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카렌민족
1. 마을
2. 가옥
3. 의복
Ⅱ. 유목민족
Ⅲ. 중국민족
Ⅳ. 대만민족
Ⅴ. 티베트민족
Ⅵ. 동이민족
Ⅶ. 터키민족
1. 대접
2. 터키의 커피하우스
3. 터키의 목욕탕
4. 쇼핑
5. 터키요리와 레스토랑
참고문헌
1. 마을
2. 가옥
3. 의복
Ⅱ. 유목민족
Ⅲ. 중국민족
Ⅳ. 대만민족
Ⅴ. 티베트민족
Ⅵ. 동이민족
Ⅶ. 터키민족
1. 대접
2. 터키의 커피하우스
3. 터키의 목욕탕
4. 쇼핑
5. 터키요리와 레스토랑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들어 그 안에 흙을 넣고 3개의 적당한 돌을 흙 위에 배치한 후 그 위에 냄비를 올려놓고 나무로 불을 피워서 음식을 마련하는 형태를 갖춘다. 이 작은 부엌 위에는 1m 가량의 높이에 줄을 매달아 시렁을 만들고 이 시렁 위에서 곡식이나 기타 물건을 썩지 않도록 말리는 일을 한다. 밀림에서는 부엌 용품을 구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주로 대나무를 이용하는데 대나무 솥, 수저, 젓가락, 국자, 물 컵, 물통 등 할 수 있는 것은 뭐든지 대로 이루어진다. 특히 밥솥의 경우에는 크고 작은 대나무를 베어서 막힌 한쪽을 남겨두고 반대쪽을 벤 후에 쌀이나 콩을 넣고 약간의 물을 채운 후 나뭇잎으로 입구를 막고 불에 적당히 그슬리면 대나무 밥이 되는데 이것을 \"카우람\" 이라 부른다. 밀림을 이동시에 주로 이용하는 식사이다. 가족들의 동거 생활은 대나무로 만들어진 한 칸의 방에서 생활하며 밤에는 부엌 쪽에 몸을 향하여 온 가족이 한방에 자는데 부모와 자녀들까지 합하여 가족이 한방공동체를 이룬다. 산하 제한을 원해도 방법이 없는 밀림에서의 가족의 수는 상당하다. 그러나 가족은 비교적 핵가족의 형태를 취하는데 그 이유는 주로 부모와 미혼의 자녀들로만 살아가기 때문이다. 결혼하면 분가해 나간다.
3. 의복
의복은 남녀의 구별이 뚜렷하다. 모든 남자들은 태어나서 죽기까지 붉은 색 바탕에 여러 가지 실을 군데군데 매달은 붉은 옷과 붉은 가방을 멘다. 이 붉은 가방은 곧 그들의 일생을 담고 가는 가방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 가방 속에서 그들의 생이 이뤄지기 때문이다. 이 붉은 옷은 주로 할머니, 어머니, 누나가 베틀에 앉아서 몇 개월에 걸쳐 손수 베를 짜서 만든 옷들이다. 남자들은 베틀에 앉지 않는다. 이것은 남자의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여자들은 결혼 전까지는 하얀 옷을 입는다. 이 하얀 옷은 여자들이 손수 만들어 입거나 또는 자녀들에게 입혀준다. 여자들은 어려서부터 길쌈을 배우고 15-17세가 되어 시집을 갈 무렵이면 작은 대나무 집을 짓고 이 작은 골방에 들어가 장차 만날 낭군을 위하여 베틀에 앉아 옷감을 짠다. 남자의 붉은 정장, 가방, 머플러, 보자기, 작은 액세서리, 그리고 자신이 입을 붉은 옷감에 여러 색을 곁들인 결혼 예복을 준비한다. 시집을 가는 여자는 붉은 옷감에 여러 가지 예쁜 색의 실을 곁들이고 수술을 다는 축복을 누린다. 그렇지만 결혼하지 않거나, 못하는 여자는 일생 흰 옷과 함께 정절을 지키며 살아간다. 카렌의 여자나 남자들은 다른 부족에 비하여 비교적 정절이 강하고 삶이 아름다워 \"하얀 마음\"이라는 칭호를 영국의 총독으로부터 수여 받기도 했다.
