이고 충분한 사료의 보완 없이 단지 역사가의 주관적인 판단만을 의존한다면 역사는 신화나 소설과 같이 실체가 없는 픽션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 역사란 무엇인가. (E.H Carr). 열음사. 1987년 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