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면서
1. 시대를 움직인 인물들
1) 주지육림을 만들게 한 달기(妲己)
2) 주왕조가 망한 포사(褒姒)의 웃음
3) 태자를 쫓겨낸 여희(驪姬)
4) 삼대 악녀 여후(呂后)
5) 중국 유일의 여(女)제(帝) 측천무후(則天武后)
6) 천하일색 양귀비(楊貴妃)
7) 청조 멸망의 원흉 서태후(西太后)
2. 맺는 말
1. 시대를 움직인 인물들
1) 주지육림을 만들게 한 달기(妲己)
2) 주왕조가 망한 포사(褒姒)의 웃음
3) 태자를 쫓겨낸 여희(驪姬)
4) 삼대 악녀 여후(呂后)
5) 중국 유일의 여(女)제(帝) 측천무후(則天武后)
6) 천하일색 양귀비(楊貴妃)
7) 청조 멸망의 원흉 서태후(西太后)
2. 맺는 말
본문내용
말에 따라 포사를 황후로 삼았다. 그러나 젊고 아름다운 포사는 종일 깊은 궁 안에서 외롭게 지내며 말수가 매우 적었다. 유왕은 포사가 웃는 것을 거의 볼 수가 없었다. 유왕은 포사의 웃는 모습을 한번이라도 보기 위하여 천금이나 되는 상도 아끼지 않았다. 이때, 한 간신이 봉화를 피워 제후들을 놀려주자는 건의를 하였다. 유왕도 그 방법이 괜찮겠다 생각하고, 포사를 데리고 여산(驪山)으로 놀러갔다. 밤이 되자 유왕은 봉화를 올리고 진격을 알리는 북을 치라고 명했다. 삽시간에 북소리는 하늘을 진동하고, 봉화불은 하늘로 치솟았다.
제후들은 봉화를 보고 모두 유왕이 위험에 처한 것이라 생각하고, 즉각 군사들을 이끌고 여산으로 달려왔다. 제후들은 급히 달려왔으나 아무 일도 없었으므로 멍하니 서 있었다. 이 모습을 본 포사는 비로소 웃었다. 유왕에 의해 폐위된 왕비 신후(申后)의 아버지 신후(申侯)는 이미 믿음을 잃어버린 유왕에 대하여 몹시 격분하였다. 신후는 BC 771년 견융(犬戎) 등을 이끌고 쳐들어와 유왕을 공격하였다. 유왕은 다시 봉화를 올렸으나 제후는 한 사람도 모이지 않았다. 왕과 백복은 살해되어 서주는 멸망하였으며, 포사는 납치되었다고 전한다. 이때부터 주왕국은 낙읍에 도읍을 옮겼다. 점점 세력이 약해져 제후들이 패권을 다투는 춘추시대로 접어든다
3) 태자를 쫓겨낸 여희(驪姬)
주의 제후의 나라인 진의 헌공이 이민족을 토벌할 때 여희와 소희 자매 왕녀를 헌상받았는데, 헌공은 특히 여희를 사랑하여 아들을 낳은 그녀를 비로 삼았다.
진의 헌공은 워낙 호색가여서 태자 신생 말고도 이민족 여인이 낳은 중이와 이오 그리고 여희 자매가 낳은 계제와 탁자 등 여러 아들이 있었다. 여희는 헌공이 그녀를 총애하고 있는 틈을 이용하여 간계를 써서 태자 신생을 죽이고 자기 소생인 계제를 태자로 올려놓는 데에 성공했다. 그러나 여희에게는 다른 여자 소생인 중이와 이오도 눈의 가시였다. 특히 중이는 자기 아들 계제에 비하여 인품이 뛰어나 그를 따르는 신하들이 많으니 여희는 더욱 불안했다. 그녀는 여러 번 자객을 넣어 중이를 없애려고 했으나 그때마다 실패했다. 한편 생명의 위험을 참다못한 중이와 이오는 진(晋)을 등지고 망명의 길을 떠난다. 중이는 여러 나라를 방랑하던 끝에 진(秦) 목공을 찾아갔다. 그 뒤 진의 목공의 힘으로 고국인 진으로 돌아온 중이는 왕위에 오르고 나라를 바로 잡는다. 망명 생활 19년의 만의 일이다.
중이를
제후들은 봉화를 보고 모두 유왕이 위험에 처한 것이라 생각하고, 즉각 군사들을 이끌고 여산으로 달려왔다. 제후들은 급히 달려왔으나 아무 일도 없었으므로 멍하니 서 있었다. 이 모습을 본 포사는 비로소 웃었다. 유왕에 의해 폐위된 왕비 신후(申后)의 아버지 신후(申侯)는 이미 믿음을 잃어버린 유왕에 대하여 몹시 격분하였다. 신후는 BC 771년 견융(犬戎) 등을 이끌고 쳐들어와 유왕을 공격하였다. 유왕은 다시 봉화를 올렸으나 제후는 한 사람도 모이지 않았다. 왕과 백복은 살해되어 서주는 멸망하였으며, 포사는 납치되었다고 전한다. 이때부터 주왕국은 낙읍에 도읍을 옮겼다. 점점 세력이 약해져 제후들이 패권을 다투는 춘추시대로 접어든다
3) 태자를 쫓겨낸 여희(驪姬)
주의 제후의 나라인 진의 헌공이 이민족을 토벌할 때 여희와 소희 자매 왕녀를 헌상받았는데, 헌공은 특히 여희를 사랑하여 아들을 낳은 그녀를 비로 삼았다.
진의 헌공은 워낙 호색가여서 태자 신생 말고도 이민족 여인이 낳은 중이와 이오 그리고 여희 자매가 낳은 계제와 탁자 등 여러 아들이 있었다. 여희는 헌공이 그녀를 총애하고 있는 틈을 이용하여 간계를 써서 태자 신생을 죽이고 자기 소생인 계제를 태자로 올려놓는 데에 성공했다. 그러나 여희에게는 다른 여자 소생인 중이와 이오도 눈의 가시였다. 특히 중이는 자기 아들 계제에 비하여 인품이 뛰어나 그를 따르는 신하들이 많으니 여희는 더욱 불안했다. 그녀는 여러 번 자객을 넣어 중이를 없애려고 했으나 그때마다 실패했다. 한편 생명의 위험을 참다못한 중이와 이오는 진(晋)을 등지고 망명의 길을 떠난다. 중이는 여러 나라를 방랑하던 끝에 진(秦) 목공을 찾아갔다. 그 뒤 진의 목공의 힘으로 고국인 진으로 돌아온 중이는 왕위에 오르고 나라를 바로 잡는다. 망명 생활 19년의 만의 일이다.
중이를
추천자료
한국인의 중국 기행기에 나타난 중국관
중국 미의 기준 (중국 미인)
[중국인의 일상생활사]중국의 4대 요리 PPT
[시간][고대중국][아프리카인][천주교][고대중국인의 시간][아프리카인의 시간][천주교의 시...
[민족][카렌민족][유목민족][중국민족][대만민족][티베트민족][동이민족][터키민족][카렌][유...
[일본인식, 일본인식과 영국, 일본인식과 동아시아, 일본인식과 중국, 일본인식과 한국, 영국...
[현대중국입문 공통] 가족은 예나 지금이나 중국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입니다. 장이머우...
역사교육 - 고조선 역사왜곡과 고조선 역사왜곡의 대처방안
[중국공연예술 B형] 교재 ‘제15장 4)제5세대 감독의 대두와 실험영화의 흐름 (366~377쪽)’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