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제목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 제목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
◈ 제목 訓民歌(훈민가)
◈ 제목 가노라 三角山(삼각산)아,
◈ 제목 遣懷謠(견회요) ※견회 - 마음을 달램
◈ 제목 임이 헤오시매
◈ 제목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
◈ 제목 訓民歌(훈민가)
◈ 제목 가노라 三角山(삼각산)아,
◈ 제목 遣懷謠(견회요) ※견회 - 마음을 달램
◈ 제목 임이 헤오시매
본문내용
조선시대의 시조 문학
◈ 제목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작 자 : 이 황
이런 엇다며 뎌런 엇다료.
草野愚生(초야우생)이 이러타 엇다료.
며 泉石膏(천석고황)을 고텨 무슴료.
<言志1> ▶ 천석고황
春風(춘풍)에 花滿山(화만산)고 秋夜(추야)애 月滿臺(월만대)라.
四時佳興(사시가흥)ㅣ 사과 가지라.
며 魚躍鳶飛(어약연비) 雲影天光(운영천광)이아 어늬 그지 이슬고.
<言志6> ▶ 자연의 오묘한 이법과 조화
當時(당시)에 녀 길흘 몃 려 두고,
어듸 가 니다가 이제 도라온고.
이제나 도라오나니 년 듸 마로리.
<言學1> ▶ 학문 수양에 전념할 결의
古人(고인)도 날
◈ 제목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작 자 : 이 황
이런 엇다며 뎌런 엇다료.
草野愚生(초야우생)이 이러타 엇다료.
며 泉石膏(천석고황)을 고텨 무슴료.
<言志1> ▶ 천석고황
春風(춘풍)에 花滿山(화만산)고 秋夜(추야)애 月滿臺(월만대)라.
四時佳興(사시가흥)ㅣ 사과 가지라.
며 魚躍鳶飛(어약연비) 雲影天光(운영천광)이아 어늬 그지 이슬고.
<言志6> ▶ 자연의 오묘한 이법과 조화
當時(당시)에 녀 길흘 몃 려 두고,
어듸 가 니다가 이제 도라온고.
이제나 도라오나니 년 듸 마로리.
<言學1> ▶ 학문 수양에 전념할 결의
古人(고인)도 날
추천자료
조선시대의 문학-한글창제,국악,악장,시조
조선시대의 문학(악장.국악.시조.가사)
조선시대의 시조 문학 - 오백변 도읍지, 흥망이 유수니, 눈마, 휘여진 등
조선시대의 시조 문학 - 이화우, 가마귀 검다, 간밤의 부던, 재 너머집의 등
조선시대의 시조 문학 - 시조, 오우가, 오동, 백구
조선시대문학
한국 중세문학의 성격, 한국 중세문학의 배경, 한국 중세문학 서사문학, 한국 중세문학 통일...
한국 중세문학 조선시대문학의 배경, 한국 중세문학 조선전기문학과 조선후기문학, 한국 중세...
한국 중세문학 조선전기문학, 한국 중세문학 조선후기문학, 한국 중세문학 조선시대문학 야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