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경로와 유통기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유통경로의 유형
(1) 직접유통과 간접유통
(2) 소비재 유통과 산업재 유통

2. 유통기구
1. 유통기구의 개념
2. 유통기구의 유형
(1) 업종과 업태의 개념
(2) 유통기구의 분류
3. 유통기구(상인)의 필요성
(1) 총거래수 최소화의 원리
(2) 집중 저장의 원리
(3) 정보축약. 정합의 원리
(4) 분업의 원리
(5) 변동비 우위의 원리

본문내용

자가 양쪽에서 상대방을 탐색하는 창
-생산자는 상인을 통하여 수요정보를 획득하고 소비자는 상인을 통하여 공급정보를 입수
*상호경쟁관계에 있는 복수의 상인이 전체로서 발신하는 정보는 대체로 전체의 수요정보와 공급정보를 대표( 수요정보와 공급정보는 유통과정을 통하여 집약적으로 표현되는데, 이것이 정보축약, 정합의 원리
* 유통과정에서 수요정보를 정확하게 축약하면 생산자는 상인의 중간 구색 갖춤의 변 화를 관찰함으로써 수요동향을 파악
*도매상의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수요정보와 공급정보는 도매단계로 집약됨
즉 다른 생산자의 상품수요와 공급동향, 각기 다른 소매상에서의 수요동향이 도매단계로 집약-> 이정보에 의하여 생산자는 생산을 조정하고 소매상은 구입, 판매를 조정하여 공급과잉이나 공급부족의 사회적 비용을 극소화함
(4) 분업의 원리
전문화-> 경험효과에 따른 숙련도 및 노하우 증진으로 작업의 효율성이 제고
-유통경로상에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에도 분업의 원리가 적용 즉 협상, 주문, 촉진, 정보수집, 재고등의 기능을 생산자가 수행하기 보다 이를 분업화하여 중간상이 전담함으로써 유통의 효율성을 높임
*중간상에게 유통기능을 위임/
(5) 변동비 우위의 원리
생산비용을 고정비와 변동비로 나눌 때 , 제조업의 경우 고정비의 비중이 크다.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단위당 고정비가 감소되어 총생산비용이 감소하는 규모의 경제효과가 나타남
그러나 유통부문의 비용은 제조업체에 비해 변동비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생산자가 제조와 유통을 통합하여 대형화할 때 나타나는 이점이 적을 경우 두기능을 분리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함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9.27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86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