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재 신채호의 「꿈하늘」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않은 것이라면, 「꿈하늘」은 독자를 해석 주체로 인식하게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독자가 타자라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 것과 관련된다. 「꿈하늘」에서의 독자는 텍스트를 자유롭게 해석할 수 있는 참다운 의미에서의 독자이며, 말하는 것을 듣지도 않을 수도 있는 존재라는 의미에서 참다운 타자이기도 하다. 여기서 독자라는 타자의 발견은 단순히 작가와 작품, 독자 사이의 관계만에 국한 된 것이 아니다. 실제적인 의미에서의 타자의 발견이다. 「꿈하늘」은 아 속에 내재한 비아의 요소를 척결하고 참다운 역사의 주체로 서 가는 과정을 서사의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타자가 문제거리로 인식되지 않고서는 있을 수 없는 과정이다. 아 속에 내재한 비아의 요소가 문제된다는 것은 이미 타자에 대한 인식이 깃들여 있다는 데 대한 증거가 된다.
) 정영훈, 「문학과 사상의 관련 양상」, 이용남 외, 한국 개화기소설 연구, 태학사, 2000.
「꿈하늘」은 해외 망명지에서 독립운동을 벌이는 독립투사이자 역사연구가인 단재가 당대의 역사적 과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과제 해결을 위해 헌신할 것을 다짐하는 내면심리를 객관화해 본 자기확신의 알레고리로 파악될 수 있다. 결국, 「꿈하늘」은 단재의 자기확신의 과정이라는 심리적 과정을 객관화한 것이며, 我가 모든 非我들을 떨쳐내고 현실의 위기에 대처할 수 있는 진정한 我로 정립해 가는 관념적 과정을 구체화한 것이다. 또한, 한민족의 진정한 我를 정립하기 위해 역사상, 현실상의 모든 非我적인 요소들을 하나하나 찾아내어 제거해 가는 과정을 담고 있음으로 해서, 한민족 전체가 당대 현실의 본질을 깨닫고 그 진정한 해결방안을 찾아나설 것을 요청하는 단재의 메시지를 담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재환, 신채호 문학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김진옥, 신채호 문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대전대학교 지역협력연구원, 「단재 신채호의 현대적 조명」, 도서출판 다운샘, 2003.
신채호, 「신채호 전집(하)」, 형설출판사, 1975.
이기열, 신채호 소설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4.
이상섭, 「문학비평용어사전」, 민음사, 1976.
이영신, 단재 신채호의 문학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이용남 외, 「한국 개화기소설 연구」, 태학사, 2000.
정규복 외, 「한국고소설연구」, 삼우출판사, 1983.
  • 가격4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7.15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07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