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이 책을 선정한 이유
Ⅱ. 본론
1. 휴렛팩커드의 창립
2. 찾아온 문제와 변화
Ⅲ. 결론
1.이 책을 선정한 이유
Ⅱ. 본론
1. 휴렛팩커드의 창립
2. 찾아온 문제와 변화
Ⅲ. 결론
본문내용
다고 고집스럽게 우겼다. 그들이 낡은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곳곳에서 드러나기 시작했다.
1980년대 초 HP가 PC 산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을 때, 의욕적으로 시장에 출시한 것은 터치스크린 PC였다. 당시의 제품은 다른 회사의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만들어졌다. HP의 엔지니어들은 자신들의 방식을 선호했지만, 그 제품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아무도 없었다. 그 장비는 완전히 실패작이었고, 그 후 팩커드는 HP가 PC 사업에서 손을 떼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팩커드의 주장은 지지를 받지는 못했지만, PC 사업에 대한 그런 태도는 회사 전체의 사고방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여기서의 HP의 문제점은 시장의 변화 자체를 읽지 못했다는 점이다. 빨리 변해가는 시장에 대해서 너무 고전적인 기업의 고집으로 시장을 읽지 못했으며 문제점을 발견을 했지만 거기에 대한 빠른 대응책을 만들지 못했다는 커다란 실수를 했다. 결국 회사의 방향성을 잘 알려주지 못하게 되는 실수를 만들어냈다.
3) 보수적이 재정운영 방식
경제 대공항 시절에 성공한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팩커드와 휴렛도 돈 빌리는 것을 몹시 싫어했다. HP의 재정사정이 어려워졌을 때, 팩커드가 할 수 있는 조언은 가격을 올리든지 성장률 목표를 낮추라는 정도가 고작이었다. 그렇게 하면 이익률은 유지할 수 있겠지만, 대중으로부터 자금을 끌어 모으는데 보다 현대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경쟁사들에 비해 발이 느리게 되는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이었다.
앞의 문제점과 마찬가지로 너무 오래된 사고방식의 변화를 바꾸지 못했던 오류가 발생했다. 그 문제의 중심에는 항상 두 창업자의 고집스런 방식이 있었다. 두 창업자는 많은 길을 닦아왔고 많은 발전의 중심에 있었지만 자신들이 성공을 하던 그 방식만을 고집하는 바람에 현재 시장의 흐름을 읽지 못하게 하는 벽으로 작용을 했던 것 같다. 새롭게 작은 소규모의 벤처기업들은 성장을 하고 튀어오르는 상황에서 거대해진 HP는 두 창업자들의 간섭에 의해서 움직여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4) 관료주의
HP가 직장생활을 시작하는 데는 안성맞춤인 회사라는 인식은 점차 확산되었지만, 실리콘밸리에서 초고속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 기업으로는 거의 인식되지 못했다. 새롭게 각광받는 경제계의 영웅들은 30대에 소규모 회사를 세운 후, 벤처 사업자금을 끌어 모아 회사를 키우고 기업공개를 함으로써 억만장자가 되는 사람들이었다.
1980년대 후반 그러한 모든 문제들로 인해 HP는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회사의 성장곡선은 꺽여 평평해졌고, 의사결정은 제때 이루어지지 못하여 지연되고 있었다. 회의는 끝없이 진행되는 것처럼 보였지만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 당시 첨단기술 산업분야가 슬럼프에 빠졌을 때, HP의 주가는 1987년부터 1990년 사이에 50% 이상 곤두박질쳤다. 두 창업자는 마지막으로 HP를 위해 나섰다. 팩커드는 관료주의가 문제인 것 같다고 말했다. 지역 책임자들은 위원회나 핵심 업무 외에 잡무가 너무 많아 업무에 방해가 된다고 하소연했다. 해결책은 분명했다. 각종 위원회를 해체하고, HP를 지나치게 중앙집권화하는 것을 중지하여 각 사업부문이 다시 주도권을 갖고 각각의 사업을 추진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 모든 것에 대해 영은 공개석상에서 위원회 해체는 좋은 생각이며, 사실 그것은 자신의 아이디어였다고 주장했다. 자신은 몇몇 인터뷰에서 회사 내에 관료주의가 만연해 있음을 우려했고, 팩커드와 휴렛이 회사로 돌아와 이 일을 맡아주도록 결정한 것은 바로 자신이었다고 말했다. 일단 영과 두 창업자는 많은 위원회를 해체시켰다.
