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의 인지주의 학습이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심리학의 인지주의 학습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개요

1. 초기의 인지학습이론
1) 행태주의이론의 주요법칙
2) 초기의 주요 인지학습이론

2. 정보처리이론과 기억
1) 정보처리의 단계
2) 기억에 관한 이론

3. 망각
1) 흔적쇠퇴설
2) 간섭설
3) 의도적 망각

4. 전이
1) 형식도야설
2) 동일요소설
3) 일반화설
4) 형태이조설

본문내용

3) 일반화설
4) 형태이조설
개요
학습에 관한 인지적 접근은 지각이론의 바탕 위에 수립된 학습이론으로서 학습을 인지구조의 형성 또는 변형으로 본다. 인지학습이론은 기억, 지각, 언어, 추리, 지식 개념형성, 문제해결력, 인간의 내재적 심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유용한 접근으로서 근래에는 정보처리의 구조와 과정을 연구한다.
우리는 이 장에서 인지심리학의 시초라고 볼 수 있는 형태주의 심리학의 통찰설과 장이론 등을 논의하고, 현대 인지심리학의 관심을 끌고 있는 정보처리이론을 중심으로 인간이 정보를 어떻게 입력 저장, 인출하는지를 논의한다. 이 장에서 우리는 학생들이 어떻게 학습한 자료를 기억하고 망각하며, 학습한 것을 다른 상황에서도 응용하는가에 대하여 논의할 것이다.
학습목표
1. 형태주의 이론의 주요 학습법칙을 종합한다.
2. 통찰설, 장이론의 이론적 개념을 숙지한다.
3. 정보처리의 순서 (또는 단계)를 이해한다.
4. 기억에 관한 구조이론과 과정 이론을 비교하고 그 차이를 이해한다.
5. 망각의 원인에 대한 여러 학설을 이해한다.
6. 학습의 전이에 대한 여러 이론을 이해한다.
1. 초기의 인지학습이론
학습현상을 자극과 반응의 결합관계로 설명하려는 주장과는 달리, 학습을 인지구조의 성립과 그 변용으로 규정하면서 인지를 강조하는 견해가 있는데, 이를 인지적학습이론(cognitive learning theory)이라고 한다.
인지이론은 베르타이머(M.Wertheimer)가 1912년에 가현운동(apparent movement)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면서 형태이론을 제창한 것이 그 시초라고 할 수 있다. 형태이론(Gestalt theory)은 지각, 학습 및 기억 등의 인지활동은 고립된 부분들의 기계적 연합이 아니라, 부분들을 일정한 관계에 의하여 전체로 조직하는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고j본다. 따라서 학습도 행동의 변화가 아니라 인지구조의 변화라고 정의한다.
형태주의 운동은 베르타이머(1945)가 얻은 하나의 통찰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만약 두 불빛이 어떠한 비율로 켜졌다 꺼졌다 한다면 관찰자에게는 한 개의 불빛이 왔다 갔다하는 것 같은 인상을 준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영화필름의 한 컷 한 컷은 모두 정지된 필름이지만, 연결되어 있는 정지필름을 돌리면 움직이는 그림으로 나타나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는 움직이지 않지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파이 현상\' (phi phenomena)이라고 한다. 파이 현상에서의 운동에 대한 감각은 켜졌다 꺼졌다 하는 두 불빛의 하나하나를 분석함으로써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그것은 요소의 조합에서
생겨나는 운동의 경험인 것이다 독일어의 게쉬탈트(Gestalt)라는 말은, 보통 형태라고 번역되지만, \'조직된 전체\'라는 뜻으로 이해된다. 게쉬탈트학파는, 인간은 이 세계를 유의미한 전체로 경험한다고 믿었다. 우리는 고립된 자극을 보는 것이 아니라 유의미한 배치, 즉 형태들로 모여진 자극을 보는 것이라고 한다 그리하여 \"전체는 부분의 합 이상인 것이다\"라는 말이 형태주의자의 구호가 되었다.
1) 형태주의이론의 주요법칙
형태주의이론의 주된 관심은 항상 지각 현상에 있었다. 형태주의의 지각의 원리로서 가장 기본적인 법칙은 함축성의 법칙(law of pragannz: pragnanz라는 라는 독일어는 임신을 뜻하며 영어의 pregnant에 해당한다)이다. 이는 지각장면에 대한 지각상은 간결성 완전성 및 유의미성으로 향하는 경향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함축성의 법칙을 간결과 의미의 법칙이라고도 한다. 지각할 때 그 지각상황에서 어떤 질서를 찾는 경향은, 어떤 상황을 볼 때 고립되고 무의미한 단편으로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종류의 조직된 전체 또는 게쉬탈트(형태)로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함축성의 법칙의 종속된 법칙으로는 근접, 유사, 폐쇄, 연속의 법칙 등이 있다.
(1) 근접의 법칙
근접의 법칙(law of proximity)이란, 지각장면의 자극은 가까운 것끼리 무리를 지어서 하나의 의미있는 형태로 지각한다는 원리이다. 즉, 가까이 있는 요소들은 멀리 떨어져 있는 동일한 요소들보다 뭉쳐져서 지각된다. 예컨대, 여러 개의 평행선을 넓고 좁게 배치했을 때 좁은 간격을 갖는 선끼리 응결하여 하나의 의미있는 형태를 형성하고, 넓은 간격을 갖는 선 사이의 공백은 그 형태의 배경으로 지각된다. 이처럼 체제화되기 쉬운 것은 학습, 파지, 재생이 모두 쉽다고 한다.
(2) 대사의 법칙
유사의 법칙(law of similarity)이란, 지각장면에 포함되어 있는 자극들은 서로 비슷한 것끼리 뭉쳐서 하나의 의미있는 형태를 형성한다는 원리이다. 즉, 유사한 요소들은 상이한 요소들과 등거리에 있을 때, 유사한 것끼리 뭉쳐져서 지각되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그림 (2)에서 OXOX보다는, X와 O는 각각 그들끼리 뭉쳐져 보인다.
(3) 폐쇄의 법칙
폐쇄의 법칙(law of closure)이란, 닫혀진 영역은 닫혀지지 않은 영역보다 더 안정되고 의미있는 도형으로 형성된다는 법칙이다 따라서 불완전한 것을 완전한 것으로 보려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조그마한 틈을 제외하고는 거의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선을 볼 때, 사람들은 그 틈을 메꾸고 그것이 마치 완전한 삼각형인 것처럼 반응한다.
(4) 계속성의 법칙
계속성의 법칙(law of continuity)은 좋은 연속의 법칙 또는 방향의 법칙이라고도 한다. 이 법칙에 의하면, 다른 것과 서로 계속성을 가지고 있는 자극은 배경에서 뛰어나고 전체로서 조직화되기 때문에, 같은 방향을 흐르거나 같은 유형을 따르는 것같이 보인다. 즉 요소들이 선형요소들의 방향으로 계속되는 것처럼 보이며 서로 연결된 것으로 본다. 곡선의 그림과 직각의 그림이 각각 다른 그림으로 보인다.
(1) 근접성: 가까운 것끼리 무리를 지어서 지각된다.
(2) 유사성: 비슷한 것끼리 뭉쳐져서 지각된다.
(3) 폐쇄성: 미완성 그림을 완성된 것, 즉 불완전한 것을 완전한 것으로 지각된다.
(4) 계속성: 계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서로 연결된 것으로 지각된다.
2) 초기의 주요 인지학습이론
초기의 인지학습이론으로는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10.02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91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