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종양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난소종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난소종양
- 암세포의 기원이 어디냐에 따라서
상피세포성 종양, 생식세포성 종양, 간질세포성 종양으로 분류
- 양성과 악성으로 나눔

1. 상피성 난소종양
1) 양성종양
(1) 비종양성(기능성) 종양
(2) 신생성 종양

2) 상피세포성 악성종양
(1) 원인
(2) 병태생리
(3) 임상적 병기
(4) 종류


▣ 전이성 난소암의 치료

본문내용

괴촉지
→치료 : 수술, 항암화학 요법
4) 악성(미성숙)난소 기형종
- 난소 기형종의 1% 이하
주로 어린이나 젊은 여성에게 호발
→증상 : 하복통, 복부 또는 골반 내에서 종괴 촉지
간혹 급성 복통 호소. 한 쪽 난소에 국한되어 발생
→예후 : 세포의 분화도가 영향을 미치고 미성숙 요소가 있으면 나쁘다.
→치료 : 수술과 항암화학요법이 권장됨.
5) 태생암
- 악성 난소 생식 세포종양의 4% 차지. 가장 악성암 중의 하나.
4~28세에 호발하며 평균연령은 14세.
→증상 : 초기증상은 복통(58%), 복부 또는 골반 내 종괴 촉지(80%).
약 60% 환자에게서 사춘기 조발성, 무월경, 불임증, 다모증등의 호르몬 이상.
→치료 : 수술, 항암화학요법
6) 다배아종
- 희귀한 악성 생식세포 종양, 정상 배아아 유사한 배아체로 구성.
7) 융모상피암
- 대부분이 임신성 영양막성 질환에서 전이도니 것, 순수한 원발성 난소 융모상피함은 매 우 희귀함. 약물치료는 임신 영양막성 질환에 비해 잘 듣지 않는다.
8) 혼합 생식세포종
- 미분화 세포종(80%), 내배엽동 종양 (70%), 기형종(53%), 융모상피종(20%), 태생암 (16%)등이 포함된 종양을 말한다. 약2/3에서 한 쪽 난소에 발생된다. 수술과 항암화학요법 권장.
9) 생식아세포종
- 남녀성 세포가 함께 있는 종양으로 양측성인 경우가 많다.
미분화된 세포종과 같이 유사한 생식세포와 과립 난포막 또는 세르톨리 세포 종양과 유사 한 성선간질 세포들로 구성되어 잇고 석회화를 보임. 흔히 표현형은 여성이면서 Y-염색체 를 갖고 있으며 성염색질 모양은 음성이고 핵형은 49X 46XY 이다.
→증상 : 일차적으로 무월경, 남성화, 생식기 발육이상.
환자의 80%가 표현형은 여성이면서 나버지는 남성으로 잠복 고환증, 요도하열, 골반내 여성생식기가 있음.
→예후 : 좋은 편이나 반대쪽 이상 발육선은 제거하는 것이 좋음.
3. 간질성특이성 난소 종양
- 이 종양들은 대부분 기능성 조양들이며, 종양이 여성 내분비 조직과 유사하면 여성화 종 양, 고환성 내분비 조직과 유사하면 남성화 종양이라고 한다.
1) 섬유종-난포막종
① 섬유종
- 난소섬유종은 양성 난소 종야으이 약 5%를 차지하며, 난소의 내면 혹은 표면에 작은 결 절을 형성하지만 전체 복강을 차지할 정도로 거대한 크기를 갖는경우도 있음.
→증상 : 큰 종양일 경우 병변이 있는 쪽에 복통과 중압감 월경통이 있다.
→합병증 : 큰 종양의 경우에만 그 무게로 인하여 인대가 부분적으로 꼬일수 있고 정맥 폐쇄를 일으켜 복수를 초래할 수도 있다.
섬유종에서 복수와 흉수가 동반되는 특별한 경우인 메이그스 증후군
→치료 : 난관난소절제술, 흉수와 복수 제거.
② 난포막종
- 결합조직적 요소가 존재, 섬유종과 같은 특징을 보이는 단단하고 섬유질성 종양이며 반 대편 난소가 간질세포의 심한 과증식을 보이기도함. 양성종양.
2) 과립막- 난포막 세포종
