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구려 유민과 고선지
2. 고선지의 서정(西征)
3. 탈라스 전투와 제지술(製紙術)의 전파(傳播)
4. 서정의 의의
2. 고선지의 서정(西征)
3. 탈라스 전투와 제지술(製紙術)의 전파(傳播)
4. 서정의 의의
본문내용
나 파피루스(Pairus)를 쓰고 있던 이슬람 제국과 그를 발판으로 서구에 전파되게 된 계기는 바로 고선지가 주도한 탈라스 전투였다. 2만명에 달하는 중국의 전쟁포로 가운데는 많은 기술자들이 있었는데, 그 중에는 제지기술자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 기술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강국(康國)의 수도 사마르칸트(Samarchant)에 제지소가 건설되어 있었다. 후에 여기에서 생산된 종이를 '사마르칸트紙 '라고 명명하였다.
이와같이 이슬람 세계에서 제지술이 광범위하게 발달함에 따라 이슬람 세계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유럽도 A.D. 12세기 중엽부터 아라비아인들로부터 제지술을 전수받아 제지업이 일기 시작했고, 이는 유럽에 르네상스(Renaissance)를 주도했다.
4. 서정의 의의
우리 역사속의 인물들 중에서는 그 역사적인 공적에 비해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하는
인물들이 많이 있다. 이는 역사속에서 그 인물을 보는 시각과 관점에 따라 그 평가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아마도 고선지 장군의 경우도 이에 해당 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용맹한 고구려인의 기질을 갖고 망국의 비운을 통감하며 심신을 연마 당제국에서 이민족 번장으로서는 드물게 세계의 지붕이라 일컬어지는 파미르고원을 넘나들며 서정을 단행, 중앙아시아를 평정해 대당건설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고, 동-서문화교류사적으로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 명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나 평가는 동·서양을 통털어 그 존재를 찾기가 힘들다. 또 그가 활약했던 당제국에서조차 당객랑이라는 그의 출생적인 한계와 탈라스 전투에서의 패배 때문에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더구나 그의 조국인 우리나라에서도 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프랑스의 동양학자 샤반느(Chavannes)가 종래의 중국문헌 이외에 새로이 서방·아랍 등의 문헌을 섭렵하여 고선지가 세운 탁월한 사적을 발굴해내어 밝힌 《서돌궐 사료 Document Sur les Tou - Kiue Occidentaux》가 발표하고, 또한 영국의 유명한 탐험가인 슈타인이 고선지의 전적지를 직접 답사·연구하면서 부터 고선지는 현대에 들어서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천재적인 전략가로 재조명 받기 시작했다.
이처럼 그는 5차에 걸친 서정을 통해 세계 전사(戰史)에 길이 남을 족적(足炙)을 남겼으며, 그의 서정이 갖는 역사적 의의는 크게 다음 세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첫 번째로 대당건설에 그가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것이다. 당시 당은 천산산맥 지역의 소무 9국이 아라비아와 중국 사이에서 양면사대정책을 취하면서 당의 서쪽 변경을 자주 침범하자 이에 대응하기 위해 서정을 단행했고, 당시 서역행정을 총괄하고 있던 고선지가 그 선봉에 섰다. 고선지는 5차에 걸친 서정중 탈라스 전투를 제외하고 1차에서
4차에 걸친 원정에서 모두 승리함으로서 당제국이 중앙아시아에 대한 지배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하였다.
두 번째로 탈라스 전투에 의해 제지술이 서양으로 전파되는 등 동-서문화교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점이다. 그는 1차에서 4차에 걸친 서정을 통해서 중앙아시아의 지하자원과 양질의 말 등을 중국으로 들여와,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문화를 더욱 풍요롭게 했고, 아랍 제국의 이슬람교가 중앙아시아 국가에 전파되어 송·원대에 이르러서는 중국의 서쪽 변방지역이 이슬람화 되는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탈라스 전투 이후 중국과 아랍세력이 파미르 고원을 경계로 더 이상 분쟁 없이 정치·문화적으로 상호 교류가 이뤄짐으로서 중세 동-서교류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그리고 잘 알려졌다시피 탈라스 전투 당시 포로로 잡혀간 중국인 제지공에 의해 중국의 발달된 제지술이 아랍 제국을 거쳐 유럽에 전파되어, 당시 문자와 서적이 보급이 보편화되지 못했던 서구에 엄청난 센세이션을 일으켰으며, 이는 A.D. 15세기 유럽의 르네상스가 일어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보다 시야를 넓혀서 중세 동-서교섭이나 문화교류에 미친 막대한 영향뿐만 아니라 한민족의 얼과 자긍심을 드높였다는 점에서 그 서정의 의의를 확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참 고 문 헌 ▷▶
《삼국사기》
《구당서》
《신당서》
무함마드 깐수, 「고선지의 서정」,『史學論叢』, 일월서각.
