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해방과 분단의 정치사적 인식
1)해방의 의미
<누구에 의해 어떻게 해방되었는가?>
a.주어진 해방론 (타율적 해방론)
b.자주적 기여론 (주체적 해방준비론)
c.전취한 해방론 (자율적 해방론)
2)38선 확정문제
3)분단의 원인
<분단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a.외인론
b.전통주의적 주장
c.내부적 관점
2. 미군정 통치와 좌우익의 갈등
1)미군정 통치의 성격
2)국내 정치세력의 균열
*남한 내 정치세력의 이념 및 성향*
3)신탁통치 안을 둘러싼 갈등
4)좌우합작운동
3. 남한 단정 수립의 전개와 함의
1)단정수립노선의 전개과정
2)신탁통치의 폐기와 유엔의 한국문제 해결방안
<유엔의 한국문제 해결안에 대한 각 정치세력의 입장>
3)5.10 선거와 그 정치사적 의미
*5.10 선거가 가지는 의의와 성격
4.단정반대세력들의 정치적 좌절
1)남북협상파
2)김구와 한독당
3)중간세력
4)남로당과 좌익세력
5.결론
1)해방의 의미
<누구에 의해 어떻게 해방되었는가?>
a.주어진 해방론 (타율적 해방론)
b.자주적 기여론 (주체적 해방준비론)
c.전취한 해방론 (자율적 해방론)
2)38선 확정문제
3)분단의 원인
<분단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a.외인론
b.전통주의적 주장
c.내부적 관점
2. 미군정 통치와 좌우익의 갈등
1)미군정 통치의 성격
2)국내 정치세력의 균열
*남한 내 정치세력의 이념 및 성향*
3)신탁통치 안을 둘러싼 갈등
4)좌우합작운동
3. 남한 단정 수립의 전개와 함의
1)단정수립노선의 전개과정
2)신탁통치의 폐기와 유엔의 한국문제 해결방안
<유엔의 한국문제 해결안에 대한 각 정치세력의 입장>
3)5.10 선거와 그 정치사적 의미
*5.10 선거가 가지는 의의와 성격
4.단정반대세력들의 정치적 좌절
1)남북협상파
2)김구와 한독당
3)중간세력
4)남로당과 좌익세력
5.결론
본문내용
김구와 김규식이 제안한 남북정치협상과는 거리가 멀었고 이 결과의 협상에 관계없이 미군정과 이승만은 5.10선거를 실시함으로써 남한 내 단독정부를 구성했다. 이에 통일독립촉성회를 조직하여 통일운동을 전개하였으나 별 다른 성과 없는 운동에 그치고 말았다.
2)김구와 한독당
총선거로 한독당과 이승만 이 정권을 장악하자 김구는 이에 대항해 반외세 자주독립을 추구하여 남북간의 민족적 통일을 추구했다. 하지만 이 통일정부의 구상은 이승만의 북진통일과 전면 대립되어 이승만 정권으로부터 탄압과 압박을 받았다. 결국 김구는 통일정부수립의 꿈은 이루지 못하고 경교장에서 은둔생활을 하던 중 1949년 6월26일 육군소위 안두희의 저격에 의해 74세의 나이로 일생을 마쳤다. 이로써 상해임시정부의 법통은 정권획득과 무관하게 사라졌다.
3)중간세력
김규식은 미군이 5.10선거를 앞두고 이승만을 실각시키기 위한 계획으로 포섭하려 하였으나 남북협상의 실패를 계기로 `불반대 불참가` 원칙을 고수하여 정치 은퇴를 암시하였다. 하지만 김구와 함께 5.10 선거 이후에 통일독립촉성회를 조직하여 통일에 대한 굳은 의지를 포기하지 않았다. 하지만 김규식은 한국전쟁 당시 납북되어 만주와의 국경지대인 남포진으로 연행되었고 그 후 심장병으로 사망하였다. 김구와 김규식 외에도 조소앙, 원세훈, 엄항섭 등을 꼽을 수 있으나 이들 역시 한국전쟁으로 인해 납북되거나 생사불명의 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4)남로당과 좌익세력
남한내의 단독선거를 저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습격과 파괴 우익에 대한 테러 등을 감행하였다 2.7 구국토쟁, 4.3 제주항쟁, 5.10 선거반대투쟁으로 이어 나갔다. 특히 4.3항쟁은 제주도 전역에 걸친 무장투쟁형식의 총선저지 투쟁이었다. 결국 남로당 간부와 좌익세력들은 남쪽지방에서 빨치산 투쟁을 감행하거나 한국전쟁 와중에 북한으로 넘어가는 등 정치적 좌절을 겪어야 했다.
