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막하 출혈에 대한 케이스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주막하 출혈에 대한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dl
10.6
12.8
MCV
80~96n()
93.2
93.1
MCH
27~31pg(g)
30.2
30.1
MCHC
32~36%
32.4
32.3
Hct
M:40~54%
F:38~47%
32.9
39.5
Plt
150~400×/l
216
262
RDW
SD 35-51fL
CV 11-16%
12.3
12.3
PDW
15.5-17.5fL
17.3
17.1
MPV
7.5
8.7
PCT
0.163
0.227
luc
0~4×/l
MPXL
Ferritine
HBs Ag
N
N
HBs Ab
P
P
(4) 진단검사
1) Hematology
(2) ABGA
항목
정상범주
10/27
10/28
임상적 의의
T.Bilirubin
0.1~1.2 mg/dl
A.S.T
0~40
23
A.L.T
0~40
23
Glucose
70~120 mg/dl
141
B.U.N
8~20 mg/dl
16
na
135~145mEq/L
139
134
k
3.5~5.5mEq/L
3.8
4.8
cl
98~110mEq/L
98
99
Albumin
4.0
3) Electrolyte battery
검 사
정 상 치
10/27
10/28
임상적 의의
PH
7.35~7.45
7.488
7.429
PCO2
35~45mmhg
36.2
37.4
PO2
80~100mmhg
275.5
191.7
BE-ECF
+4.1
+0.5
BE-B
0±2
+4.9
+1.5
SBC
20.9
25.8
HCO3-
25+4
27.7
25.0
TCO2
24~31
28.8
26.2
O2 sat
% 92~100
99.9
99.7
O2 ct
20.7
20.4
1. 뇌지주막하 출혈이란?
뇌(腦)는 지주막이라고 하는 얇은 막에 의해 싸여 있는데, 그 안에는 뇌척수액이라는 물이 차 있다. 뇌는 뇌척수액에 담겨져 있으면서 지주막으로 싸여 있는 것이다.쉽게 설명하면 비닐 주머니(지주막)에 물(뇌척수액)이 들어 있고 그 속에 공(뇌)이 둥둥 떠 있는 것을 연상하면 될 것이다.
뇌와 지주막 사이에 물이 고여 있는 공간을 지주막하강(subarachnoid space)이라고 하는데, 이 곳에 피가 들어 가는 것을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emorrhage)이라고 한다(그림에서 빨간 부위가 지주막하 출혈이 고인 모양을 나타내는데, 정상에서는 모두 맑은 물[뇌척수액]로 차 있게 된다). 결국 지주막하출혈로 인해 머리뼈속의 압력(뇌압)이 증가하여 두통, 구토, 마비, 의식저하등의 증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지주막하출혈이 하나의 질환으로서 진단될 수 있으나, 여러 가지의 원인질환으로 인해 생긴 하나의 병태현상이라고 하여야 맞을 것이다. 따라서 출혈을 일으킨 원인을 찾아야만 확진되었다고 할 수 있다.
2. 지주막하 출혈의 원인
여러 가지 질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데, 머리를 다쳐서 발생하는 외상성 지주막하출혈이 가장 흔하지만, 외상이 아니고 머리 속에 무언가 이상이 있어서 발생(자발성)하는 것으로 가장 흔한 원인은 뇌동맥류(cerebral aneurysm)과 뇌동정맥기형(cerebral arteriovenous malformation)이다. 그중에서 뇌동맥류 파열이 가장 흔하다. 그래서 흔히 뇌지주막하출혈과 뇌동맥류는 항상 같이 언급되고 있다.
그외에 고혈압성 뇌출혈, 모야모야병, 출혈성 뇌경색, 척수동정맥기형, 뇌척수종양 등과 함께 동반되기도 하며, 백혈병, 혈우병과 같은 혈액질환에 의해서도 발생 할 수 있다.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3. 지주막하 출혈의 증상
갑자기 심한 두통이 발생하는데, “머리가 이렇게 터질 듯이 아파보기는 처음이다”라고 말할 정도로 심하게 나타난다.
대부분 메스꺼움과 토하는 증상이 함께 나타난다. 또한 두통과 함께 뒷목이 뻐근하다고도 하며, 팔다리의 마비와 함께 의식을 잃기도 한다. 때로 경련발작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심한 두통이 발생하면서 두통은 대개 1주일 이상 계속되는 경우가 많다. 격심한 두통이 있다가 상당기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라면, 반드시 병원에서 진찰을 받아 지주막하출혈을 감별하여야 한다
4.지주막하출혈의 경과와 병태
지주막하출혈이 발생하면 머리뼈 속의 압력(두개내압)이 올라가며, 그로 인해서 뇌가 부어서(뇌부종) 의식을 잃거나 심하면 사망하게 된다. 출혈이 많아지면 뇌지주막하강에만 출혈이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뇌조직속으로 출혈이 퍼지면서 뇌손상이 일어나 신경학적 증상(한쪽마비, 실어증 등)이 발생한다.
뇌척수액은 뇌 속에서 순환하게 되어 있는데, 뇌지주막하출혈은 뇌척수액에 피가 섞인 경우이므로, 피딱지가 순환을 막게 되면 급성 혹은 만성의 수두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뇌지주막하출혈은 하나의 원인에 의해서 발생된 결과이므로 원인을 찾아서 치료하여야만 완치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규명을 위해서 뇌혈관촬영(뇌혈관조영술)을 실시하게 된다. 뇌혈관조영술을 실시하여도 정상인 경우에는 반드시 2주정도 후에 2차 뇌혈관조영술을 실시하여야 하는데, 1차의 검사에서 혈관의 이상이 있으면서도 발견되지 않는 경우(즉, 위음성)가 있기 때문이다. 대개 2차 혈관조영술에서도 이상이 없는 경우를 혈관조영술상의 이상이 나타나지 않는 뇌지주막하출혈로 분류하는데, 이러한 경우는 뇌지주막하출혈 자체만을 치료하고 이러한 출혈에 대한 2차적 질환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관찰하게 된다.
그러나 혈관조영술에서 이상이 발생하면 반드시 그 원인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를 실시하여야 한다.
5. 지주막하출혈의 진단
1) 증상과 임상 소견
두통, 구토, 의식저하, 편마비등의 증상과 함께, 수막자극소견(meningeal irritation sign)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지주막하출혈이 뇌수막을 자극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목이 뻣뻣한 것이 대표적인 소견이다.
2) 뇌컴퓨터단층촬영(뇌CT)이 보편화되어 있어서 진단은 용이하다.
일단 출혈은 뇌CT에서 고흡수역(쉽게 말하면 하얗게 나타남)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지주막하강에 이러한 것이 나타나면 뇌지주막하출혈로 진단할 수 있다. 그러나 아주 급성기에는 뇌CT에서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옆의 그림은 심한 두통과 구토가 발생하여 응급실로 내원한 환자의 뇌CT사진이다. 지주막하강이 뇌척수액(물)이 차 있기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4.11.27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56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