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OP care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post OP car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초기 간호사정

중재

수술후 불편감
오심과 구토
갈증

수분과 전해질의 불균형 및 간호

본문내용

post OP care
초기 간호사정
1. 환자의 신분, 수술절차와 절차를 수행한 수술의에 대해 기록한다.
2.마취의와 함께 다음의 증상을 평가하고 검사 수치에 대해 확인한다.
a. 호흡상태
b. 순환상태
c. 맥박
d. 체온
e. 산소포화치
f. 혈액역동치
3.연하, 구개반사와 의식상태와 자극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파악한다.
4. 모든 관, 튜브 또는 배액관, 혈액손실, 상처의 상태, 투약된 약물, 수혈과 배출량을 포함하여 정맥주입을 평가한다.
5. 통증과 보호반사를 관찰함으로써 환자의 안전과 안위상태를 평가한다.
6. 침대난간과 억제대가 적당하게 되어있는지, 수혈공급이 안전한가에 대해 파악한다.
7. 환자의 활동상태를 평가한다.
8.의사의 처방을 검토한다.
중재
A. 기도개방 유지
1.환자가 의식이 돌아와서 금속제, 고무 또는 플라스틱 인공기도를 빼려고 할때 까지 그대로 둔다.
a. 인공기도는 기도를 유지하고 혀가 뒤로 넘어가서 기도가 폐색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b.인두반사가 되돌아온 후 인공기도를 그대로 두면 구토를 일으킬 수 있다.
2.비인두나 구인두에서 분비물 소리가 들리면 흡인해 내도록 한다.
B.적절한 호흡기능의 유지
1.금기가 아니라면 환자의 목을 신장시킨 채 옆으로 눕히고 베개로 상지를 지지한다.
a. 이것은 폐확장을 도와준다.
b.호흡과 환기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1시간 또는 2시간마다 돌아눕힌다.
2.환자의 폐에 공기를 가득 채우고 침하성 폐렴을 예방하기 위해 심호흡을 하도록 격려한다. 이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폐활량계를 사용할 수 있다.
3.청진기를 사용하여 폐를 자주 청진한다.
4.환자의 지남력을 정규적으로 평가한다.
5. 필요시 습윤된 산소를 투여한다.
a. 정상적으로 호기시 열과 습기를 빼앗긴다.
b. 탈수된 환자는 호흡기도를 자극하는 빈도가 높으므로 산소와 습기가 필요하다.
c. 분비물 제거를 요이하게 하기 위해 습기를 제공한다.
6.필요시 적절한 폐환기를 유지하기 위해 기계적인 환기를 사용할 수 있다.
C. 순환계 상태의 사정
1.임상증상에 따라 상태가 안정될 때까지 자주 활력증후를 측정한다. 그 후 처방에 따라 측정한다.
a. 특이한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수술 전의 혈압ㅇ르 파악한다.
b. 수축기혈압이 하강하거나 심박동수가 증가하면 즉시 보고한다.
c. 혈압이 변화하거나 심부정맥이 있다면 보고 한다.
d. 관류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맥압을 평가한다.
2. I/O에 대해 주의깊게 파악한다.
3. 혈액순환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요인을 인식한다.
4. 쇼크와 출혈의 조기 증상에 대해 인식한다.
a. 차가운 사지, 소변량의 감소(시간당 30ml이하), 모세혈관 충만시간의 지연, 저혈압, 맥압의 감소와 증가된 박동수는 심박출량의 감소를 의미한다.
b. 순환혈액내로부터 산소함유량을 늘이기 위해 산소를 투여한다.
c. 처방된 비경구적 수액공급을 증가시킨다.
d. 금기가 아니라면 발ㅇ르 올리는 쇼크체위를 취해준다.
D.체온조절 상태의 사정
1. 악성 고체온증을 경계하거나 저체온증을 판별하기 위해 1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한다.
2.37.7이상이거나 36.1이하인 경우 보고 한다.
3.마취 후 오한을 관찰한다. 환자가 회복실로 온후 30~45분에 저체온 증상이 현저하다.
4. 적당한 체온과 습기와 함께 치료적인 환경을 제공해 주며 환자가 추어하는 경우 따뜻한 담요를 제공해준다.
E. 적절한 체액량 유지
1.지시된 수액을 투여한다.
2.전해질을 파악하고 오심과 구토, 허약같은 전해질 불균형의 증상을 인식한다.
3.의식 상태, 피부색과 긴장도와 체온에 대해 평가한다.
4.수분 불균형의 증상을 인식한다.
a. 저혈량-혈압하강, 소변량 감소, 중심정맥압의 저하,
b. 고혈량-혈압상승, 폐기저부의 마찰음과 심음의 변화, 중심정맥압의 상승
5.섭취량과 배액량을 파악한다. 방광팽만을 관찰한다.
6.정맥주입 용액이 새는 것을 파악하기 위해 정맥주입 튜브 주위의 피부와 조직을 관찰한다. 용액이 새는 경우 체액량을 유지하기 위해 즉시 정맥 주입 튜브를 다시 삽입한다.
F.안위 증진
1.통증을 사정하기 위해 행동과 신체적인 증상을 관찰한다.
2.진통제를 투여하고 효과에 대해 기록한다.
3.촨자가 편안해 하는 체위를 취해준다.
G.피부손상 합병증의 최소화
1.환자와 접촉하기 전후에 손을 닦는다.
2.정규적으로 드레싱을 관찰한다.
3.상처에서의 배액량과 형태를 기록한다.
4.환자를 자주 돌아눕히고 좋은 체형을 유지하게 한다.
H.안전유지
1.환자가 충분히 깰 때까지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 침대난간을 올려준다.
2.주사바늘이 사고로 인해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 정맥주입이 되고 있는 사지를 보호한다.
3.신경손상과 근육긴장을 피하기 휘해 적당히 지지해 주고 압박 부위에 패드를 대준다.
4.안전핀이 열려 있어 찔리거나 겸자가압박하여 발생할 수 있는 외상을 환자가 호소할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한다.
5.드레싱이 조이는지 확인한다.
6.마취후 운동조절 능력이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4.11.25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51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