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시조 문학 - 시조, 오우가, 오동, 백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의 시조 문학 - 시조, 오우가, 오동, 백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제목 江山(강산) 죠흔 景(경)을

◈ 제목 草菴(초암)이 寂蓼(적료)

◈ 제목 白鷗(백구)야 말 물어 보자

◈ 제목 田園(전원)에 나믄 興(흥)을

◈ 제목 잔 들고 혼자 안자

◈ 제목 盤中(반중) 早紅(조홍)감이

◈ 제목 노래 삼긴 사

◈ 제목 山村(산촌)에 눈이 오니

◈ 제목 공명을 즐겨 마라

◈ 제목 님이 헤오시매

◈ 제목 오동에 듯는 빗발

◈ 제목 梅花詞(매화사)

◈ 제목 五友歌(오우가)

본문내용

절로 존다.
언의 뉘 이 죠흔 을 알 리 잇다 리오.
< 출전 > 해동가요 <연대> 조선 영조
▶해설 초가 암자가 적적하고 고요한데, 찾아오는 벗 하나 없이 홀로 앉아, 평조의 노래 한 葉(엽)을 읊으니 흰 구름이 (알아듣는 듯) 제 스스로 졸고 있는 것만 같다. 어느 누가 이 좋은 뜻을 알아 줄 사람이 있다 하겠는가?
▶감상 세속을 떠나 조용한 초가에 홀로 묻혀 거문고를 타고 풍류를 즐기며 사는 그윽한 운치가 잘 나타나 있다. 무대는 적료한 초암이고 연주자는 나 혼자만의 독주이며, 곡조는 평조 대엽 즉흥곡인데,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 듯하다.
▶성격 한정가
▶표현 설의법, 의인법
▶제재 초암에서의 생활
▶주제 자연 속에서의 悠悠自適(유유자적)한 삶. 풍류를 즐기는 그윽한 경지
◈ 제목 白鷗(백구)야 말 물어 보자
작 자 : 김 천 택
白鷗(백구)야 말 물어 보자 놀라지 말아스라
名區勝地(명구 승지)를 어디 어디 보았는다
날다려 자세히 일러든 너와 게 가 놀리라
< 출전 > 해동가요 <연대> 영조
▶해설 갈매기야 말 물어보자 놀라지 말려무나. 산수 경치 좋기로 이름난 곳(명승구, 명승지)을 어디 어디 보았느냐. 나에게 자세히 말해 주면 너와 거기 가 같이 놀리라.
▶감상 갈매기에게 산수 경치 좋은 곳을 묻는 작자의 심경은, 자연 속에서 자연의 경관을 완상하며 유유자적하려는, 자연과의 화합과 몰입을 희구하는 상황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갈매기는 제가 가고 싶은 곳이면 어디든 갈 수 있다. ‘명구 승지를 어디 어디 보았는다’는 이 세상의 명승지를 다 관람하고 싶은 심정을 말한 것이다. ‘너와 게 가 놀리라’에서 자연에 동화되고 싶은 시적 자아의 정서를 알 수 있다.
▶성격 한정가
▶표현 의인법
▶제재 갈매기(백구)
▶주제 자연에의 몰입. 갈매기와 함께 승지를 보고자 함.
◈ 제목 田園(전원)에 나믄 興(흥)을
작 자 : 김 천 택
田園(전원)에 나믄 興(흥)을 전나귀에 모도 싯고
溪山(계산) 니근 길로 흥치며 도라와셔
아 禁書(금서)를 다스려라 나믄 를 보내리라.
< 출전 > 청구영언 <연대> 영조
▶해설 전원을 완상하고 남은 흥을 (다리를 저는) 나귀에 모두 싣고, 계곡을 낀 산 속 익숙한 길을 흥겨워하며 돌아와서, 아이에게 거문고를 적당히 타게 하고 서책을 적당히 읽게 하여라. 나는 남은 해를 흥겹게 보내리라.
▶감상 자연 속에서 실컷 풍류를 즐기며 놀다가 발을 저는 나귀에 몸을 싣고 돌아와, 거문고와 서책을 즐기며 남은 시간을 보내려는 작자의 모습은 한가함과 여유로움이 가득 찬 모습이다. 특히 ‘전원’은 심미의 대상이 아니라 풍류의 대상이라는 점에서 前代(전대)의 상황과는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전나귀-발을 저는 나귀. 溪山-계곡을 낀 산. 흥치며-흥겨워하며. 禁書(금서)-거문고와 서책. 다스려라-준비하여라.
▶성격 풍류적
▶표현 중의법
▶제재 전원의 흥취
▶주제 자연 속에서 누리는 풍류(흥취)
◈ 제목 잔 들고 혼자 안자
작 자 : 윤 선 도
잔 들고 혼자 안자 먼 뫼흘 라보니
그리던 님이 오다 반가옴이 이러랴
말도 우움도 아녀도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9.23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83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