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문헌고찰..
1.식도의 구조 및 구성 -------------------------------- 3
2. Esophageal diverticulum --------------------------- 4
3. Aspiration pneumonia ------------------------------ 9
4. NO gas --------------------------------------------- 10
Ⅱ. CASE STUDY
1. 기왕력 및 검사결과(환자정보) ------------------------ 14
2. Medication ---------------------------------------- 18
3. 간호진단 및 계획(간호과정적용) ---------------------- 19
Ⅲ. 참고문헌 ------------------------------- ----------- 25
1.식도의 구조 및 구성 -------------------------------- 3
2. Esophageal diverticulum --------------------------- 4
3. Aspiration pneumonia ------------------------------ 9
4. NO gas --------------------------------------------- 10
Ⅱ. CASE STUDY
1. 기왕력 및 검사결과(환자정보) ------------------------ 14
2. Medication ---------------------------------------- 18
3. 간호진단 및 계획(간호과정적용) ---------------------- 19
Ⅲ. 참고문헌 ------------------------------- ----------- 25
본문내용
실시한다.
⑥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한다.(nebulizer 이용)
⑦ 차가운 습기를 제공한다.(가습기 이용)
수행 : ①②③④⑤⑥⑦ 수행함
평가 : 대상자의 분비물이 조금 감소되는 듯 하였으나 여전히 moderate하게 yellow color로 나오며 청진 시 비정상적인 호흡음(rale)은 계속 들을 수 있었다.
간호진단 2
S.D : sadation상태로 자료 수집 불가능
O.D : - 키 173cm에 몸무게 62kg으로 Broca\'s index를 이용하여 계산하면 65.7로 정상적인 체중보다 3.7kg가량 적은 상태이며, 평소 입원전의 체중(74.4kg)보다 무려 12.4kg 가량 빠진 상태이다. 이는 2개월에 걸친 것이며, 그전 2개월에 걸쳐서도 6kg가량 빠진 history가 있었다.
- 피부 탄력성이 저하되었으며 거칠다.
진단 : 지속적인 비경구적영양으로 인한 섭취량 부족과 관련된 영양부족
(Altered Nutrition : less than body requirement)
장기목표 : 더 이상의 체중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단기목표 : 경관영양을 시작할 수 있다.
계획 : ① 신체검진을 통해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②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③ 매일 동일한 조건(시간, 옷, 체중계, 배뇨상태, 음식섭취 상태)에서 체중을 측정 한다.
④ 대상자와 지지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수행 : ①②③④ 수행
평가 : 대상자의 몸무게는 3일에 비해 0.8kg증가 하였으나 피부는 여전히 거칠고 탄력성이 저하된 상태이다. 지속적으로 대상자에게 무리가 가지 않도록 영양 섭취 를 증가(현재 정맥주입)시키면 대상자의 영양 상태가 개선 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진단 3
S.D : sadation상태로 자료 수집 불가능
O.D : - 체온이 37.7℃대를 유지하고 있다.
- 빈맥이 관찰되었다.(110회/1분이상 유지)
- 호흡수가 증가하였다. (25회이상/1분)
- 얼굴에 홍조를 띄고 있었다.
진단 : 질병으로 인한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Hyperthermia)
장기목표 : 체온이 정상범위로 유지된다.
단기목표 : 체온이 정상범위로 유지된다.
계획 : ① 체온을 1시간마다 측정한다.
② 피부의 상태를 사정한다.
③ 모니터를 통해 혈압, 맥박, 호흡상태를 측정한다.
④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⑤ blanketol을 이용하여 colling 시킨다.
수행 : ①②③④⑤수행함
평가 : 3일은 체온이 정상범위에 있다가 다시 올라가는 등 change되는 양상이 자주 있었지 만 지속적인 colling 결과 4일은 정상범위로 체온을 유지하였다.
간호진단 4
S.D : sadation상태로 자료 수집 불가능
O.D : - 증가된 호흡수(25회/분이상)를 보인다.
- 비정상적인 호흡음을 나타낸다.(악설음, 천명음)
- O2 saturation이 감소하였다
진단 : 환기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Impaired gas exchange)
장기목표 : ABGA 수치가 정상범위에 있으며, 환자의호흡수가 기준선에서 ±5를 유지한다.
단기목표 : O2 saturation이 정상범위에 있다.
계획 : ① 호흡양상(호흡수, 호흡음, 리듬, 깊이, 흉부견축정도)를 사정한다.
