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조선시대의 시조 문학
◈ 제목 오백년 도읍지(都邑地)를
◈ 제목 흥망(興亡)이 유수(有數)니
◈ 제목 눈 마 휘여진 를
◈ 제목 선인교(仙人橋) 나린 물이
◈ 제목 십년(十年) 온 칼이
◈ 제목 삭풍(朔風)은 나모 긋 불고
◈ 제목 적토마(赤兎馬) 디게 먹여
◈ 제목 방(房) 안에 혓는 촉(燭)불
◈ 제목 金生麗水(금생여수)ㅣ라
◈ 제목 수양산 바라보며
◈ 제목 이 몸이 주거 가서
◈ 제목 간밤의 우뎐 여흘
◈ 제목 오백년 도읍지(都邑地)를
◈ 제목 흥망(興亡)이 유수(有數)니
◈ 제목 눈 마 휘여진 를
◈ 제목 선인교(仙人橋) 나린 물이
◈ 제목 십년(十年) 온 칼이
◈ 제목 삭풍(朔風)은 나모 긋 불고
◈ 제목 적토마(赤兎馬) 디게 먹여
◈ 제목 방(房) 안에 혓는 촉(燭)불
◈ 제목 金生麗水(금생여수)ㅣ라
◈ 제목 수양산 바라보며
◈ 제목 이 몸이 주거 가서
◈ 제목 간밤의 우뎐 여흘
본문내용
야 고국흥망(故國興亡)을 무러 무리오.
< 출전 > 화원악보 <연대> 조선 태조
▶해설 선인교에서 내리는 물이 자하동으로 흐르니, 오백 년의 고려 왕업이 물소리에만 붙여 있구나. 아아, 옛 나라의 흥망을 물어서 무엇하겠는가?
▶감상 조선조 개국 공신인 정도전이 고려 왕조를 회고하면서도 시세에 따라야 함을 은근히 드러냄으로써 새 왕조에 비협조적인 고려 유신들을 달래고 탓한 노래이다.
▶성격 감상적, 回顧歌(회고가)
▶표현 영탄법
▶제재 고국(古國)의 흥망
▶주제 역사의 무상함을 초극(超克)하려 함
◈ 제목 십년(十年) 온 칼이
작 자 : 이 순 신
십년(十年) 온 칼이 갑리(匣裏)에 우노라.
관산(關山)을 라보며 로 져 보니
장부(丈夫)의 위국 공훈(爲國功勳)을 어 에 드리올고.
< 출전 > 청구영언 <연대> 조선
▶해설 십 년이나 갈아온 칼이 갑(칼집) 속에서 우는구나. 관문을 바라보며 (그 갑 속에 든 칼을) 때때로 만져 보니, 대장부가 나라를 위해 큰 공을 어느 때에 세워 (임금께 영광을 ) 드릴까?
▶감상 임진왜란 때, 전쟁터에서 우국 충정(憂國忠衷情)을 노래한 이순신의 ‘진중시(陣中詩)’로, 어느 때 어느 경우에라도 나라가 위태로울 지경에 이르면 목숨을 던져 나라를 구하겠다는, 武人으로서의 굳은 결의와 충성심이 잘 드러나 있다.
▶성격 의지적, 남성적, 우국적
▶표현 의인법
▶제재 칼
▶주제 우국 충정과 장부의 호기
◈ 제목 삭풍(朔風)은 나모 긋 불고
작 자 : 김 종 서
삭풍(朔風)은 나모 긋 불고 명월(明月)은 눈 속에 듸,
만리(萬里) 변성(邊城)에 일장검(一長劍) 집고 셔셔,
긴 람 큰 소
< 출전 > 화원악보 <연대> 조선 태조
▶해설 선인교에서 내리는 물이 자하동으로 흐르니, 오백 년의 고려 왕업이 물소리에만 붙여 있구나. 아아, 옛 나라의 흥망을 물어서 무엇하겠는가?
▶감상 조선조 개국 공신인 정도전이 고려 왕조를 회고하면서도 시세에 따라야 함을 은근히 드러냄으로써 새 왕조에 비협조적인 고려 유신들을 달래고 탓한 노래이다.
▶성격 감상적, 回顧歌(회고가)
▶표현 영탄법
▶제재 고국(古國)의 흥망
▶주제 역사의 무상함을 초극(超克)하려 함
◈ 제목 십년(十年) 온 칼이
작 자 : 이 순 신
십년(十年) 온 칼이 갑리(匣裏)에 우노라.
관산(關山)을 라보며 로 져 보니
장부(丈夫)의 위국 공훈(爲國功勳)을 어 에 드리올고.
< 출전 > 청구영언 <연대> 조선
▶해설 십 년이나 갈아온 칼이 갑(칼집) 속에서 우는구나. 관문을 바라보며 (그 갑 속에 든 칼을) 때때로 만져 보니, 대장부가 나라를 위해 큰 공을 어느 때에 세워 (임금께 영광을 ) 드릴까?
▶감상 임진왜란 때, 전쟁터에서 우국 충정(憂國忠衷情)을 노래한 이순신의 ‘진중시(陣中詩)’로, 어느 때 어느 경우에라도 나라가 위태로울 지경에 이르면 목숨을 던져 나라를 구하겠다는, 武人으로서의 굳은 결의와 충성심이 잘 드러나 있다.
▶성격 의지적, 남성적, 우국적
▶표현 의인법
▶제재 칼
▶주제 우국 충정과 장부의 호기
◈ 제목 삭풍(朔風)은 나모 긋 불고
작 자 : 김 종 서
삭풍(朔風)은 나모 긋 불고 명월(明月)은 눈 속에 듸,
만리(萬里) 변성(邊城)에 일장검(一長劍) 집고 셔셔,
긴 람 큰 소
추천자료
조선시대의 문학-한글창제,국악,악장,시조
조선시대의 문학(악장.국악.시조.가사)
조선시대의 시조 문학 - 이화우, 가마귀 검다, 간밤의 부던, 재 너머집의 등
조선시대의 시조 문학 - 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 훈민가, 가노라
조선시대의 시조 문학 - 시조, 오우가, 오동, 백구
조선시대문학
한국 중세문학의 성격, 한국 중세문학의 배경, 한국 중세문학 서사문학, 한국 중세문학 통일...
한국 중세문학 조선시대문학의 배경, 한국 중세문학 조선전기문학과 조선후기문학, 한국 중세...
한국 중세문학 조선전기문학, 한국 중세문학 조선후기문학, 한국 중세문학 조선시대문학 야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