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화란 무엇인가?
2. 출현 배경
3. 네티즌(netizen)의 형성
4. 사이버문화의 특징
5. 결론
2. 출현 배경
3. 네티즌(netizen)의 형성
4. 사이버문화의 특징
5. 결론
본문내용
큰 특징으로 들 수 있는 '익명성과 비대면성'을 들어서도 설명될 수가 있는데, 이로 인해 그동안 소외됐던 주변계층의 활발한 활동 등의 긍정적인 측면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반면에 이 때문에 그 용감함이 지나쳐서 발생되는 사이버 언어 폭력이라든가 인신공격이나 무책임성은 그 정도가 위험수위까지 올라와 있다. 특히 우리나라 네티즌들은 상대적으로 세계에서 불청객으로 여겨진다는 기사를 전에 본 적이 있었다. 특히 게이머들 사이에선 한국게이머들에 대한 불신을 깊게 가지고 있어, 한국게이머들은 게임에 참여조차 시키지도 않아 한국인들은 한국인들끼리 게임을 하게 하는 사이트도 있다고 한다. 이렇게 된 까닭은 한국게이머들은 자신들이 불리한 상황이 되거나 하면 게임의 여부나 함께 즐기는 상대방은 아랑곳하지 않고 접속종료를 시킴으로써 게임을 끝내거나, 심한 욕설을 하고 나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정말 국제적인 망신이 아닐 수 없다.
자유에는 항상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는 말이 있다. 책임이 수반되지 않는 자유는 더 이상 자유로써의 가치가 없는 것이다. 이렇듯 사이버선상의 자유로움을 개인의 활동에 무제한적인 자유가 주어지는 곳으로 착각하는 더 이상의 무책임한 행동은 없어야 할 것이다. 사이버공간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권위는 국가사회에서 요구되는 타율적 통제를 기본으로 하는 권위라기보다는 자율적 제재가 더 중시되는 한 차원 높은 개념이어야 한다.
이를 잘 지켜나가 준다면, 이제는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은 사이버문화가 더 이상은 자유를 빙자한 혼돈과 야성의 세계가 아닌 이상적인 사이버문화로써 구축되어 갈 수 있을 것이다.
자유에는 항상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는 말이 있다. 책임이 수반되지 않는 자유는 더 이상 자유로써의 가치가 없는 것이다. 이렇듯 사이버선상의 자유로움을 개인의 활동에 무제한적인 자유가 주어지는 곳으로 착각하는 더 이상의 무책임한 행동은 없어야 할 것이다. 사이버공간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권위는 국가사회에서 요구되는 타율적 통제를 기본으로 하는 권위라기보다는 자율적 제재가 더 중시되는 한 차원 높은 개념이어야 한다.
이를 잘 지켜나가 준다면, 이제는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은 사이버문화가 더 이상은 자유를 빙자한 혼돈과 야성의 세계가 아닌 이상적인 사이버문화로써 구축되어 갈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일본의 에네르기파
캐릭터산업에 대한 마케팅전략 연구
사회과 교육의 목표와 시민의 자질
[_통신언어]의 현황과 문제점, 그 해결방향
[사이버 명예훼손] 인터넷 명예훼손 고찰
인터넷 댓글 연구
스와핑의 정의 및 역사, 해석-관점-이론, 방법-유형-실태, 찬성 및 반대 의견, 법적논쟁 정리
온라인 저널리즘 - '안티사이트'에 대한 연구와 접근
정보화와 언어파괴(인터넷 통신언어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인터넷 실명제
한류의 현황과 발전방안 및 B-boy의 성장
현대사회에서의 주문의 가치
사이버모욕죄에 대한 헌법적 고찰
인터넷 실명제. 약인가 독인가 (사이버 폭력 폐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