W.프랑케 저, 김원모 역,『동서문화교류사』,단국대학교 출판부.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조배설 편저,『세계사 대사전』, 민중서림.
현규환, 『한국유이민사 上
이와같이 이슬람 세계에서 제지술이 광범위하게 발달함에 따라 이슬람 세계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유럽도 A.D. 12세기 중엽부터 아라비아인들로부터 제지술을 전수받아 제지업이 일기 시작했고, 이는 유럽에 르네상스(Renaissance)를 주도했다.
4. 서정의 의의
우리 역사속의 인물들 중에서는 그 역사적인 공적에 비해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하는
인물들이 많이 있다. 이는 역사속에서 그 인물을 보는 시각과 관점에 따라 그 평가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아마도 고선지 장군의 경우도 이에 해당 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용맹한 고구려인의 기질을 갖고 망국의 비운을 통감하며 심신을 연마 당제국에서 이민족 번장으로서는 드물게 세계의 지붕이라 일컬어지는 파미르고원을 넘나들며 서정을 단행, 중앙아시아를 평정해 대당건설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고, 동-서문화교류사적으로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 명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나 평가는 동·서양을 통털어 그 존재를 찾기가 힘들다. 또 그가 활약했던 당제국에서조차 당객랑이라는 그의 출생적인 한계와 탈라스 전투에서의 패배 때문에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더구나 그의 조국인 우리나라에서도 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프랑스의 동양학자 샤반느(Chavannes)가 종래의 중국문헌 이외에 새로이 서방·아랍 등의 문헌을 섭렵하여 고선지가 세운 탁월한 사적을 발굴해내어 밝힌 《서돌궐 사료 Document Sur les Tou - Kiue Occidentaux》가 발표하고, 또한 영국의 유명한 탐험가인 슈타인이 고선지의 전적지를 직접 답사·연구하면서 부터 고선지는 현대에 들어서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천재적인 전략가로 재조명 받기 시작했다.
이처럼 그는 5차에 걸친 서정을 통해 세계 전사(戰史)에 길이 남을 족적(足炙)을 남겼으며, 그의 서정이 갖는 역사적 의의는 크게 다음 세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첫 번째로 대당건설에 그가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것이다. 당시 당은 천산산맥 지역의 소무 9국이 아라비아와 중국 사이에서 양면사대정책을 취하면서 당의 서쪽 변경을 자주 침범하자 이에 대응하기 위해 서정을 단행했고, 당시 서역행정을 총괄하고 있던 고선지가 그 선봉에 섰다. 고선지는 5차에 걸친 서정중 탈라스 전투를 제외하고 1차에서
4차에 걸친 원정에서 모두 승리함으로서 당제국이 중앙아시아에 대한 지배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하였다.
두 번째로 탈라스 전투에 의해 제지술이 서양으로 전파되는 등 동-서문화교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점이다. 그는 1차에서 4차에 걸친 서정을 통해서 중앙아시아의 지하자원과 양질의 말 등을 중국으로 들여와,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문화를 더욱 풍요롭게 했고, 아랍 제국의 이슬람교가 중앙아시아 국가에 전파되어 송·원대에 이르러서는 중국의 서쪽 변방지역이 이슬람화 되는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탈라스 전투 이후 중국과 아랍세력이 파미르 고원을 경계로 더 이상 분쟁 없이 정치·문화적으로 상호 교류가 이뤄짐으로서 중세 동-서교류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그리고 잘 알려졌다시피 탈라스 전투 당시 포로로 잡혀간 중국인 제지공에 의해 중국의 발달된 제지술이 아랍 제국을 거쳐 유럽에 전파되어, 당시 문자와 서적이 보급이 보편화되지 못했던 서구에 엄청난 센세이션을 일으켰으며, 이는 A.D. 15세기 유럽의 르네상스가 일어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보다 시야를 넓혀서 중세 동-서교섭이나 문화교류에 미친 막대한 영향뿐만 아니라 한민족의 얼과 자긍심을 드높였다는 점에서 그 서정의 의의를 확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참 고 문 헌 ▷▶
《삼국사기》
《구당서》
《신당서》
무함마드 깐수, 「고선지의 서정」,『史學論叢』, 일월서각.
W.프랑케 저, 김원모 역,『동서문화교류사』,단국대학교 출판부.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조배설 편저,『세계사 대사전』, 민중서림.
현규환, 『한국유이민사 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