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작물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량작물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식량 작물학

■ Rice
■ 과 ( Familly)
■ 역사
■ 재배벼와 야생벼의 차이
■ 3대 식량작물
■ 생산량 변화
■ 전세계의 총생산량의 90% 이상이 아시아에서 생산됨
■ 한국
■ superrice
■ 쌀자급률
■ 쌀의 용도
■ 쌀의 영양가
■ 단백질의 영양
■ 쌀의 구조
■ 쌀겨의 용도
■ 볏집
■ 벼의 형태
■ 잎의 구조
■ 분얼 (tiller ) 조건만 맞으면 잎이 (혹은 줄기가) 매우 많이 나타나는 것(다량마디 발생)
■ 벼의 일생
■이유기
■이앙기 및 착근기
■ 분얼기
■ 출수기(개화기) 이삭이 지엽에서나옴
■결실기 수정 - > 성숙
■출엽

본문내용

이전까지는 배유의 물질로만 생활
■이앙기 및 착근기 : 5월 중순 ~ 하순이 적기 (이앙기) 이앙후 1주일 동안은 벼가 뿌리를 내리지 못함
■ 분얼기 : 가지 줄기가 마구 자라나는 시기
신장기 : 유수 불얼이 시작되는시기 보통 출사 30일전 줄기가 쭉쭉 자라나는 시기
유수분화기 : 유수분화시부터 유수가 2mm 정도 되는시기
유수 형성기 유수가 자라서 3~5cm 정도까지 자라나는 시기
수잉기 : 출수 10~12일 전에서 출수 직전까지 감수분열이 일어나는 시기로 매우 민감함 ( 물이 많이 필요한시기)
■ 출수기(개화기) 이삭이 지엽에서나옴
출수시:출수가 20%진행된시기
출수기: 출수가 40~50%진행된시기
출수전 : 출수가 80~90% 진행된시기 (수전이라는 용어로도 사용)
■결실기 수정 - > 성숙
유숙기 : 결실이 물같은 시기
호숙기 : 결실이 어느정도 굳어서 밀가루 반죽같은시기
황숙기 : 결실이 단단해지고 색이 노래짐
완숙기 : 완전히 익은시기
고숙기 : 너무익어서 죽어감
발아 : 종자의 종피를 뚫고 나옴
출현 : 새로난 TKr이 토양을 뚫고 나옴
발아의 조건 : 수분 온도 광 산소
발아에 필요한 영양 : 배유에 저장된 것을 사용 가수 분해하여 사용한다.
호분층에 가수 분해 효소들이 분포한다.
발아온도 : 8~10 (최저) 봄에 파종시 문제 40~44 (최고)30~34벼는 열대 작물이므로 발아온다가 높은편
인디카 는 발아온도가 12도
자포니카는 9~10
재래종은 8~9 (저온내성을 기르기위한 육종재료)
통일벼는 인디카 이기 때문에 발아온도가 높은편 생육온도도 높기 때문에 냉해발생시 다이
수분 : 볍씨는 자기무게의 23%정도의 물을 흡수해야만 발아가 가능
포장용수량(토양이가질수 있는 최대 용수량)
환경에 따라 발아가 다름 90%이상이면 유아 (잎) 이먼저 나오고 이하이면 뿌리가 먼저나온다.
수분후 7일 이면 발아가 가능 14일이면 정상이나 보통 30~40일 지난후 종자를 사용한다.
종자의 수명
1년후 95%
2년후 20~50%
3년후 거의 발아 안함
저온(-10도) 건조밀봉시 10년 효소 활동 정지 호흡활동 정지
휴면성 -> 저해 물질이 있다고 생각
타발적 : 환경적 외부요인이 맞지 않아서 발아안됨
자발적 : 환경은 적당하나 발아가 안됨 내부적 요인 (저해물질 배의 미성숙 종피의 두께) 일정기간이 지나야 발아
대채로 자포니카는 강 인디카는 약
휴면은 온대지방에서는 유리 열대지방에서는 불리
■출엽
잎이신장할

키워드

식량,   작물,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2.19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4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