Ⅱ. 유목민족
청동기시대에 스키타이유적은 흑해 북부지방부터 중국 북경까지를 활동무대로 하여 이들의 유물이 발굴되고 있다.(초원길/모피길 이라고 불리는 문명교류 루트를 따라 메소포타미아/이집트 문명, 그리이스문명를 동아시아로 전파한 민족이다.) 한반도에 청동기 문화를 전해준 주인공이다. 한반도에 발굴된 청동기 유물과 백인의 유골이 같이 나온 적도 있는데 스키타이계통 사람으로 추측된다. 한국의 청동거울, 청동검은 스키타이 방식과 아주 밀접하다.(중국방식과는 거리가 있다.)
그리스인의 활동지역에 흑해북부 항구도시도 포함되며, 이 흑해북부 항구도시 주변이 스키타이족의 본거지 이다.
철기를 처음 발명한 나라가 히타이트로 현재 터키 땅인 소아시아 중간지역에서 시작된 나라인데 철기문명 기술도 스키타이(페르시아계통) 민족을 통하여 아시아(중국, 인도, 한국)에 전파되었다고 추측된다. 페르시아계통 유목민의 주 활동 지역은 유럽러시아 남부초원에서 파미르고원 서쪽 초원이며 고대 인도문명을 만든 드라비안(현재 남부인도 거주민)를 내
3. 의복
의복은 남녀의 구별이 뚜렷하다. 모든 남자들은 태어나서 죽기까지 붉은 색 바탕에 여러 가지 실을 군데군데 매달은 붉은 옷과 붉은 가방을 멘다. 이 붉은 가방은 곧 그들의 일생을 담고 가는 가방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 가방 속에서 그들의 생이 이뤄지기 때문이다. 이 붉은 옷은 주로 할머니, 어머니, 누나가 베틀에 앉아서 몇 개월에 걸쳐 손수 베를 짜서 만든 옷들이다. 남자들은 베틀에 앉지 않는다. 이것은 남자의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여자들은 결혼 전까지는 하얀 옷을 입는다. 이 하얀 옷은 여자들이 손수 만들어 입거나 또는 자녀들에게 입혀준다. 여자들은 어려서부터 길쌈을 배우고 15-17세가 되어 시집을 갈 무렵이면 작은 대나무 집을 짓고 이 작은 골방에 들어가 장차 만날 낭군을 위하여 베틀에 앉아 옷감을 짠다. 남자의 붉은 정장, 가방, 머플러, 보자기, 작은 액세서리, 그리고 자신이 입을 붉은 옷감에 여러 색을 곁들인 결혼 예복을 준비한다. 시집을 가는 여자는 붉은 옷감에 여러 가지 예쁜 색의 실을 곁들이고 수술을 다는 축복을 누린다. 그렇지만 결혼하지 않거나, 못하는 여자는 일생 흰 옷과 함께 정절을 지키며 살아간다. 카렌의 여자나 남자들은 다른 부족에 비하여 비교적 정절이 강하고 삶이 아름다워 \"하얀 마음\"이라는 칭호를 영국의 총독으로부터 수여 받기도 했다.
Ⅱ. 유목민족
청동기시대에 스키타이유적은 흑해 북부지방부터 중국 북경까지를 활동무대로 하여 이들의 유물이 발굴되고 있다.(초원길/모피길 이라고 불리는 문명교류 루트를 따라 메소포타미아/이집트 문명, 그리이스문명를 동아시아로 전파한 민족이다.) 한반도에 청동기 문화를 전해준 주인공이다. 한반도에 발굴된 청동기 유물과 백인의 유골이 같이 나온 적도 있는데 스키타이계통 사람으로 추측된다. 한국의 청동거울, 청동검은 스키타이 방식과 아주 밀접하다.(중국방식과는 거리가 있다.)
그리스인의 활동지역에 흑해북부 항구도시도 포함되며, 이 흑해북부 항구도시 주변이 스키타이족의 본거지 이다.
철기를 처음 발명한 나라가 히타이트로 현재 터키 땅인 소아시아 중간지역에서 시작된 나라인데 철기문명 기술도 스키타이(페르시아계통) 민족을 통하여 아시아(중국, 인도, 한국)에 전파되었다고 추측된다. 페르시아계통 유목민의 주 활동 지역은 유럽러시아 남부초원에서 파미르고원 서쪽 초원이며 고대 인도문명을 만든 드라비안(현재 남부인도 거주민)를 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