그러나 결국 팩커드는 이 무능한 최고경영자를
1980년대 초 HP가 PC 산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을 때, 의욕적으로 시장에 출시한 것은 터치스크린 PC였다. 당시의 제품은 다른 회사의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만들어졌다. HP의 엔지니어들은 자신들의 방식을 선호했지만, 그 제품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아무도 없었다. 그 장비는 완전히 실패작이었고, 그 후 팩커드는 HP가 PC 사업에서 손을 떼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팩커드의 주장은 지지를 받지는 못했지만, PC 사업에 대한 그런 태도는 회사 전체의 사고방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여기서의 HP의 문제점은 시장의 변화 자체를 읽지 못했다는 점이다. 빨리 변해가는 시장에 대해서 너무 고전적인 기업의 고집으로 시장을 읽지 못했으며 문제점을 발견을 했지만 거기에 대한 빠른 대응책을 만들지 못했다는 커다란 실수를 했다. 결국 회사의 방향성을 잘 알려주지 못하게 되는 실수를 만들어냈다.
3) 보수적이 재정운영 방식
경제 대공항 시절에 성공한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팩커드와 휴렛도 돈 빌리는 것을 몹시 싫어했다. HP의 재정사정이 어려워졌을 때, 팩커드가 할 수 있는 조언은 가격을 올리든지 성장률 목표를 낮추라는 정도가 고작이었다. 그렇게 하면 이익률은 유지할 수 있겠지만, 대중으로부터 자금을 끌어 모으는데 보다 현대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경쟁사들에 비해 발이 느리게 되는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이었다.
앞의 문제점과 마찬가지로 너무 오래된 사고방식의 변화를 바꾸지 못했던 오류가 발생했다. 그 문제의 중심에는 항상 두 창업자의 고집스런 방식이 있었다. 두 창업자는 많은 길을 닦아왔고 많은 발전의 중심에 있었지만 자신들이 성공을 하던 그 방식만을 고집하는 바람에 현재 시장의 흐름을 읽지 못하게 하는 벽으로 작용을 했던 것 같다. 새롭게 작은 소규모의 벤처기업들은 성장을 하고 튀어오르는 상황에서 거대해진 HP는 두 창업자들의 간섭에 의해서 움직여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4) 관료주의
HP가 직장생활을 시작하는 데는 안성맞춤인 회사라는 인식은 점차 확산되었지만, 실리콘밸리에서 초고속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 기업으로는 거의 인식되지 못했다. 새롭게 각광받는 경제계의 영웅들은 30대에 소규모 회사를 세운 후, 벤처 사업자금을 끌어 모아 회사를 키우고 기업공개를 함으로써 억만장자가 되는 사람들이었다.
1980년대 후반 그러한 모든 문제들로 인해 HP는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회사의 성장곡선은 꺽여 평평해졌고, 의사결정은 제때 이루어지지 못하여 지연되고 있었다. 회의는 끝없이 진행되는 것처럼 보였지만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 당시 첨단기술 산업분야가 슬럼프에 빠졌을 때, HP의 주가는 1987년부터 1990년 사이에 50% 이상 곤두박질쳤다. 두 창업자는 마지막으로 HP를 위해 나섰다. 팩커드는 관료주의가 문제인 것 같다고 말했다. 지역 책임자들은 위원회나 핵심 업무 외에 잡무가 너무 많아 업무에 방해가 된다고 하소연했다. 해결책은 분명했다. 각종 위원회를 해체하고, HP를 지나치게 중앙집권화하는 것을 중지하여 각 사업부문이 다시 주도권을 갖고 각각의 사업을 추진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 모든 것에 대해 영은 공개석상에서 위원회 해체는 좋은 생각이며, 사실 그것은 자신의 아이디어였다고 주장했다. 자신은 몇몇 인터뷰에서 회사 내에 관료주의가 만연해 있음을 우려했고, 팩커드와 휴렛이 회사로 돌아와 이 일을 맡아주도록 결정한 것은 바로 자신이었다고 말했다. 일단 영과 두 창업자는 많은 위원회를 해체시켰다.
그러나 결국 팩커드는 이 무능한 최고경영자를
키워드
추천자료
[경영전략] 비전 기업의 성공방향
실리콘 밸리와 테헤란 밸리, 인도의 IT 산업
일본의 인터넷 마케팅 성공 조건
탁월함의 함정(데이브드모즈비)
인텔의 성공사례
연세대학교 마케팅 전략경영 보고서 Built to last
[실리콘밸리][실리콘밸리 역사][실리콘밸리 무어의 법칙][실리콘밸리 위기, 해법]실리콘밸리...
3kinds Story of Steve Jobs .pptx
[기술경영] iPod 아이팟 혁신제품(공정)
Think Differently 스티븐 잡스 - 그의 출생, 성장, 업적
국제기업의 신제품 개발에 대한 사례연구(애플사의 ipod 개발 사례연구)
steve jobs(스티브잡스) & apple(애플)
[과제]애플기업 조사
애플의 성공비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