② 분비물의 특성(양, 색, 점도)를 사정한다.
③ 체위변경을 2시간마다 실시한다.
④ 흉부 물리요법을 실시한다.
⑤ 기도흡인(suction)을 실시한다.
⑥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한다.(nebulizer 이용)
⑦ 차가운 습기를 제공한다.(가습기 이용)
수행 : ①②③④⑤⑥⑦ 수행함
평가 : 대상자의 O2 saturation이 정상범위로 돌아왔으나, 여전히 청진 시 비정상적인 호흡음(rale)은 계속 들을 수 있었다.
간호진단 5
S.D : sadation상태로 자료 수집 불가능
O.D : - 침상과 직접 닿은 coccyx 부위가 붉은색을 띄고있다.
- 혼자서 체위변경을 실시할 수 없다.
- 대상자가 혼자서 움직일 수 있는 자세는 지금 현재 없다.
- 중환자실인 관계로 보호자가 면회시간에 찾아오긴 하나 대상자의 체위변경을 거의 해주지 않는다.
진단 : 질병으로 인한 장기간의 침상안정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위험성
(Skin integrity impaired ,risk for)
장기목표 : 피부손상이 없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적어도 2시간마다 다른 체위를 유지하고 있다.
계획 : ① 피부의 상태를 사정한다.
② 체위변경을 1-2시간마다 시행한다.
③ 체위변경 시 욕창이 생기기 쉬운 부위를 마사지 해 준다.
④ 베게 등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편안한 체위가 되도록 한다.
⑤ 뼈 돌출 부위에 보호장치를 대어준다.
⑥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⑦ 편안하고 조이지 않는 옷을 입게 한다.
⑧ 침상 린넨을 깨끗하고 건조하며 주름이 없는 상태로 유지한다.
수행 : ①②③④⑤⑦⑧수행함
평가 : coccyx의 붉은 부위는 가라앉지 않았으나 그 외의 피부 손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대 상자가 전혀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기 때문에 현재는 체위변경을 지속적으로 실시한 다면 더 이상의 피부 손상이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참고문헌 ※
1. “인체해부학” 안희경 고문사 1997
2. “소화기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3. “호흡기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4. “식도질환” 이상인(대한소화기학회) 군자출판사 2003
5. “임상호흡생리학 입문” 김동수 고려의학 1997
6.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병원 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7. “성인간호학” 서문자외 수문사 2000
8.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최영희외 현문사 1999
9. Internet web site
① http://www.iplusbank.net
② http://www.dubagi.co.kr/disorders/gastrointestinal/diverticula.htm
③ http://admin.koreahospital.com
④ http://www.medirepo.com/preg/Preg-par-care/lung/aspirationpn.htm
⑤ http://www.kimsonline.co.kr/
⑥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한다.(nebulizer 이용)
⑦ 차가운 습기를 제공한다.(가습기 이용)
수행 : ①②③④⑤⑥⑦ 수행함
평가 : 대상자의 분비물이 조금 감소되는 듯 하였으나 여전히 moderate하게 yellow color로 나오며 청진 시 비정상적인 호흡음(rale)은 계속 들을 수 있었다.
간호진단 2
S.D : sadation상태로 자료 수집 불가능
O.D : - 키 173cm에 몸무게 62kg으로 Broca\'s index를 이용하여 계산하면 65.7로 정상적인 체중보다 3.7kg가량 적은 상태이며, 평소 입원전의 체중(74.4kg)보다 무려 12.4kg 가량 빠진 상태이다. 이는 2개월에 걸친 것이며, 그전 2개월에 걸쳐서도 6kg가량 빠진 history가 있었다.
- 피부 탄력성이 저하되었으며 거칠다.
진단 : 지속적인 비경구적영양으로 인한 섭취량 부족과 관련된 영양부족
(Altered Nutrition : less than body requirement)
장기목표 : 더 이상의 체중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단기목표 : 경관영양을 시작할 수 있다.
계획 : ① 신체검진을 통해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②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③ 매일 동일한 조건(시간, 옷, 체중계, 배뇨상태, 음식섭취 상태)에서 체중을 측정 한다.
④ 대상자와 지지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수행 : ①②③④ 수행
평가 : 대상자의 몸무게는 3일에 비해 0.8kg증가 하였으나 피부는 여전히 거칠고 탄력성이 저하된 상태이다. 지속적으로 대상자에게 무리가 가지 않도록 영양 섭취 를 증가(현재 정맥주입)시키면 대상자의 영양 상태가 개선 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진단 3
S.D : sadation상태로 자료 수집 불가능
O.D : - 체온이 37.7℃대를 유지하고 있다.
