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농심 신라면의 해외진출사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농심 신라면의 해외진출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농심 기업분석
(1) ㈜농심의 기업 이념 및 전략
(2) ㈜농심의 연혁

Ⅱ. 본론
1. 신라면의 탄생
2. 시장 분석 (국내시장)
(1) 라면 시장의 규모와 추세
(2) 국내 라면 브랜드의 시장점유율
(3) 라면가격의 특성
(4) ㈜농심의 라면시장 점유율
3. 마케팅전략
(1) 브랜드 네이밍
(2) 디자인
(3) 초기런칭전략
(4) 신라면 광고전략
(5) 용기면으로 브랜드확장
(6) 브랜드력 제고를 위한 프로모션
4. ㈜농심의 국제 경영
(1) ㈜농심의 SWOT
(2) 초기 농심의 해외시장 진출 (미국 교포시장 진출)
(3) 현 ㈜농심의 해외시장 전략과 현황
(4) 4P전략 (중국시장 내 전략)

Ⅲ. 결론

본문내용

등이 한창 팔리던 때로써 라면 수출은 초기 단계에 불과하던 때였다.)
㈜농심을 미국사무소에 의해 실시된 시장조사를 통해서 성공할 수 있으리라는 확신을 가졌다. 그 이유는, 첫째, 교포들이 삿뽀로 이찌방라면의 맛과는 다른 새로운 맛을 기다리고 있었다. 둘째, 한국인들의 일본인에 대한 민족적 반감을 이용할 수 있을 거라 판단되었다. 셋째, 미국교포 시장에 존재하는 독특한 도매방식에서 그 성공가능성이 보였다.
-> 교포시장에서 ㈜농심의 전환기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80년대 후반부터 태어나기 시작한 교포 2,3세들이 등장한 것이다. 이들은 농심의 라면보다 삿뽀로, 이찌방을 선호하게 되었고, 결국 교포 2,3세대로 형성된 새로운 시장영역이 발생하였다. 이에 대해 ㈜농심은 순한 맛을 가진 라면을 개발할 목표를 가지고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었다.
* 시장 환경의 변화 *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한·미간 무역알력이 생겼다.
-1990년부터 개도국의 공산품에 대한 GSP(Generalized System of Preferences)혜택을 없애 버렸다.
-1988년 이후 미국라면사장에서의 경쟁이 격화되면서 그 정도가 한계경쟁수준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1991년 미국의 최대의 식품 업체인 캠벨(CAMPBEL)이 라면산업에 진출하면서 그 경쟁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게 되었다.
-6공화국 이후 임금이 상승함에 따라 국제적으로 가경경쟁력을 하락 시켰다.
-1987년 말까지 농심의 수출면의 판매가가 85g짜리 1박스(24개)당 1.65$가 1989년에는1.95$, 1990년에는 2.15$로 상승하여 농심 수출면의 가격경쟁력이 하락.
* 목표시장의 변화 *
-> 중국인시장 : 중국인시장의 경우 인구가 캘리포니아에만 280만 정도 대리점을 캘리포니아 3곳, 뉴욕에 1곳을 설치. 연 시장 성장율은 40∼50%로 조사되었음.
-> hispanic 시장 : 중남미와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이민해 온 사람들로 형성되어있는 시장
그 인구는 미국전체에 약 2,000만 정도였으며, 매운 음식을 좋아했다. 따라서 ㈜농심은 매운 맛, 소고기 맛, 닭고기 맛 등을 포함한 CHOICE 사발면을 중심으로 이들에게 마케팅을 실시하였다. (1990년부터 Mexican TV에 광고, 1992년부터 Mexico에 라면을 수출하였다.) 수출이 대부분 OEM을 통한 수출이기는 하지만 이곳의 규모가 연간 600만 불을 넘기 때문에 무시할 수 없는 수출 거래선이었다.
(4) 현 ㈜농심의 해외시장 전략과 현황
①사업다각화