5.결론
미군정은 초기에 좌.우익을 모두 무시한 독자적인 통치방식을 택했는데 그들의 정책 모순과 임기응변식 전략에 실패가 드러나자 한반도 내에서의 자국의 이익에 적합한 세력을 구축하고자 했다. 1947년 3월 트루먼 독트린으로 미국은 대소강경정책으로 선회했고 이에 따라 반소.반공 이데올로기에 합치 될 수 있는 정치세력으로 보수와 우익.친일파를 근간으로 한 한민당과 공존관계를 맺게 되었다. 이러한 미국의 의도와 남한만의 선거를 실시하자는 이승만의 계획이 합일되어 단정반대 세력에도 불구하고 5.10 총선거로 단정의 계획이 현실화되었다. 이는 한반도가 분단국가로 성립되는 단초이기도 했다.
5.10선거를 계기로 남한은 미국식 민주제에 의한 근대국가를 형성하는 정치적 의미를 부여받게 되며, 이 미국식 민주제는 결국 한반도에서 우익 정치세력이 지배하는 반공 이데올로기를 전면에 표방하면서 그에 동조하지 않는 세력에 대해서는 탄압을 가하게 된다. 이렇게 볼 때, 미군정시대에 형성된 정치이념, 국가구조, 정치이데올로기는 한국 근대사에 큰 영향력을 끼치게 되고, 이는 미군정 이후 정권들의 속성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2)김구와 한독당
총선거로 한독당과 이승만 이 정권을 장악하자 김구는 이에 대항해 반외세 자주독립을 추구하여 남북간의 민족적 통일을 추구했다. 하지만 이 통일정부의 구상은 이승만의 북진통일과 전면 대립되어 이승만 정권으로부터 탄압과 압박을 받았다. 결국 김구는 통일정부수립의 꿈은 이루지 못하고 경교장에서 은둔생활을 하던 중 1949년 6월26일 육군소위 안두희의 저격에 의해 74세의 나이로 일생을 마쳤다. 이로써 상해임시정부의 법통은 정권획득과 무관하게 사라졌다.
3)중간세력
김규식은 미군이 5.10선거를 앞두고 이승만을 실각시키기 위한 계획으로 포섭하려 하였으나 남북협상의 실패를 계기로 `불반대 불참가` 원칙을 고수하여 정치 은퇴를 암시하였다. 하지만 김구와 함께 5.10 선거 이후에 통일독립촉성회를 조직하여 통일에 대한 굳은 의지를 포기하지 않았다. 하지만 김규식은 한국전쟁 당시 납북되어 만주와의 국경지대인 남포진으로 연행되었고 그 후 심장병으로 사망하였다. 김구와 김규식 외에도 조소앙, 원세훈, 엄항섭 등을 꼽을 수 있으나 이들 역시 한국전쟁으로 인해 납북되거나 생사불명의 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4)남로당과 좌익세력
남한내의 단독선거를 저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습격과 파괴 우익에 대한 테러 등을 감행하였다 2.7 구국토쟁, 4.3 제주항쟁, 5.10 선거반대투쟁으로 이어 나갔다. 특히 4.3항쟁은 제주도 전역에 걸친 무장투쟁형식의 총선저지 투쟁이었다. 결국 남로당 간부와 좌익세력들은 남쪽지방에서 빨치산 투쟁을 감행하거나 한국전쟁 와중에 북한으로 넘어가는 등 정치적 좌절을 겪어야 했다.
5.결론
미군정은 초기에 좌.우익을 모두 무시한 독자적인 통치방식을 택했는데 그들의 정책 모순과 임기응변식 전략에 실패가 드러나자 한반도 내에서의 자국의 이익에 적합한 세력을 구축하고자 했다. 1947년 3월 트루먼 독트린으로 미국은 대소강경정책으로 선회했고 이에 따라 반소.반공 이데올로기에 합치 될 수 있는 정치세력으로 보수와 우익.친일파를 근간으로 한 한민당과 공존관계를 맺게 되었다. 이러한 미국의 의도와 남한만의 선거를 실시하자는 이승만의 계획이 합일되어 단정반대 세력에도 불구하고 5.10 총선거로 단정의 계획이 현실화되었다. 이는 한반도가 분단국가로 성립되는 단초이기도 했다.
5.10선거를 계기로 남한은 미국식 민주제에 의한 근대국가를 형성하는 정치적 의미를 부여받게 되며, 이 미국식 민주제는 결국 한반도에서 우익 정치세력이 지배하는 반공 이데올로기를 전면에 표방하면서 그에 동조하지 않는 세력에 대해서는 탄압을 가하게 된다. 이렇게 볼 때, 미군정시대에 형성된 정치이념, 국가구조, 정치이데올로기는 한국 근대사에 큰 영향력을 끼치게 되고, 이는 미군정 이후 정권들의 속성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