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랑스 요리의 역사
2. 프랑스 요리의 특징
3. 프랑스의 대표적인 전체 요리
4. 프랑스 지방음식의 특성
5. 전형적인 프랑스 요리
6. 간단한 프랑스 요리
7. 빵(pin) 이야기
8. 포도주
9. 프랑스 요리의 메뉴
10. 프랑스의 식사문화
11. 조사를 하면서..
2. 프랑스 요리의 특징
3. 프랑스의 대표적인 전체 요리
4. 프랑스 지방음식의 특성
5. 전형적인 프랑스 요리
6. 간단한 프랑스 요리
7. 빵(pin) 이야기
8. 포도주
9. 프랑스 요리의 메뉴
10. 프랑스의 식사문화
11. 조사를 하면서..
본문내용
을 받은 전표를 3장으로 만들어 한 장은 주방, 한 장은 접객원, 또 한 장은 캐셔에게 돌아가도록 하고, 특별히 전표에 고객의 성명을 적어 그 고객이 재차 방문했을 때 그가 선호하는 음식이 무엇인지 미리 알아차리는 고품위 음식 서비스의 틀음 마련한 것도 그였다. 그는 프랑스 정부로부터 1920년 레지옹 돈뇌르 훈장을 수여 받았고, 후에 귀족 단체의 정회원이 되어 모든 조리사의 사회적인 지위와 명예를 높이는 데도 큰 공헌을 했다. 1966년에는 마침내 그가 태어난 집이 조리 예술 박물관으로 개조되기까지 했다. 오늘날 저명한 요리 전문가 및 요리 연구가, 요리책을 쓰는 사람, 그리고 요리를 직접 만드는 조리사까지 그가 만들어낸 조리법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은 단 한 사람도 없다.
오늘날 요리는 점점 더 간편성, 즉 자연적이며 가벼운 음식(비만 방지)을 향해 치닫고 있으며 이 가볍고 자연적이란 말은 알랭 샤펠과 같은 유명한 요리사와 함께 누벨 퀴진이라는 말을 낳았다. 그러나 진정한 요리사는 어떤 경우에도 그들의 경험과 비법, 전통과 함께 지나간 옛 시대를 잊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자각해야 할 것이다.
2. 프랑스 요리의 특징
① 수용적인 음식문화가 형성되었다. - 프랑스는 그리스, 로마, 이탈리아를 거쳐 16, 17세기의 경제적 부흥기에 많아졌던 식민지들로부터 많은 식품과 음식의 조리법을 도입하여 이용하는 식품과 조리법이 매우 다양하다.
② 시각적 효과를 중시한다. - 20C 중엽부터 시작된 \'누벨 뀌진(nouvelle cuisine)\'의 영향으로 프랑스인들은 음식의 시각적인 효과를 매우 중요시한다.
③ 다양한 소스가 발달하였다. - 프랑스 요리에서 가장 어렵고 공이 많이 들면서 음식 맛의 기본을 이루는 것이 마리네이드(소스)이다. 길게는 일주일에서 그 이상씩도 고아 만든다. 주 재료는 육류나 어류, 채소류, 향신료 등이다.
④ 식품의 사용이 매우 다양하다. - 삼면이 바다와 산지로 둘러싸여 있으면서 중앙부에 넓은 평원을 가지고 있어 농업, 축산업, 낙농업, 어업 등이 골고루 발달하여 다양한 식품을 생산한다.
⑤ 포도주와 치즈, 빵, 육류가공품 등 특산품이 잘 발달하였다. - 생산과 마케팅 분야에서 관리를 잘 하였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프랑스 식품은 다양하다. 포도주와 치즈가 대표적이다.
⑥ 식사시간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 프랑스인들은 식사시간을 아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들로서 공식적인 점심식사 시간은 12시부터 2시까지 두 시간이다.
3. 프랑스의 대표적인 전체 요리
① 프아그라 (Foie gras) - 살이 오동통하게 오른 거위간을 이용해 만든 요리로, 캐비어트뤼프와 함께 세계 3대 진미의 하나이다. 거위를 카파쥬라는 특수한 사육법으로 길러 간을 인위적으로 크게 만든 다음 요리할 때는 술향신료 등을 첨가한다.
② 에스카르고(escargo) - 식용 달팽이 요리로, 약간의 흙냄새와 쫄깃한 씹는 맛이 좋으며 소라맛과 비슷하다. 특히 부르고뉴 지방의 포도나뭇잎을 먹고 자란 달팽이가 유명하다. 소금물에 삶아 껍데기에서 꺼내
오늘날 요리는 점점 더 간편성, 즉 자연적이며 가벼운 음식(비만 방지)을 향해 치닫고 있으며 이 가볍고 자연적이란 말은 알랭 샤펠과 같은 유명한 요리사와 함께 누벨 퀴진이라는 말을 낳았다. 그러나 진정한 요리사는 어떤 경우에도 그들의 경험과 비법, 전통과 함께 지나간 옛 시대를 잊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자각해야 할 것이다.
2. 프랑스 요리의 특징
① 수용적인 음식문화가 형성되었다. - 프랑스는 그리스, 로마, 이탈리아를 거쳐 16, 17세기의 경제적 부흥기에 많아졌던 식민지들로부터 많은 식품과 음식의 조리법을 도입하여 이용하는 식품과 조리법이 매우 다양하다.
② 시각적 효과를 중시한다. - 20C 중엽부터 시작된 \'누벨 뀌진(nouvelle cuisine)\'의 영향으로 프랑스인들은 음식의 시각적인 효과를 매우 중요시한다.
③ 다양한 소스가 발달하였다. - 프랑스 요리에서 가장 어렵고 공이 많이 들면서 음식 맛의 기본을 이루는 것이 마리네이드(소스)이다. 길게는 일주일에서 그 이상씩도 고아 만든다. 주 재료는 육류나 어류, 채소류, 향신료 등이다.
④ 식품의 사용이 매우 다양하다. - 삼면이 바다와 산지로 둘러싸여 있으면서 중앙부에 넓은 평원을 가지고 있어 농업, 축산업, 낙농업, 어업 등이 골고루 발달하여 다양한 식품을 생산한다.
⑤ 포도주와 치즈, 빵, 육류가공품 등 특산품이 잘 발달하였다. - 생산과 마케팅 분야에서 관리를 잘 하였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프랑스 식품은 다양하다. 포도주와 치즈가 대표적이다.
⑥ 식사시간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 프랑스인들은 식사시간을 아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들로서 공식적인 점심식사 시간은 12시부터 2시까지 두 시간이다.
3. 프랑스의 대표적인 전체 요리
① 프아그라 (Foie gras) - 살이 오동통하게 오른 거위간을 이용해 만든 요리로, 캐비어트뤼프와 함께 세계 3대 진미의 하나이다. 거위를 카파쥬라는 특수한 사육법으로 길러 간을 인위적으로 크게 만든 다음 요리할 때는 술향신료 등을 첨가한다.
② 에스카르고(escargo) - 식용 달팽이 요리로, 약간의 흙냄새와 쫄깃한 씹는 맛이 좋으며 소라맛과 비슷하다. 특히 부르고뉴 지방의 포도나뭇잎을 먹고 자란 달팽이가 유명하다. 소금물에 삶아 껍데기에서 꺼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