-> (주)농심이 추구하는 사업다각화는 새로운 분야로의 `도전`이 아니라 기존 사업과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로 진출하는 것이 그 목표이다. 우선 ㈜농심은 올해 다국적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판매대행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커피제품과 우유보조식품의 유통을 담당하고 있는 ㈜농심은 제품종류 확대 뿐 아니라 기존 유통망을 활용해 영업력을 배가 시킨다는 계획이다. ㈜농심은 그밖에도 카프리썬, 웰치포도주스, 츄파춥스 등의 해외 식품의 국내 판매대행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대행업무를 2004년부터 확대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마케팅력이나 물류시스템은 이미 갖춰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활용해 `판매전문회사` 로서 자리 매김을 하겠다는 것이 그 목표이다.
②용기면 개발 및 생산을 강화
-> 7월부터 주5일 근무가 본격화되고 아웃도어 생활이 많아지면 용기면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봉지면과 용기면 판매비율 7대3 정도에서 5대5의 비율까지 높여나갈 수 있도록 제품 종류를 다양화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용기면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상태다. 이에 따라 ㈜농심은 올해 1조7000억원의 매출목표를 세워 지난해보다 11%높여 잡았으며 매출 총이익와 경상이익도 각각 10%,17%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는 등 안정적인 신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③㈜농심은 해외시장에서 한국의 맛을 그대로 살린 제품 고유의 맛을 고집, 고가를 유지하며 시장을 형성해 나갈 계획이다.
대도시 중산층 이상을 대상으로 고가 마케팅 전략을 펼칠 계획이다. ㈜농심은 올해 수출과 해외현지생산을 합쳐 해외부문 매출이 지난해보다 13.3%늘어난 128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이미 해외매출이 1000억원을 돌파했고 최근 수년간 증가세는 이어져왔다. 특히 국내에서 생산해 해외로 수출하는 물량보다 해외 현지생산 물량의 비중이 대폭 증가되면서 해외현지생산 비중은 해외전체 매출 중 지난해 32%를 차지했고 올해는 41.4%까지 증가할 것으로 회사측은 내다보고 있다. 그만큼 해외 현지 투자와 마케팅을 강화하겠다는 얘기이다.
성장율과 매출비중이 가장 큰 국가인 중국은 심양과 청도, 상해법인을 통해 지난해 전년비 29.8% 성장한데 이어 올해는 46.6% 성장한 4590만 달러의 매출목표를 세웠다. 특히 올해는 중국투자에 대해 손익분기점을 넘어 흑자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④해외 시장에도 국내 제품과 동일한 제품을 현재 중국과 미국 등 세계 라면시장에서 ㈜농심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한국에서 판매하는 제품 그대로 해외에서도 판매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농심은 강조한다. 과거 라면의 맛을 현지화해 판매했을 때보다 한국에서 판매하는 그대로 판매했을 때가 훨씬 호응이 좋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최근 ㈜농심 연구소에서는 신라면의 매운맛 외에 세계인의 입맛을 공략할 `제2의 맛`을 찾고 있다. 또 다른 `맛`을 찾아 신라면의 세계화가 구축된 후 한국 맛에 `길들여진` 수요 층을 붙잡아놓는 한편 매운맛을 선호하지 않는 새로운 시장의 개척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농심 이길수 상무는 \"㈜농심은 올해 \"국제화\"를 경영지침으로 삼아 세계시장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며 \"연말에 미국 LA 공장이 완공되면 북미지역에서 더욱 적극적인 마케팅을 실시하고 중국, 일본에서 판매망을 확충해 매출 성장률을 크게 향상시킬 것\"이라고 국제화에 대한 자신감을 피력했다.
(5)해외진출사례
①일본에서
:농심라면, 라면의 본고장 일본을 역습하다
-일본라면시장
일청식품, 동양수산, 명성식품, 산요식품, 에스콕쿠(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4.10.29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17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