- 빈맥이 관찰되었다.(110회/1분이상 유지)
- 호흡수가 증가하였다. (25회이상/1분)
- 얼굴에 홍조를 띄고 있었다.
진단 : 질병으로 인한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Hyperthermia)
장기목표 : 체온이 정상범위로 유지된다.
단기목표 : 체온이 정상범위로 유지된다.
계획 : ① 체온을 1시간마다 측정한다.
② 피부의 상태를 사정한다.
③ 모니터를 통해 혈압, 맥박, 호흡상태를 측정한다.
④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⑤ blanketol을 이용하여 colling 시킨다.
수행 : ①②③④⑤수행함
평가 : 3일은 체온이 정상범위에 있다가 다시 올라가는 등 change되는 양상이 자주 있었지 만 지속적인 colling 결과 4일은 정상범위로 체온을 유지하였다.
간호진단 4
S.D : sadation상태로 자료 수집 불가능
O.D : - 증가된 호흡수(25회/분이상)를 보인다.
- 비정상적인 호흡음을 나타낸다.(악설음, 천명음)
- O2 saturation이 감소하였다
진단 : 환기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Impaired gas exchange)
장기목표 : ABGA 수치가 정상범위에 있으며, 환자의호흡수가 기준선에서 ±5를 유지한다.
단기목표 : O2 saturation이 정상범위에 있다.
계획 : ① 호흡양상(호흡수, 호흡음, 리듬, 깊이, 흉부견축정도)를 사정한다.
② 분비물의 특성(양, 색, 점도)를 사정한다.
③ 체위변경을 2시간마다 실시한다.
④ 흉부 물리요법을 실시한다.
⑤ 기도흡인(suction)을 실시한다.
⑥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한다.(nebulizer 이용)
⑦ 차가운 습기를 제공한다.(가습기 이용)
수행 : ①②③④⑤⑥⑦ 수행함
평가 : 대상자의 O2 saturation이 정상범위로 돌아왔으나, 여전히 청진 시 비정상적인 호흡음(rale)은 계속 들을 수 있었다.
간호진단 5
S.D : sadation상태로 자료 수집 불가능
O.D : - 침상과 직접 닿은 coccyx 부위가 붉은색을 띄고있다.
- 혼자서 체위변경을 실시할 수 없다.
- 대상자가 혼자서 움직일 수 있는 자세는 지금 현재 없다.
- 중환자실인 관계로 보호자가 면회시간에 찾아오긴 하나 대상자의 체위변경을 거의 해주지 않는다.
진단 : 질병으로 인한 장기간의 침상안정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위험성
(Skin integrity impaired ,risk for)
장기목표 : 피부손상이 없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적어도 2시간마다 다른 체위를 유지하고 있다.
계획 : ① 피부의 상태를 사정한다.
② 체위변경을 1-2시간마다 시행한다.
③ 체위변경 시 욕창이 생기기 쉬운 부위를 마사지 해 준다.
④ 베게 등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편안한 체위가 되도록 한다.
⑤ 뼈 돌출 부위에 보호장치를 대어준다.
⑥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⑦ 편안하고 조이지 않는 옷을 입게 한다.
⑧ 침상 린넨을 깨끗하고 건조하며 주름이 없는 상태로 유지한다.
수행 : ①②③④⑤⑦⑧수행함
평가 : coccyx의 붉은 부위는 가라앉지 않았으나 그 외의 피부 손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대 상자가 전혀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기 때문에 현재는 체위변경을 지속적으로 실시한 다면 더 이상의 피부 손상이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참고문헌 ※
1. “인체해부학” 안희경 고문사 1997
2. “소화기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3. “호흡기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4. “식도질환” 이상인(대한소화기학회) 군자출판사 2003
5. “임상호흡생리학 입문” 김동수 고려의학 1997
6.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병원 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7. “성인간호학” 서문자외 수문사 2000
8.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최영희외 현문사 1999
9. Internet web site
① http://www.iplusbank.net
② http://www.dubagi.co.kr/disorders/gastrointestinal/diverticula.htm
③ http://admin.koreahospital.com
④ http://www.medirepo.com/preg/Preg-par-care/lung/aspirationpn.htm
⑤ http://www.kimsonline.c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