① 과립막 세포종
- 과립막 특성과 과립세포의 성장 특성을 나타내며 잠재적 악성.
가장 흔한 여성화 종양으로 충실성 악성 난소종양의 약 10%차지.
→증상 : 자궁내마기의 주기적 출혈, 사춘기 이전 - 유방증대, 주기적 자궁출혈, 애과모 와 음모의 성장등 성적 조숙현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배란은 없으므로 임신은 되지 않는다. 폐경기 이후 자궁내막 자극으로 자궁출혈이 있을수 있으며 유방 이 커진다. 이때 15~25%에서 자궁내막암이 발생한다.
→치료 : 조직학적으로 암이 아니면 보존적인 외과적 치료를 하며, 한쪽 난소만 절제
35~40세 후에는 전자궁절제술과 양쪽 난소난관절제술을 한다. 폐경이후여성 은 근치치료를함.
② 난포막 세포종
- 임상증상 및 특징, 내분비 기능이 과립포막종과 동일하나 조직학적으로 많은 섬유결합 조직이 세포사이에 흩어져 보이고 과립막 세포종이 공존하기도 함. 악성정도는 과립막 세 포종보다 낮다.
③ 황체종
- 원시 간엽에서 발생.
→증상 : 과립막 세포종과 동일, 자궁내막에 분비기를 초래.
3) 세르톨리 - 라이디히 세포종
- 자주 남성화를 초래. 난소 종양의 0.4%차지.
태생기에 난소의 초기 발달과정은 고환과 비슷하지만 여성으로 분화되는 후반기에서는 남 성화의 요소가 난소의 중심부분에 남아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후에 종양이 발생되어 남성 호르몬을 분비하게 됨.
→진단 : 육안적 소견은 보통 중등도 크기이나 매우 작을 수도 있으며 25cm 이상 크기 종양도 있다. 외측성으로 발생하고 크기가 작은 종양일때는 충실성, 크기가 클 경우에는 하나이상의 많은 낭포를 형성. 고환의 특징적인 요소들을 지님. 악성 정도는 난소암보다 훨씬낮으며 치료후 재발률은 33%이다.
→증상 : 여성성징 결여증 후에 남성화 작용.( 얼굴과 복부에 털이나며 음핵의 이상 비대, 음성의 저음화. 남성다운 몸매) . 무월경, 유방위축, 둔부등의 피하지방의 감소등 이 주증상
미분화된 세포가 이쓸시 요중 17-케토스테로이드의 배설이 증가된다.
→치료 : 외과적 절제를 하며 악성이 아닐 경우 치료경과는 매우 좋음.
종양제거시 남성화 현상은 없어지며 다시 여성화됨.
악성으로 전이를 일으킨 경우 이차적으로전이된 종양이 계속적으로 남성화 작용 을 일으킴.
악성인 경우 - 전자궁 , 양쪽 난관난소절제술을 시행.
4) 남녀성세포 함유종
- 1930년 Meyer에 의해 사용.
- 이 종양의 생물학적 영향은 남성화 작용이지만 때로는 에스트로겐이 자궁내막증식증을 이르켜 과도한 자궁출혈을 초래.
5) 난소 부신종양
- 충실성 종양. 극히 작은것에서 20cm이상의 크기도 있다.
주로 성인에게 호발하며 대개 악성이다.
→증상 : 남성화 성징을 나타내기도 하며 쿠싱 증후군을 보이기도 하며 혼합양상을 띄기 도 한다.
→치료 : 외과적 절제
6) 문세포 종양
- 정상 난소에서 흔히 볼수 있는 성숙된 문세포와 난소의 간엽조직의 과잉 성장으로 인하 여 생기는 희귀한 양성 종양.
- 크기는 5cm이하인 한쪽 난소에 오며 대부분이 남성화를 일으킴
- 에스트로겐과 에스트로겐을 합성하며 자궁내막 증식증을 일으킴.
- 요중에 17- 케토스테로이드 증가.
→치료 : 외과적 절제술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08.27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43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