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물의 탄생
2. 인구와 급수량의 표준
3. 음료수의 기준:
4. 상수도
5. 정수법(淨水法)
2. 인구와 급수량의 표준
3. 음료수의 기준:
4. 상수도
5. 정수법(淨水法)
본문내용
비처리로서 보통 황산(黃酸)밴드를 침전지에 놓아 보태서 수산화(水酸化)알루미늄의 Floc형성을 촉진시켜 불순물.세균등을 침전시키면서 동시에 그것을 인공여과막으로 사용한다. 통과 속도는 하루 100-150m이다.여과하는 경우에는 염소 소독을 엄중하게 할 필요가 있다. 급속여과는 장소가 좁아도 괜찮으므로 능률은 좋지만 여과된 물은 완속여과에 비해 성상(性狀)이 나쁘다.
우물물의 소독에는 일반으로 표백분(漂白粉)이 사용되지만 1m3 의 물에 대해서 표백분액을 100cc정도 보태면 좋다. 또 하루에 이것을 2-3회 되풀이 한다.
수원 -->침전지-->여과지-->염소소독-->급수
그외에 음료수를 얻고자 할 때는 차아염소산(次亞鹽素酸)을 사용하는 경우나, 이온교환수지(ion,交換樹脂)를 사용하는 수도 있다.
우물물의 소독에는 일반으로 표백분(漂白粉)이 사용되지만 1m3 의 물에 대해서 표백분액을 100cc정도 보태면 좋다. 또 하루에 이것을 2-3회 되풀이 한다.
수원 -->침전지-->여과지-->염소소독-->급수
그외에 음료수를 얻고자 할 때는 차아염소산(次亞鹽素酸)을 사용하는 경우나, 이온교환수지(ion,交換樹脂)를 사용하는 수도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